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캠핑업무제안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여행업 비즈니스 현황
1.1. 여행업 시장 규모
1.2. 해외여행과 국내여행
1.3. 하나투어 분석
2. 여행산업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2.1. 서비스산업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 트립어드바이저
2.2. 빅데이터 활용의 유용성
2.3. 여행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
3. 빅데이터 활용의 한계와 대안
3.1. 활용 빅데이터의 소재 및 획득 경로
3.2. 개인정보 보안 문제
3.3. 정보보안 기술 및 전략 체계화 필요
4. 호텔 객실 예약시스템의 발전 과정
4.1. 등장 배경
4.2. 수동화, 반자동화, 자동화 시스템의 발전
4.3. 최근 예약 플랫폼 운용 사례 및 개선 방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여행업 비즈니스 현황
1.1. 여행업 시장 규모
여행업 시장 규모는 다양한 추정치가 존재한다. 세계여행신문의 창간 16주년 인터뷰 특집에 따르면 여행업 시장이 약 5조 970억원 규모라고 주장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스포츠 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스포츠 여행업의 매출규모가 1.56조원이고 영업이익이 830억원이다. 온라인 1.5조, 오프라인 5.5조원이라는 주장도 있다. 일각에서는 국내 온라인 여행 예약이 월 5천억 규모이고 국내 온라인 쇼핑몰 여행 상품 거래액 규모가 8.3조원, 1인당 레저비 지출 연간 91만원이라는 주장도 있다. e나라지표에 따르면 국내 여행 시장은 25조원 규모로 국민은 2.2억 회 여행을 하고 있으며, 정부는 내국인 국내관광 규모를 30조원으로 목표하고 있다.
1.2. 해외여행과 국내여행
해외여행과 국내여행은 관광업계에서 중요한 두 가지 축을 이루고 있다. 먼저 해외여행의 경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해외출국자는 1,900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중국인 관광객이 600만 명, 일본인 관광객이 200만 명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해외여행 관광객의 증가는 관광수입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여행비용은 숙박비 18%, 항공권 37%, 음식료 12%, 쇼핑 16%, 기타 1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국내여행의 경우, 내국인 관광시장 규모가 25조원 수준이며, 연간 2.2억 회 국내여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회당 약 10만원의 지출이 발생하는 규모이다. 정부는 내국인의 국내관광 규모를 30조원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요약하면 해외여행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여행 역시 정부의 지원 아래 확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해외여행과 국내여행은 관광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1.3. 하나투어 분석
하나투어는 국내 여행업의 독보적인 선두주자로, 아웃바운드와 패키지 여행을 키워드로 하는 대표적인 여행업체이다. 하나투어의 매출 실적은 주로 국제관광알선수익과 항공권 매매수익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국제관광알선수익이 2,300억 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출국자 기준으로 하나투어가 20%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권 매매수익은 100억 원 규모로, 항공사를 대신해 표를 팔아주면서 얻는 수익이다. 과거 여행업의 주된 수익모델이었던 매표 수익은 현재 온라인 등 다양한 판매채널의 등장으로 큰 의미가 없어졌다.
하나투어는 홀세일(도매) 업체로, 20만개의 상품을 8,000여 개 여행사 등에 판매하고 있다. 하나투어의 상품은 하나투어 대리점, 일반 대리점, 온라인, 제휴사 등을 통해 판매된다. 만약 하나투어가 아웃바운드 고객 400만 명을 내보냈다고 가정하면, 이들로부터 1인당 10만 원씩 받을 경우 알선 매출은 4,000억 원 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여행알선 시장은 약 1.5조 원 규모로 추정된다.
여행업에서는 아웃바운드의 경우 항공권이, 인바운드의 경우 호텔이 핵심 요소이다. 하나투어는 국내외에 호텔과 면세점을 보유하고 있어 이 부분에서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있으며, 궁극적인 목표는 문화관광그룹이 되는 것이다. 실제로 하나투어는 서울 종로와 충무로에 각각 250실과 285실 규모의 센터마크와 티마크 호텔을, 일본 삿포로에 246실 규모의 티마크시티 호텔을 운영하고 있다.
2. 여행산업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2.1. 서비스산업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사례: 트립어드바이저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표적인 여행 및 레스토랑 평가 사이트로서, 트립어드바이저(TripAdvisor)는 여행자 관점에서 최상의 여행 계획을 수립하고 예약할 수 있게끔 하는 세계 최대의 여행 사이트이다. 즉, 트립어드바이저는 실제 여행을 다녀온 여행자의 체험을 바탕으로 폭넓은 여행지를 제공함과 더불어, 항공이나 호텔, 음식점, 렌터카 등 수많은 관련 사이트를 확인하고, 예약 tool에 원활한 예약 기능을...
참고 자료
김홍일·한경희, “호텔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소재 특급 호텔 IT인프라 현황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정보학회, 2001
공효순·송은지, “호텔기업의 효율적인 컴퓨터 시스템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1
정영훈·이금노, “O2O 서비스에서의 소비자문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소비자원, 2016
노규성, 『기업을 바꾼 10대 정보시스템』, 커뮤니케이션북스(2014)
차길수·윤세목, 『호텔경영학원론』, (2006)
“아시아 톱3'라는 롯데호텔, 예약시스템은 '엉망진창”, <미디어펜>, 2019.02.27., http://www.mediapen.com/news/view/416499, 2020.06.07
“ 제 4차 산업혁명과 호텔 정보 시스템3, 객실 예약 시스템의 이해와 객실 서비스의 미래”, <호텔앤레스토랑>, 2017.07.12., https://www.hotelrestaurant.co.kr/mobile/article.html?no=3805, 2020,06.06
“확산되는 온라인 여행사 소비자 피해, 민관 협력해 해결한다.”, <전자신문>, 2019.09.17., https://m.etnews.com/20190917000201?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2020.06.06.
“글로벌 OTA 복점의 문제, 그리고 개선 방향”, <호텔앤레스토랑>, 2016.06.21., http://www.hotelrestaurant.co.kr/news/article.html?no=2250, 2020.06.07.
“아고다·부킹닷컴·트립닷컴, 소비자 불만↑ “환불 거부·과다 수수료 요구”, <동아신문>, 2019.06.24.,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624/96149347/1, 2020.06.07.
“숙박앱 결제까지 했는데… 예약 안되고 사후관리도 엉망 ‘주의보’”, <디지털타임스>, 2016.08.17.,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081802101531033001, 2020.06.09.
“여기어때 3주년...“숙박 O2O 혁신 이끌어”, <메가뉴스>, 2018.09.21., https://www.zdnet.co.kr/view/?no=20180921155008, 2020.06.09
김동완(2018). 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외여행상품의 구성 요소와 해외여행객의 지각된 가치 분석.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0~32.
임양의(2020).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수 관광 활성화 방안.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p.5~6.
한국관광공사(2020). 관광 빅데이터 사업 컨설팅 주요 결과.
행정안전부(2016).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Sometrend Biz(2020). 누구나 쉽게 분석하는 소셜 데이터.
Adobe Korea(2020). 빅데이터는 여행업계를 어떻게 바꾸고 있나.
Gart, "A genetic algortihm based real-time system scheduler", Date Added to IEEE Xplore 2011, p.26
트립어드바이저 홈페이지(www.tripadviso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