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얼마 전 페이스북과 유튜브 등 SNS에 '06년생 폭행' 이라는 제목으로 폭행 장면이 담겨있는 영상이 공개되었다. 영상에는 노래방으로 추정되는 장소에서 한 여학생이 누군가에게 둘러싸인 채 괴롭힘을 당하고 있었다. 영상 속 피해 여학생은 피를 흘리고 고통을 호소하지만 그들의 괴롭힘은 멈추지 않았다. 이 사건은 06년생 중학생 무리들이 07년생 초등학생을 무차별적으로 폭행한 사건이다. 지난 10년간 청소년 범죄 중 절도와 강도 사건은 줄어든 반면 폭력 범죄와 성범죄 등 강력사건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이 발간한 '2019년도 사법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소년보호사건 중 폭행 사건은 총 1779건으로 2009년 465건에 비해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상해 사건도 2009년 1255건에서 지난해 1341건으로 늘었다. 교육부가 최근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1차 학교 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372만 명 중 6만 명(1.6%)이 학교 폭력을 당한 적 있다고 답했다. 더불어 학교폭력은 초등학교 이상의 청소년에게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유아기 때의 폭력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유아기의 폭력은 학교폭력과 비슷하기도 하지만 단순하고 일상적인 행동에서 나타난다. 이렇듯 학교폭력이 시작되는 연령이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해야할 것이다. 본론에서는 학교폭력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설명하고 예방 및 대처방안에 대해 이야기 하고 유아기에 나타날 수 있는 폭력에 대해 설명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폭력 예방을 위한 지도방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2. 학교폭력의 개념과 현황
2.1. 학교폭력의 개념
학교폭력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폭력행위로, 신체적 폭력, 언어적 폭력, 따돌림, 사이버 폭력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학교폭력의 개념은 학생 대 학생간의 폭력행위뿐만 아니라 교사 대 학생, 학생 대 교사 간의 폭력행위도 포함한다. 과거에는 신체적 폭력 중심으로 정의되었지만, 최근에는 언어폭력, 정서적 학대, 따돌림, 사이버 폭력 등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학교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피해를 주며, 가해자에게도 장기적인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2.2. 학교폭력 실태
학교폭력 실태는 다음과 같다.
지난 10년간 청소년 범죄 중 절도와 강도 사건은 줄어든 반면 폭력 범죄와 성범죄 등 강력사건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이 발간한 '2019년도 사법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소년보호사건 중 폭행 사건은 총 1779건으로 2009년 465건에 비해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상해 사건도 2009년 1255건에서 지난해 1341건으로 늘었다.
교육부가 최근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1차 학교 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372만 명 중 6만 명(1.6%)이 학교 폭력을 당한 적 있다고 답했다. 또한 점점 학교폭력이 시작되는 연령이 낮아지는 추세이다.
3. 학교폭력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3.1. 학교폭력의 위험요인
3.1.1. 개인요인
개인요인은 청소년의 폭력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격성이 대표적인 특성이다. 폭력행동을 하는 청소년은 충동적이고 반항적이며 타인에 대한 동정심이 부족하고 타인을 배려하지 못한다. 또한 규칙을 잘 준수하지 못하며 좌절과 스트레스를 참지 못한다. 더불어 폭력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고, 신체적 힘을 과시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 이들은 학업과 학교에 관심이 적고 타인에게 우쭐대고 싶은 심리가 강하다. 또한 자기와 관련된 피해의식, 과거 폭력 및 비행에 연루된 경험이 있으며, 담배나 알코올 등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타인과의 갈등을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주의집중, 정서장애와 심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3.1.2. 가정요인
가정요인은 청소년의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현대 가정은 핵가족화, 이혼가정의 증가로 인한 한 부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