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실습 소화기내과 내시경검사 종류 및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내시경 검사의 이해
1.1. 위내시경 (EGD)
1.1.1. 검사 목적 및 적응증
1.1.2. 검사 방법
1.1.3. 검사 전 준비
1.1.4. 검사 후 관리
1.2. 대장내시경 (Colonoscopy)
1.2.1. 검사 목적 및 적응증
1.2.2. 검사 방법
1.2.3. 검사 전 준비
1.2.4. 검사 후 관리
1.3.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 (PEG)
1.3.1. 목적 및 방법
1.3.2. 검사 전 준비
1.3.3. 검사 후 관리
1.3.4. 주의사항 및 관리
1.4. 기관지내시경 (Bronchoscopy)
1.4.1. 검사 목적
1.4.2. 검사 전 준비
1.4.3. 검사 중 간호
1.4.4. 검사 후 관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내시경 검사의 이해
1.1. 위내시경 (EGD)
1.1.1. 검사 목적 및 적응증
위내시경 검사의 주된 목적은 입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함으로써 염증이나 종양 등의 병변을 진단하는 것이다. 위내시경 검사는 상부 위장관의 병변을 직접 관찰하여 진단할 수 있으므로, 연하곤란(Dysphagia), 소화불량(Dyspepsia), 상복부 통증 등의 상부 위장관 증상이 있는 경우나 간경화증과 같이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 시행한다. 또한 상부 위장관의 궤양이나 암을 감별하기 위해서도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이외에도 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나 병변의 절제, 출혈 부위의 지혈 등 치료적 목적으로도 위내시경 검사가 이루어진다.
1.1.2. 검사 방법
위내시경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위내시경 검사를 위해서는 먼저 시야 확보를 위해 위장 내 기포제거제와 위장 운동 억제제를 투약한다. 기포제거제는 위 내의 기포와 위점막에 달라 붙어 있는 점막을 제거하기 위해 검사 10~20분 전에 복용하고, 위장운동억제제(부교감신경차단제)는 타액 및 위액 분비와 위장관 연동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검사 10~15분 전에 근육주사 또는 정맥주사로 투여한다. 이후 내시경이 삽입되는 부위에 국소마취를 시행하여 구역반사와 연하반사를 억제하고 인후부 통증을 감소시킨다. 수면 내시경의 경우 진정제를 투약한다. 대상자를 왼쪽으로 누운 자세로 둔 후 구강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위장관을 확장시켜 병변을 관찰한다."
1.1.3. 검사 전 준비
위내시경(EGD) 검사 전 준비
위내시경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검사 전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하다.
먼저, 검사 전날 자정부터 8시간 이상 금식을 해야 한다. 이는 위 내부가 비어 있어야 내시경 검사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틀니, 머리핀, 안경, L-tube 등의 액세서리를 제거해야 한다. 이러한 금속 물질들이 내시경 영상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치과 치료를 받고 있거나 흔들리는 치아가 있는 경우에는 검사실에 미리 알려야 한다. 내시경 삽입 시 치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측 팔에 정맥 라인(IV line)을 유지하는데, 이는 검사 중 왼쪽으로 누운 자세로 진행되므로 우측 팔을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검사 동의서를 작성해야 한다. 검사의 목적과 과정,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동의한 후 서명해야 한다.
이처럼 위내시경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금식, 액세서리 제거, 정맥 라인 확보, 동의서 작성 등의 준비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검사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대장내시경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검사 전 다음과 같은 준비가 필요하다.
먼저, 검사 3일 전부터 씨 있는 과일, 섬유질이 많은 음식, 해조류 등의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 이는 검사 시 장내 내용물을 깨끗이 비우기 위함이다.
검사 전날 저녁부터 금식을 해야 하며, 당일 아침에는 검사 전 처방된 장정결제를 복용해야 한다. 장정결제 복용 방법을 잘 이해하고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이 충분히 비워지지 않으면 검사 시야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다.
검사 전 항혈전제 복용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아스피린, 플라빅스, 와파린 등 항혈전제 복용 중인 경우 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담당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검사 당일 아침 인슐린 주사나 당뇨약 복용을 하지 말아야 한다. 저혈당 예방을 위해 검사 시 주사와 약물 투여는 담당 의사와 상의 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검사 당일 속옷, 장신구, 틀니 등을 제거하고 병원 가운으로 갈아입어야 한다.
이와 같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검사 3일 전부터 식이 조절, 장정결제 복용, 항혈전제 및 당뇨약 복용 중지, 기타 준비사항 이행 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검사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1.1.4. 검사 후 관리
위내시경 검사 후에는 검사에 따른 부작용 발생 여부를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검사 후 최소 12시간 동안은 운전을 삼가도록 하며, 검사 부위의 통증이나 불편감, 출혈, 발열, 호흡곤란,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지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또한 검사 후 구강과 인후부의 자극으로 인해 쉰 목소리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따뜻한 생리식염수로 함수하거나 점막 보호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검사 중 진...
참고 자료
유양숙 외 공저, [제8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22.01.
유양숙 외 공저, [제8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22.01.
김미향 외 공저, [병태생리학], 은학사, 2022.07.
양선희 외 공저, [제4판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20.01.
양선희 외 공저, [제4판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20.01.
「서울대학교병원」N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의료정보.
https://www.youtube.com/watch?v=v9a44pBF8qU _기관지 내시경 검사, 세브란스
https://youtu.be/lBxz76stXxA _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위내시경 검사
https://www.youtube.com/watch?v=dUjWceI6ajU _ 한림대학교성심병원 대장내시경검사
https://www.youtube.com/watch?v=UeCgbpxtYcI _ 방광 내시경 검사는 얼마나 걸리고 통증이 심한가요?
https://www.youtube.com/watch?v=cJr91p3rPfQ _ 관절내시경 [영상으로 보는 검사] 1:00~끝까지
서울아산병원
서울대학교병원
국가건강정보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