소개글
"인산염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총인 및 인산염인 분석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1.2.1. 총인 측정 방법
1.2.2. 인산염인 측정 방법
1.3. 실험 재료 및 방법
1.3.1. 시약 제조
1.3.2. 분석 방법
1.4. 실험 결과
1.4.1. 표준 검량선 작성
1.4.2. 시료 분석 결과
1.5. 실험 고찰
1.6. 실험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총인 및 인산염인 분석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수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인의 총량을 흡광광도법(아스코르빈산 환원법)으로 측정하여 부영양화의 발생 여부 및 진행 정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인(P)은 부영양화의 주요 원인 물질이므로, 이번 실험을 통해 조사 대상 수역의 부영양화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중의 총 인과 인산염 인의 농도를 측정하여 부영양화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1.2. 실험 원리
1.2.1. 총인 측정 방법
총인 측정 방법은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 유기 인 화합물의 총량을 과황산칼륨 분해법(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방법)이나 질산-황산 분해법으로 분해하여 모든 인 화합물을 인산염 (PO43-) 형태로 변화시킨 다음, 몰리브덴산암모늄과 반응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암모늄을 아스코르빈산으로 환원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 등의 흡광도를 정해진 파장에서 측정하여 총 인의 양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분할흐름분석기(SFA, segmented flow analyzer) 또는 흐름주입분석기(FIA, flow injection analyzer)와 이와 동등이상의 성능을 갖는 자동 분석기에 의한 시험방법이며, 정량범위는 0.003~1.0 mg P/L이지만 고농도 시료는 적절히 희석하여 분석할 수 있다.
1.2.2. 인산염인 측정 방법
인산염인 측정 방법은 인산이온이 몰리브덴산암모늄과 반응하여 생성된 몰리브덴산인암모늄을 아스코르빈산으로 환원하여 생성된 몰리브덴 청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인산염인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시료 중의 인산염이온(PO43-)은 몰리브덴산암모늄과 산성 조건에서 반응하여 황색의 인몰리브덴 복합체인 몰리브덴산인암모늄을 형성한다. 이 황색 복합체를 아스코르빈...
참고 자료
Clair Sawyer, Perry McCarty, Gene Parkin, 『환경화학』, 김덕찬, 배재호, 문경환 공역, 제 5판; 파주: 동화기술, 2005, pp.626~.634
국립환경과학원
http://water.nier.go.kr/publicFront/easyWater/policy/easyPolicy01.jsp?menuIdx=1_4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