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한식(韓食)의 세계화
1.1. 한식의 정의와 종류
한식(韓食)은 대한민국에서 사람들이 과거부터 유래한 조리법을 활용하여 조리한 음식을 의미한다. 사전적 의미로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나 식사"로 정의되고 있다. 한식의 정의는 현재 학문적, 법률적으로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대부분 관념적으로 이해되고 있다.
한식의 종류로는 궁중 음식, 반가 음식, 종가 음식, 사찰음식, 그리고 김치류, 장류, 젓갈류, 식초류, 주류 등의 저장 발효 식품이 있다. 백과사전에서 한식은 "한국 음식의 총칭", "한국인이 먹어본 전통음식"으로 정의되고 있다. 한편, 한식세계화 포털(www.hansik.org)에서는 한식의 종류를 주식, 찬품, 후식으로 나누고 있다. 주식으로는 밥, 죽, 국수를, 찬품으로는 국, 찌개, 전골, 볶음, 찜, 생채, 나물, 조림, 초, 전유어, 구이, 적, 회, 쌈, 편육, 족편, 튀각, 부각, 포, 장아찌, 김치, 젓갈을, 후식으로는 과자, 병과류와 차, 음료 등을 들고 있다.
1.2. 한식의 특성과 잠재력
한식(韓食)의 특성과 잠재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은 건강에 좋은 웰빙식이다. 한식은 육류보다 채소나 해산물을 주로 사용하여 저열량 음식이며, 요리 시 기름에 튀기기보다는 숙성, 찌기, 삶기 등의 건강한 조리법을 사용한다. 또한 김치, 장류와 같은 발효식품의 기능성이 이미 밝혀져 건강에 유익하다"".
둘째, 한식은 자연의 음식이자 통합 음식이다. 한식은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하여 균형잡힌 영양을 제공하며,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어 풍류와 멋이 있는 음식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한식을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모범식으로 소개하기도 했다"".
셋째, 한식은 슬로우 푸드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한식은 조리 과정이 비교적 느린 편이며,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느림의 미학을 추구한다. 이는 현대인들이 선호하는 웰빙 트렌드와 잘 부합한다"".
이처럼 한식은 건강, 자연성, 통합성 등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세계적인 음식으로 성장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한식 산업의 발전과 농식품 및 관광 등 연관 산업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3. 한식 세계화의 필요성
음식은 대표적인 국가 이미지 상품으로 한식의 세계화를 통해 관광산업의 활성화 및 한국 국가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