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험한 소매점의 서비스 실패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오프라인 소매기업 사례
2.1. 코스트코 사례 분석
2.1.1. 비즈니스 개괄
2.1.2. 성공 요인
2.1.2.1. 연회비를 통한 구독 커뮤니티 형성
2.1.2.2. 차별화된 경험 제공
2.2. 팝업스토어 사례 분석
2.2.1. 빙그레 팝업스토어 사례
3. 온라인 소매기업 사례
3.1. 스타일난다 사례
3.2. 라쿠텐의 중국 진출 실패 사례
4. 오프라인 소매기업 실패 사례
4.1. 시어즈 사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난 2019년도에 첫 발병이 목격된 후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하였던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또는 코로나19는 한동안 오프라인 소매시장에 큰 위기로 작용하였다. 오프라인 소매시장을 대신하여 온라인 소매시장에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였기 때문인데, 현재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은 상당히 줄어든 상황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온라인으로 구매 채널을 전환한 사람들이 다시 오프라인 채널을 활발하게 이용하도록 유도하기에도 어려움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오프라인 유통 기업 중 선전하고 있는 기업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한 미국의 코스트코(COSTCO)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 먼저 코스트코에 대해 간략히 개괄한 후, 코스트코의 경영 사례를 그 성공 이유를 중심으로 하여 제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
2. 오프라인 소매기업 사례
2.1. 코스트코 사례 분석
2.1.1. 비즈니스 개괄
코스트코는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리테일 기업으로, 특히 창고형 할인 매장의 효시로 불리기도 한다. 1993년 미국에서 코스트코가 프라이스클럽과 합병하면서 이후 현재와 같은 매장을 본격적으로 선보이게 되었다. 한국에는 1998년 양평에 처음으로 진출하였으며 현재에도 여러 지점에서 코스트코의 한국 매출이 상당한 상황이다. 이러한 코스트코의 특징은 창고형 할인 매장의 특성인 저렴한 가격과 번들 판매가 주효하였다고 할 수 있다.
2.1.2. 성공 요인
2.1.2.1. 연회비를 통한 구독 커뮤니티 형성
코스트코의 경우 연회비가 전체 매출의 약 70% 수준으로, 반대로 말하자면 제품 판매를 통해 얻는 수익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염가"에 가까운 수준으로 판매가 가능하다. 즉 코스트코는 회원으로 가입된 사람들만이 방문 가능한 곳으로, 이들에게는 최대한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계속하여 구독료(Subsc...
참고 자료
김은하, 민채영, 진현지 and 정지연. (2021). 오프라인 유통 기업들의 디자인 경영 성공요인 분석 ╶ 코스트코, 노브랜드, BGF 리테일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 디자인학연구, 24(2), 33-47.
보스턴컨설팅그룹, 소매업, 미래 필수 전략 : 커뮤니티를 만들어라, 2022.8.23.
옴니채널 소매: 기술이 소비를 바꾼다, 동아비즈니스 리뷰, 2013.09
팝업스토어 가봤니? 체험과 스타일 파는 소매공간이 뜬다, 동아비즈니스리뷰, 2017.09
빙그레, 투게더 팝업스토어 투게더 피크닉 하우스 오픈, 이코노믹리뷰, 2019.06.19
매일경제, [CASE STUDY] (34) H&B 스토어 절대강자 CJ올리브영, 2018.5.14.
더벨, CJ올리브영, 불황 역주행 비결은, 2020.1.23.
뉴데일리, "H&B 성장에" CJ올리브영 작년 실적 '초록불'… 업계 1위 '수성, 2019.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