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뇌압상승 비효율적 조직관류 우울증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10.15
3,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성인간호학 뇌압상승 비효율적 조직관류 우울증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 ICH) 간호과정
1.1. 개요
1.2. 간호진단
1.3. 간호사정
1.4.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1.5. 간호계획
1.6. 간호중재
1.7. 간호평가

2. 우울증(depressive disorder) 간호과정
2.1. 자살 위험성(Risk for Suicide)
2.1.1. 간호진단
2.1.2. 간호사정
2.1.3.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2.1.4. 진단적 계획
2.1.5. 치료적 계획
2.1.6. 교육적 계획
2.1.7. 간호수행
2.1.8. 간호평가
2.2. 수면장애(Disturbed Sleep Pattern)
2.2.1. 간호진단
2.2.2. 간호사정
2.2.3.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2.2.4. 진단적 계획
2.2.5. 치료적 계획
2.2.6. 교육적 계획
2.2.7. 간호수행
2.2.8. 간호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 ICH) 간호과정
1.1. 개요

뇌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 ICH)은 뇌 내부에 출혈이 발생하는 것으로, 뇌경색과 함께 뇌혈관 질환의 주요 유형이다. 뇌내출혈은 원인에 따라 외상성, 비외상성으로 구분되며, 비외상성 뇌내출혈의 주된 원인은 고혈압이다. 뇌내출혈 발생 시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두통, 의식 저하, 마비, 구토, 발작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출혈 부위와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뇌내출혈 환자의 예후는 출혈 부위와 크기, 환자의 나이와 기저질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치명적일 수 있어 신속한 응급처치와 집중 치료가 중요하다."


1.2. 간호진단

뇌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 ICH) 간호진단은 다음과 같다""

뇌압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장애이다. 뇌내출혈로 인한 뇌압상승은 뇌혈류를 감소시켜 뇌실질 관류를 저하시키므로 이로 인해 비효율적인 조직관류가 나타난다""

뇌기능 부전과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이다. 뇌내출혈로 인한 뇌기능 저하는 의식 저하, 혼돈, 실어증 등 다양한 의사소통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호흡근 마비, 무의식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이다. 뇌내출혈에 의한 의식저하와 뇌간 손상은 호흡근 마비와 기도폐쇄를 초래하여 기도개방 유지가 어렵게 만든다""

뇌혈관 폐색과 관련된 뇌조직 관류감소이다. 뇌내출혈로 인한 혈관압박 및 폐색은 국소적인 뇌조직 관류저하를 야기한다""

음식의 섭취 부족과 관련된 영양 부족이다. 의식저하로 인한 섭식장애와 삼킴곤란은 필연적으로 영양부족을 초래한다""

부동과 관련된 활동내구성장애이다. 의식저하와 마비로 인해 움직임이 제한되어 활동내구성이 감소한다""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이다. 장기간의 부동은 욕창과 같은 피부손상 위험을 증가시킨다""


1.3. 간호사정

뇌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 ICH) 환자의 간호사정은 주관적 자료와 객관적 자료로 이루어진다. 주관적 자료로는 환자의 주 호소인 "Mental change"를 통해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표현한다. 객관적 자료로는 환자의 신체검진 소견과 검사 결과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우선 환자의 주관적 자료를 살펴보면, 환자는 "Rt 기저핵에 뇌내출혈+뇌실내출혈 있어 의식저하, 반신마비"를 호소한다. 이는 뇌출혈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객관적 자료를 살펴보면, 환자의 의식수준은 "drowsy → coma"로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GCS (Glasgow Coma Scale) 점수는 총 4점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동공반사 또한 "none(fixed). 5mm/2mm(+/+) Rt 찌그러진 모양"으로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인다. ICP (Intracranial Pressure)가 19mmHg로 증가한 것도 관찰된다.

활력징후 측정 결과, PR (Pulse Rate) 140/80, HR (Heart Rate) 68회/분, RR (Respiratory Rate) 22회/분, BT (Body Temperature) 36.5℃로 나타났다. 이 중 PR이 다소 높은 편으로, 뇌압 상승으로 인한 쿠싱 징후의 일부가 관찰된다.

동맥혈 가스 분석 결과, PCO2 33.4(↓), PO2 48.6(↓), pH 7.486(↑)으로 산소 공급이 부족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both EVD (External Ventricular Drain)에서 Lt는 출혈성, Rt는 옅은 분홍빛 소견을 보여 뇌실 내 출혈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간호사정 결과를 종합해보면, 뇌내출혈로 인한 뇌압 상승으로 의식저하, 반신마비, 동공반사 이상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산소 공급 부족과 출혈성 뇌실내 출혈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4. 간호목표 및 기대결과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적인 뇌 조직 관류 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뇌압상승으로 인한 의식수준 저하가 퇴원 시까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뇌압상승으로 인한 뇌 조직 관류의 증상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뇌압 상승으로 인한 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정상적인 뇌 조직 관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의식 수준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며, 뇌압상승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대된다. 신속한 관류 개선과 증상 관리로 대상자의 퇴원 및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5. 간호계획

간호계획은 뇌압상승과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장애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수립되었다.

첫째, 2시간마다 의식 사정(LOC, GCS, Pupil)을 하고 그 변화 양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는 두개내압 상승 시 대내피질에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의식수준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변화 양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두부 및 뇌손상이 있는 경우 자가 조절 기능의 손상으로 쿠싱 3대 징후인 고혈압, 서맥, 맥압 상승의 징후와 고체온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체액 저류를 관찰하기 위해 매시간 소변량을 체크하고 I/O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뇌의 관류부족이나 과다를 일으킬 수 있는 수분 불균형을 I/O를 확인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체내의 과다한 수분 축적은 두개내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넷째, 동맥혈 가스검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는 ventilator 적용한 환자의 setting값을 변경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수액 및 전해질불균형, 수술 후 치료에도 필요한 검사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상체를 30도 정도 올린 semi powler 체위를 하고 머리의 굴곡 또는 신전, 회전을 피하는 것이다. 이는 두개내압하강과 경정맥을 통한 정맥귀환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여섯째, 뇌내압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에만 suction하고 부드럽게 시행하는 것이다. 이는 비효율적 기도청결이나 호흡양상의 변화가 저산소증을 유발시켜 뇌조직의 허혈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일곱째, 고체온(37.5°C 이상)을 사정하고 고체온 시 정상체온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고체온증은 뇌의 과다 대사 요구량을...


참고 자료

도복늠 외 공저(2017).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상. 정담미디어
도복늠 외 공저(2017).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하. 정담미디어
도복늠 (1966). and Do Bok Neum. "우울증 환자의 간호." 대한간호 5.6 : 52-61.
신은순 (1976). "우울 신경증환자 간호연구 일례." 이화간호학회지 -.10 : 21-27.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한국건강관리협회 (한국건강관리협회)(2005). 건강소식 v.29 no.6 = no.319, pp.6 – 9
네이버 지식백과: [우울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28&cid=51007&categoryId=5100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