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아제 인지우선론과 비고츠키 언어우선론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행동주의 언어발달이론
2.1. 스키너의 언어발달이론
2.2. 반두라의 언어발달이론
2.3. 행동주의 언어발달이론의 장단점
3. 생득주의 언어발달이론
3.1. 촘스키의 언어발달이론
3.2. 레너버그의 언어발달이론
3.3. 생득주의 언어발달이론의 장단점
4. 상호작용주의 언어발달이론
4.1. 인지적 상호작용주의 / 인지우선론
4.2. 사회적 구성주의 - 비고츠키 / 언어우선론
4.3. 상호작용주의 언어발달이론의 장단점
5. 언어발달 이론의 종합 및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는 인류가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이다. 지구상의 모든 인류에게 언어가 있으며, 반대로 원숭이는 아무리 똑똑해도 인간과 같은 언어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를 통해 동물은 아무리 똑똑해도 인간과 같은 언어를 가질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따라서 언어는 인간의 정신 기능을 반영한 지표로서 인간만이 완전히 획득할 수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아기가 언어를 어떻게 발전시키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해 왔다. 언어발달은 부모의 사회나 경제적 지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열악한 저소득층 가정을 국가적·사회적 차원에서 지원해줌으로써 언어 발달이 지체가 될 우려를 막을 수 있었다. 영유아기에 적절한 돌봄과 양육을 경험하지 못한 아이들은 의사소통능력과 어휘력, 문장구성능력, 이해력 등이 뒤쳐지게 되는데 이때 교사는 영유아의 긍정적인 언어발달을 위해서 영유아시기에 이뤄지는 언어발달단계에 대해 인지하여야 한다.
2. 행동주의 언어발달이론
2.1. 스키너의 언어발달이론
스키너의 언어발달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언어 학습 과정을 자극(언어), 반응(모방), 강화(칭찬, 신체적 인센티브) 메커니즘의 '조작조건 작용' 과정으로 설명한다. 이 이론은 아기 주변 사람들의 반응이 아기의 언어 발달에 결정적인 품질 또는 양의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즉, 부모나 보호자가 영유아와 의사소통을 할 때 보상, 교정 또는 음의 강화가 영유아의 의사소통 행위 출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기의 말소리나 발음은 단순한 성인의 말을 흉내 낸 결과이고 일부는 독단이나 충동이라고 보고 있다.""
2.2. 반두라의 언어발달이론
반두라는 유아가 단어를 직접 강화함으로써 행동과 환경뿐만 아니라 인지도 유아 언어 학습의 중요한 요소라는 스키너의 주장을 비판했다"". 행동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고전적인 조건 형성이나 조작적인 조건 형성이 아닌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하고 표현하며 모방이 큰 역할을 했다는 주장인 셈이다"". 영유아의 경우 모델이 된 대표적인 성인으로서 부모가 부모의 언어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언어행동을 배운다고 본다"". 예를 들어 아기가 엄마의 양육행동을 관찰하고 인형놀이 속 행동을 적극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언어발달이론 [言語發達理論, language development theories] (교육심리학용어사전, 2000. 1. 10., 한국교육심리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언어 [language, 言語]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언어지도 교안
감각운동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991&docId=2070153&categoryId=41991
전조작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991&docId=2070168&categoryId=41991
구체적 조작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989&docId=1943635&categoryId=41989
형식적조작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1991&docId=2070172&categoryId=41991
Vygotsky,L.S.(1986), Tought and Language, Alex Kozulin(Tran. & Ed.)(Cambridge, Mass: The Massachusettes Institute of Technology)을 인용한 이성은(1993), 사고와 언어의 관계 관한 Vygotsky 이론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재인용.
성영혜(2014), 영유아발달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임규혁, (1996), 교육심리학, 학지사
박아청, (1992), 현대의 교육심리학(제3판), 학문사
김제한, (1993), 교육심리학, 서원출판사
김진만, (2017). 비고츠키 이론을 적용한 효과적인 교육방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