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더클래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입차 가격 문제 분석
1.1. 쟁점 확인
1.2. 쟁점 분석
1.2.1. 과도한 중간 마진 추구
1.2.2. 국내 벤츠 수입의 불공정한 유통 구조
1.3. 대안 제시
1.3.1. 합리적인 가격 조정
1.3.2. 독과점 경쟁구조 개선 노력
2. Calculator.cpp 프로그램 구현
2.1. 프로그램 동작 분석
2.2. Calculator.cpp 코딩
2.2.1. 코드 구현
2.3. 실행 결과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입차 가격 문제 분석
1.1. 쟁점 확인
국내 수입차 관세가 대폭 인하되었지만 국내 수입차 판매 가격에는 변화가 없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이다. 이에 따라 2012년 10월부터 공정거래위원회가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하게 되었다.
한국과 유럽연합(EU)의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수입 자동차에 붙는 관세가 점점 낮아지면서 2012년 7월 이후 수입차에 붙던 8%의 관세가 3%까지 떨어졌음에도 불구, 실제로 국내 수입차 판매가격은 거의 떨어지지 않거나 아주 미미하게 떨어졌다. 거기에 해가 갈수록 최대 월간 실적이 갱신되는 등 수입차 판매 사업이 호조를 이루고 있는데도 높은 부품가격과 수리비가 유지되는 점도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불만이 점점 커지면서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속적인 조사를 실시하긴 했지만, 그동안은 과징금을 징수하는 데에 그치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그러나 2012 국정감사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강도 높은 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강력하게 제기 되었고, 10월부터 본격적으로 공정거래위원회가 나서서 전방위로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1.2. 쟁점 분석
1.2.1. 과도한 중간 마진 추구
관세 인하에도 불구하고 수입차 판매가격이 변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로 과도한 중간 마진 추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2010년 벤츠 C200 아방가르드 모델의 경우 관세가 8%였을 때 약 3,050만원에 수입되었으나, 현재 3% 관세 적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5,000만원의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2010년 관세 8% 부과 시 수입원가 3,050만원에 수입사 마진을 반영하면 약 5,000만원의 판매가격이 책정되었다. 하지만 2012년에는 관세가 3%로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수입원가는 3,442만원 수준이지만, 여전히 5,000만원의 판매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즉, 관세 인하분만큼 가격을 내리지 않고 오히려 20% 이상의 훨씬 높은 마진율을 챙기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수입차 업계가 관세 인하 혜택을 소비자에게 제대로 전달하지 않고, 과도한 마진을 취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1.2.2. 국내 벤츠 수입의 불공정한 유통 구조
국내 벤츠 수입의 불공정한 유통 구조는 다음과 같다. 국내 벤츠 수입 유통경로를 살펴보면 공식법인(메르세데스 벤츠 ...
참고 자료
한국 수입차 협회 홈페이지 http://www.kaida.com
더클래스효성 홈페이지 및 전화문의 http://www.theclasshyosung.com/
크루그먼의 경제학입문 제 2판, 폴크루그먼, 김재영 외 옮김, 2012
수입차 부품 유통 및 공임 관련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소비자원, 2012
한국자동차 애프터마켓 동향과 전망, 한국산업마케팅연구소, 2010
수입차 평균 수리비 소형차 값…“공정위 조사 나서야”, <비즈포커스>, 2012-10-12 http://news.sportsseoul.com/read/economy/1091674.htm
한-EU FTA 효과, 벤츠-BMW-아우디 싸진다, <한국경제>, 2012-07-02 http://www.wowtv.co.kr/newscenter/news/view.asp?bcode=T30001000&artid=A201207020164
벤츠코리아 지분 보유한 딜러 한성차, 불공정 경쟁 논란, <데일리안>, 2011-12-01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269091&sc=naver&kind=menu_code&keys=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