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기술경영 과제 보고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의 재무제표를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삼성전자는 TV, 노트북, 휴대폰 및 가전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는 대표적인 다국적 기업이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사회적 영향력이 큰 기업 중 하나이다. 비교 대상 기업으로 선정된 SK하이닉스와 LG전자는 삼성전자와 사업분야가 겹치면서 같은 기업형태를 띄고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기업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각 기업의 재무상태, 수익성, 활동성을 비교 분석하고 기업 간 경쟁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2. 기업분석
2.1. 삼성전자
2.1.1. 재무상태분석
삼성전자의 재무상태분석은 다음과 같다.
삼성전자의 유동비율은 2015년 226.1%, 2014년 220.0%, 2013년 219.6%로 200%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이는 단기채무상환 능력이 매우 우수함을 나타낸다. 당좌비율 또한 2015년 209.89%, 2014년 188.08%, 2013년 178.55%로 100%를 크게 상회하여 단기채무 상환능력이 양호하다고 볼 수 있다.
삼성전자의 부채비율은 2015년 23.9%, 2014년 23.7%, 2013년 26.5%로 30% 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장기 재무건전성이 매우 양호함을 의미한다. 자기자본비율은 2015년 80.7%, 2014년 80.9%, 2013년 79.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자기자본 조달 능력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요약하면, 삼성전자는 높은 유동성과 낮은 부채비율을 보유하고 있어 단기 및 장기적인 재무건전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경기변동에 대한 대처능력과 장기적인 성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2.1.2. 수익성분석
삼성전자의 수익성분석은 다음과 같다.
삼성전자의 총자본수익률(ROA)은 2013년 12.5%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4년 9.2%, 2015년 7.4%까지 하락하였다. 이는 매출이 감소하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의 비중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2014년과 2015년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경쟁사들의 추격으로 매출이 저조했다.
자기자본수익률(ROE)도 같은 추세를 보여, 2013년 15.7%에서 2014년 11.4%, 2015년 9.1%로 점진적으로 하락하였다. ROE가 하락한 이유는 수익성 감소와 더불어 자기자본이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2015년 기준 삼성전자의 ROE는 산업 평균인 8.79%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전년대비 약 2.3%p 감소한 모습이다.
매출액순이익률을 보면, 2013년 30.1%, 2014년 28.0%, 2015년 26.3%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둔화와 가격 경쟁 심화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TV, 반도체 등 주요 사업부문에서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악화되면서 매출액 순이익률이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