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세 플라스틱 개요
1.1. 플라스틱 개요
플라스틱은 현대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재로 자리 잡고 있다. 연간 3억 톤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으며, 누적으로는 83억 톤에 달한다. 하지만 이 중 재활용되는 양은 14%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소각, 매립, 투기 등으로 처리되고 있다. 특히 바다 유입 쓰레기의 80%가 플라스틱이라는 점에서 플라스틱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플라스틱은 석유화학 제품으로 현대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플라스틱은 현대 사회에서 뼈, 조직, 피부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어 없어서는 안 될 필수재가 되었다. 그러나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의 선형경제 모델 아래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이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2. 미세 플라스틱의 정의와 분류
미세 플라스틱이란 길이나 지름이 5mm 이하로 잘게 부서지거나 작게 생산된 플라스틱 조각을 의미한다. 미세 플라스틱은 예상되는 발생원에 따라 1차 미세 플라스틱과 2차 미세 플라스틱으로 구분된다""
1차 미세 플라스틱은 생활 용품(치약, 세안용 스크럽제, 바디워시 등)의 원료로, 생산 당시부터 작게 만들어졌다. 이는 현재 법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기존의 플라스틱 대신 흑설탕, 곡물가루, 씨앗 등으로 대체되고 있다""
2차 미세 플라스틱은 해양 쓰레기 등의 큰 플라스틱 재료가 깨져 단편화 된 것이다. 어구, 부표 등이 대표적이며, 바다의 파도 등 기계적인 힘과 태양광(자외선)의 광화학 현상으로 발생한다. 자외선만 있어도 미세플라스틱이 만들어질 수 있다""
1.3. 미세 플라스틱 발생 원인
미세 플라스틱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용 또는 소각되지 않고 버려지는 대량의 플라스틱 쓰레기이다. 플라스틱 폐기물의 약 60%가 매립되거나 버려지고 있는데, 태워진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지구촌 곳곳에 고스란히 남아 떠돌아다니고 있다"
둘째, 바다로 유입되는 대규모 플라스틱 쓰레기이다. 장마나 태풍과 같은 자연현상으로 인해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강이나 바다 등으로 유입되고 있다.
셋째, 해양쓰레기 관리의 부재이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해양쓰레기 수거를 하고 있지만 대부분 유인도에 해당하고, 수거가 되지 않는 전국의 무인도는 쓰레기섬이 되고 있다.
넷째, 풍화작용에 의한 플라스틱 쓰레기의 분해이다. 버려진 플라스틱은 강력한 자외선을 받으면서 풍화작용에 의해 미세한 조각으로 계속 깨지게 된다.
다섯째, 어업을 위해 사용하는 부표나 유실어구 등이 미세플라스틱 발생의 원인이 된다. 해안에 쌓여있는 쓰레기 중 부표나 그물 등의 어구 쓰레기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미세플라스틱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은 사람들의 과도한 플라스틱 사용에 있다. 한국은 일회용 플라스틱을 많이 사용하는 나라 중 하나로, 연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무분별하게 버려진 플라스틱이 자연환경으로 유입되어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2. 미세 플라스틱이 해양생태계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2.1. 미세 플라스틱의 검출 경로
미세 플라스틱의 검출 경로는 다음과 같다.
조개, 생선, 소금(천일염), 수돗물(배수관), 벌꿀, 대기(타이어, 분진 등), 생수(유통과정 상 자외선 등)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천일염에서 34개, 암염에서 20개, 죽염에서 6개, 정제염에서 4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 암염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는 것을 보면 포장재, 유통 경로 등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킬로그램당 수도물에서 27개, 수입생수 2개, 국내 생수 1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 생수 속의 미세 플라스틱은 원수, 공장내 처리 시설, 병뚜껑, 병 재질 등의 이유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명확한 원인이 없다. 음용수 속의 미세플라스틱은 WHO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발표한 바 있다.
2.2. 미세 플라스틱의 부정적 영향
미세 플라스틱의 부정적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세 플라스틱의 섭취로 인한 물리적 영향이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작아 소화기관의 물리적 손상, 내장으로의 침투, 장기 내 축적 등의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섬모충류부터 어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생태계 생물종에서 소화관 막힘, 먹이섭취 감소, 장기 내부 손상 등이 확인되고 있다."
둘째, 미세 플라스틱의 화학적 특성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구조가 환경호르몬과 유사하여 면역 질환, 암 유발 등의 위험이 있다. 또한 미세 플라스틱에 흡착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이 생물체 내에서 농축될 수 있다."
셋째, 미세 플라스틱이 먹이사슬을 통해 상위 포식자에게 전이되어 생물 농축될 수 있다. 작은 플랑크톤부터 어류, 해양 포유동물까지 다양한 생물체에서 미세 플라스틱 섭취가 확인되고 있으며, 이는 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미세 플라스틱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과 함께 먹이사슬을 통한 생물 농축 등 다양한 경로로 해양생태계와 인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미세 플라스틱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해결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미세 플라스틱 문제 해결방안
3.1. Bio 플라스틱
바이오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썩는 플라스틱으로 알려져 있지만, 바이오를 소재로 한 플라스틱도 바이오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바이오 플라스틱을 구분하면 두 가지인데,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석유에서 유래되었으나, 미생물이 분화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박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