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SDGs-11번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SDGs-11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정의와 목적

3. SDGs의 주요 내용

4. SDGs와 건강의 관련성
4.1. SDGs의 세부 목표 분석
4.2. SDGs 실천 성공 사례
4.3. SDGs 실천 실패 사례

5. 일본의 SDGs 이행 전략
5.1. 일본 SDGs 이행 체계
5.2. JICA의 SDGs 달성 노력

6. 국내 SDGs 이행 동향
6.1. 정부의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6.2. 기업의 SDGs 이행
6.2.1. 풀무원
6.2.2. SK하이닉스

7. ESG와 기후변화 대응
7.1. ESG의 개념 및 역사
7.2. 지속가능발전과 ESG 관점에서의 기후변화 대응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UN(United Nation, 국제연합)은 국제사회의 빈곤, 열악한 인권과 환경 등의 문제를 파악하고자 1998년부터 밀레니엄포럼(Millennium Forum)을 진행했으며, 이 포럼의 내용을 바탕으로 2000년에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를 발표했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 15년간 각 국가에서 MDGs를 수행한 결과, 국제적으로 빈곤을 줄이고 보건의 질을 향상했다. 그러나 MDGs가 빈곤 퇴치에 초점을 맞춰 개발도상국에서 주로 시행되며 불균형이 존재하는 등 여러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목표 자체가 지속가능하면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 세계의 보편적 발전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국제적 개발 의제가 요구되었고, 2015년 9월 유엔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가 제정되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정의와 목적, 내용을 파악하고, SDGs와 건강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여 SDGs를 비롯한 국제보건을 통해 건강 형평성을 달성하며 인류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고자 한다.


2.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정의와 목적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는 2015년에 개최된 제70차 UN 총회에서 2016년부터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결의한 의제로, 사회와 경제 발전에 더불어 환경 보호도 이루는 미래 지향적이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목표이다. SDGs는 'Leaving No One Behind(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것)'이라는 기본 정신과 더불어 인간,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의 영역에서 인류가 추구할 올바른 방향성을 17개 목표 및 169개 세부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SDGs의 추진 목적은 경제성장 및 사회 개발뿐만 아니라 지속되는 불평등 해소, 평등한 사회 구현까지 실천하여 공동의 번영을 추구하는 데에 있다. 현재 시행 중인 SDGs와 2015년까지 시행된 MDGs 간의 차이점은 첫째, MDGs가 개발도상국에 초점이 맞춰졌던 것에 비해 SDGs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모두 포함한 전 세계 모든 국가가 인류의 번영을 위해 노력함과 동시에 환경을 보호할 것을 촉구하며, 둘째, MDGs는 목표 범위가 너무 좁았으나 SDGs는 목표가 더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MDGs보다 의제가 한층 더 발전했다.


3. SDGs의 주요 내용

SDGs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번 목표인 "모든 곳에서 모든 형태의 빈곤을 종식시킨다(NO POVERTY)"는 절대빈곤층을 해소하고 국가 간 및 국가 내 불평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번 목표인 "기아를 종식하고, 식량 안보를 달성하며, 개선된 영양 상태를 달성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강화한다(ZERO HUNGER)"는 모든 사람에게 영양가 있는 식량을 공급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3번 목표인 "모두를 위한 전 연령층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웰빙(well-being)을 증진한다(GOOD HEALTH AND WELL-BEING)"는 보편적 의료보장과 질병예방, 정신건강 증진 등을 포함한다"

4번 목표인 "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 및 평생교육 기회를 증진한다(QUALITY EDUCATION)"는 교육의 형평성과 질적 수준 제고, 평생교육 기회 확대를 내용으로 한다"

5번 목표인 "성평등 달성 및 모든 여성과 여아들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GENDER EQUALITY)"는 여성의 권리와 역량 강화, 차별 해소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6번 목표인 "모두가 물과 위생설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 가능한 유지관리를 보장한다(CLEAN WATER AND SANITATION)"는 물과 위생에 대한 접근성 제고와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지향한다"

7번 목표인 "모두를 위한 적당한 가격이며 신뢰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현대적인 에너지에의 접근을 보장한다(AFFORDABLE AND CLEAN ENERGY)"는 에너지의 보편적 접근성 제고와 청정에너지 확대를 목표로 한다"

8번 목표인 "모두를 위한 지속적, 포용적,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촉진하며 생산적인 완전 고용과 모두를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증진한다(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는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지향한다"

9번 목표인 "복원력이 높은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하고,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화를 증진시키며 혁신을 장려한다(INDUSTRY,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는 인프라 구축, 산업화 및 혁신 활성화를 추구한다"

10번 목표인 "국가 내, 국...


참고 자료

황원주 외, 글로벌 헬스의 이해, 수문사(2021), p.3~16, 317~318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까지: SDGs란 무엇인가?, 이클레이 브리핑시트 도시 이슈; 01, 2016
이근영 기자, ‘플라스틱 폐기물’ 이동 규제했지만…여전히 더 열악한 나라로, 한겨레, 2022.04.17.
국민권익위원회 홈페이지 (https://acrc.go.kr/briefs/201906/index.html)
유엔글로벌콤팩트 홈페이지 (http://unglobalcompact.kr/)
지속가능발전포털 홈페이지 (http://www.ncsd.go.kr/)
국가별 SDGs 이행전략 및 프로그램- 일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173. JICA(2016 b)
KIEP 오늘의 세계 경제 _ 국제사회의 SDGs 이행성과와 코로나 이후 한국의 ODA 정책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을 위한 과학기술혁신 국제논의 동향과 정책제언 –과학기술혁신 국제협력정책을 중심으로-」,『STEPI Insight』제 251호.
지속가능발전포털, 2019,「2019 국가 지속발전목표(K-SDGS) 수립보고서」,『지속가능발전위원회』.
김선민, 2016,「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ESG이슈」,『CGS Report』 6권 2호.
한국일보(https://www.hankookilbo.com).
Redshift(https://redshift.autodesk.co.kr).
CEONEWS(https://www.ceomagazine.co.kr).
지속가능발전포털(http://ncsd.go.kr/ksdgs).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