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 복막염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2.2. 원인 및 위험소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및 징후
2.5. 진단 방법
2.6. 치료
2.7.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의학적 치료 및 간호중재 내용
3.3. 간호과정 적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복막염(panperitonitis)은 복강 및 복강 내 장기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인 복막에 발생한 염증 혹은 자극 증상으로, 복막염은 세균감염, 위궤양-샘창자궤양의 천공, 막창자꼬리염-장티프스에 의한 장의 천공, 자궁 외 임신의 파열, 결핵과 암 등이 원인이 된다. 천공에 의한 복막염일 때는 순간적으로 심한 복통이 일어나고, 쇼크 증세를 나타낼 수 있다. 복막염은 국소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치료가 지연되면 염증이 복막 전체로 퍼지게 되어 수술이 어려운 경우도 있고, 장운동의 저하로 탈수 및 쇼크, 심하면 폐혈증으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복막염의 위험성을 알고 수술 후 환자의 간호에 대해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었으며 환자의 원활한 건강 회복을 위해 복막염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는 것이 연구 필요성 및 목적이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연구기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2018년 10월 01일부터 2018년 10월 05일까지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조선대학병원 55병동에 입원한 71세의 김00님으로, 2018년 10월 01일에 본원에 입원 후 입원 당일 수술을 받은 대상자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고찰, 대상자의 관찰과 면담, 환자 차트, cardex, 간호기록지 등을 자료원으로 하여 수집하였다."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복막은 배막이라고도 하는 복벽 안쪽과 복강 내 장기를 둘러싸는 하나로 이어지는 미끈하고 투명한 장액성 막이다. 복막은 장을 둘러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복막에 국소적으로 또는 전반적으로 염증이 생기는 것을 복막염이라 한다. 복강과 골반강 안쪽에 있는 벽측복막에는 폐신경이 분포하고 있으므로 날카로운 통증이 발생된다. 장측복막은 상대적으로 둔감하다."
2.2. 원인 및 위험소인
복막염은 크게 감염성 복막염과 비감염성 복막염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감염성 복막염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무균 상태의 복막강 내로 세균이 침입하여 복막에 염증이 유발되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의미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장관의 천공에 의한 것이며 결핵과 같은 전신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대장균, 임균, 진균, 결핵균, 녹농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폐렴균 등이 원인균이며, 가장 흔한 원인균은 표피포도상구균이다."
표피 포도상구균은 피부나 콧속 등에 흔히 존재하는 비 병원성 세균으로 도관입구를 통하여 직접 도관 주위 경로를 통하여 복강으로 침입하여 복막염을 유발할 수 있다." 황색 포도상구균은 표피 포도상구균 다음으로 흔한 복막염의 원인균으로 표피 포도상구균과 비교하여 독성이 강하고 항생제 치료에 저항성이 비교적 흔한 편이다."
비감염성 복막염은 무균 상태의 체액, 즉 혈액이나 담즙, 소변 등에 의해 유발되거나 무균 수술 후에 발생한 복막의 염증을 말한다."" 외상, 수술할 때의 기계적 자극이나 복막내 출혈,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으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충수염, 게실염, 소화성 궤양, 괴저성 담낭, 결장 염증, 감돈, 천공, 복부의 암 등의 합병증으로 인한 복막염도 포함된다.""
췌액이 복막으로 흘러들어갔을 경우 조직의 손상을 가져오기 쉽고 특히 지방괴사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괴사조직, 혈액을 포함한 침출물의 저류를 가져오면, 세균감염에 의한 2차적인 화농성복막염의 발생이 나타날 수 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도 비감염성 복막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수술 중 장 내용물의 오염 후에 발생하거나 당뇨, 악성종양, 영양결핍, 스테로이드...
참고 자료
고일선외 2인(2019),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이영휘외 9인(2017), 「성인간호학Ⅰ」, 정담미디어, p463-464
윤은자(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문영명(2013),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도서출판정담
신인철외 공역(2019), 「알기쉬운 약리학」, 메디컬사이언스
양선희외 공저(2019),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p53-54 , 355-359
양선희외 공저(2019),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이영휘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Ⅰ」, 정담미디어, p9, p399
대한민국 의약품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서울아산병원-건강정보-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13
[네이버 지식백과] 복막염 [periton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김금남 외 공저(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김금순 외 (2016). 성인간호학 Ⅰ&Ⅱ (제 8판).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2015).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네이버 지식백과-건강백과
https://terms.naver.com/list.nhn?cid=50871&categoryId=5087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전남대학교병원 검사정보 https://www.cnuh.com/health/inspect.cs?act=view&infoId=683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검사/시술/수술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9&tabIndex=0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www.cdc.go.kr/
드러그 인 포 http://patient.druginfo.co.kr/cp/msdNew/search/search_cp_main.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