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신생아 ventilator weaning 간호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4.10.15
6,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신생아 ventilator weaning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공호흡기
1.1. 인공호흡기의 정의 및 목적
1.2. 신생아 호흡기 특징
1.3. 임상증상 및 적응증
1.4. 인공호흡기 치료 목표
1.5. 환기 양식
1.6. 인공호흡기 관련 용어 정의
1.7. 인공호흡기 적용중 간호
1.8. 인공호흡기 적용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2. 보육기
2.1. 보육기의 정의와 목적
2.2. 보육기 적응증
2.3. 보육기의 종류
2.4. 보육기 간호 단계
2.5. 보육기 주의사항

3. 방사보온기
3.1. 방사보온기의 정의와 목적
3.2. 방사보온기 사용시 주의사항

4. 기계적 환기
4.1. 기계적 환기의 정의와 적응증
4.2. 주요 환기 모드
4.3. 환기 모드별 특징

5. 산소요법
5.1. 산소요법의 정의와 검사 시기
5.2. 산소 공급 방법
5.3. 산소요법 시 주의사항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공호흡기
1.1. 인공호흡기의 정의 및 목적

인공호흡기는 대상자의 환기 기능이 나빠져 환자의 자발호흡만으로 폐 혈액가스 교환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할 때 대상자에게 기계장치를 동원하여 인위적인 호흡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부여한 기구이다. 인공호흡기의 목적은 ① 폐포 환기를 유지 및 개선시키기 위함, ② 호흡운동의 부담을 줄여 주고 심근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함, ③ 동맥혈 산소화를 유지 및 개선시키기 위함, ④ 호흡에 드는 노력을 감소시키고 안위증진을 도모하기 위함, ⑤ 호흡근육의 긴장도를 증가시키고 폐순환을 증가시키기 위함, ⑥ 적절한 가습을 유지시켜주기 위함이다.


1.2. 신생아 호흡기 특징

신생아 호흡기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폐포 환기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호흡수가 많다. 신생아의 폐포 환기 면적은 성인에 비해 작기 때문에 호흡수가 평균 30-60회/분으로 높다"".

둘째, 호흡중추의 기능이 미숙하여 무호흡이 일어나기 쉽다. 신생아의 호흡중추는 아직 발달이 미숙하여 주기적 무호흡이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다"".

셋째, 기관 내 튜브에 위해 기관이 편위하여 폐색이나 협착을 일으키기 쉽다. 신생아의 기도는 좁고 부드러워 기관 내 삽관 시 기관이 쉽게 편위되어 폐색이나 협착을 유발할 수 있다"".

넷째, 기도가 좁아 부종이나 분비물에 의한 협착이 일어난다. 신생아의 기도가 좁기 때문에 부종이나 분비물 등에 의해 기도 폐쇄가 쉽게 발생한다"".

다섯째, 폐혈관 저항이 높다. 신생아의 폐혈관 저항은 높아 산소화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여섯째, 폐 계면활성제 생성 분비가 부족하다. 신생아의 폐 계면활성제 생성이 부족하여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1.3. 임상증상 및 적응증

인공호흡기 적용의 임상증상 및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신생아에게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주요 임상증상은 호흡부전이다. 구체적으로 호흡수가 분당 80회 이상, 심한 함몰 호흡, 호기시 신음, 산소 40% 치료에도 청색증이 지속되는 경우, 심한 흡기부족, 지속적인 무호흡 등이 있다. 또한 동맥혈가스분석(ABGA)상 산소분압(PaO2)이 50mmHg 이하(70-100% 산소 공급에도), 이산화탄소분압(PaCO2)이 60mmHg 이상, pH가 7.2 이하인 경우에도 인공호흡기 적용이 필요하다.

인공호흡기 적용의 주된 적응증은 호흡부전이다. 폐포 환기 및 가스교환 기능이 저하되어 자발호흡만으로는 환자의 생리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인공호흡기를 적용하게 된다. 구체적인 적응증으로는 급성 호흡부전,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급성악화, 신경근육계 질환, 외상이나 수술 후 호흡근 기능 저하, 선천성 폐질환, 폐렴, 급성 폐손상 및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등이 있다.

인공호흡기 적용이 필요한 신생아의 경우, 호흡수가 매우 빠르고(80회/분 이상) 심한 함몰 호흡, 호기시 신음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산소 공급에도 청색증이 지속되는 등 산소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동맥혈가스 검사에서 저산소증과 고탄산혈증, 대사성 산증 등의 소견을 보인다. 이러한 임상증상과 생리적 지표를 근거로 인공호흡기 적용의 적응증을 판단하게 된다.


1.4. 인공호흡기 치료 목표

인공호흡기 치료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맥혈 산소분압(PaO2)을 50-80mmHg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적절한 산소화를 이루어 세포 단위에서의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하고자 한다.

둘째,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PaCO2)을 35-55mmHg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상적인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여 세포 대사와 기능을 원활히 유지하고자 한다.

셋째, 동맥혈 산도(pH)를 7.25-7.45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산-염기 불균형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생리학적 기능을 유지하고자 한다.

즉, 적절한 가스 교환과 산-염기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환자의 생리학적 안정을 도모하고 조직과 장기의 기능 보존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예후 향상과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1.5. 환기 양식

환기 양식에는 조절 환기법인 CMV(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보조 조절 환기법인 A/CMV(Assist-Control Mechanical Ventilation) 및 SAVI(Spontaneous Assisted Ventilation), 간헐적 강제 호흡법인 IMV(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와 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그리고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가 있다.

CMV는 환자의 호흡에 관계없이 일정한 호흡수로 호흡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VCV(Volume Controlled Ventilation)와 PCV(Pressure Controlled Ventilation)로 나뉜다. VCV는 정해진 '양'을 전달하며, PCV는 정해진 '압력'을 전달한다. 모든 호흡이 강제호흡이며 환자의 호흡동인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A/CMV와 SAVI는 CMV와 같이 정해진 호흡수가 인공호흡기를 통해 전달되지만, 그 외에도 triggering sensitivity만큼의 흡기 노력이 있을 때마다 assisted mandatory ventilation이 전달되는 방식이다.

IMV는 인공호흡기에 의한 일정수의...


참고 자료

최신아동건강간호학Ⅰ(수문사)
기본간호학Ⅱ(현문사)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서울아산병원
http://neo.amc.seoul.kr/asan/depts/neo/K/content.do?menuId=1742
http://amc.seoul.kr/asan/depts/neo/K/content.do?menuId=1742
http://neo.amc.seoul.kr/asan/depts/neo/K/content.do?menuId=1745
incubator
http://www.adhb.govt.nz/newborn/Guidelines/Admission/BabyInIncubator.htm
Radiant warmer
https://www.pediatriconcall.com/medical-equipment/incubators/4/radiant-heat-warmer--intensive-care-warmer/21
Umbilical Venous Cateter
https://blogs.brown.edu/emergency-medicine-residency/emergent-umbilical-venous-catheter-uvc-placement/
https://wikem.org/wiki/Umbilical_vein_catheterization#cite_note-1
Umbilical Artery Catheter
https://medcaretips.com/umbilical-artery-catheter/
O2 hood, optiflow, HFNC
https://www.pediatriconcall.com/medical-equipment/critical-care/8/oxygen-hood/31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nursing-and-health-professions/oxygen-hood
http://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06
https://rebelem.com/high-flow-nasal-cannula-hfnc-part-1-how-it-works
https://www.bsuh.nhs.uk/wp-content/uploads/sites/5/2016/09/Optiflow.pdf
https://annalsofintensivecare.springeropen.com/articles/10.1186/s13613-019-0569-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