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유형중 로스만의 3가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 및 배경
1.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소개
1.3. 연구 목적
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2.1. 개인중심 모델
2.1.1. 특징
2.1.2. 사례
2.2. 집단중심 모델
2.2.1. 특징
2.2.2. 사례
2.3. 지역중심 모델
2.3.1. 특징
2.3.2. 사례
3. 로스만 모델의 적용 사례
3.1. 성북구 소리마을 재생사업
3.1.1. 사업 개요
3.1.2. 주민참여와 지역개발
3.1.3. 성과 및 한계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시사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 및 배경
지역사회복지는 사회복지의 한 분야로, 지역사회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사회복지 실천과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을 포함한다. 지역사회복지의 중요성 및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와 가족주의 변화로 인해 가족과 지역 공동체가 지니던 복지적인 기능이 약화하였다. 이를 보완하고자 하는 다양한 사회서비스와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였다.
둘째, 복지주의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경제적인 복지서비스로 전환되면서, 시설 수용 중심의 복지에서 벗어나 가정과 이웃과의 정상적인 활동 안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 복지 서비스가 강조되었다.
셋째, 지역사회의 중요성이 주민과 정책수립자가 인지하게 되면서, 지역사회 수준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복지는 등장하게 되었다.
넷째,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보다 과학적이면서도 전문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반영한 것이 지역사회조직사업이다.
이처럼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등장한 사회복지의 한 분야라고 볼 수 있다.
1.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소개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은 개인중심 모델, 집단중심 모델, 그리고 지역중심 모델로 구분된다. 개인중심 모델은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별적인 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한다. 이 모델에서는 개인이 직면한 문제를 개별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이는 개인의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문제 등을 해결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집단중심 모델은 집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단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모델은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며, 집단의 구성원들이 서로 협력하고 상호작용하면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집단의 복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지역중심 모델은 지역사회 전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모델은 지역사회 전체의 문제를 고려하고, 지역적 특성과 문화를 고려하여 지역사회의 복지를 향상시키려고 한다. 이는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과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1.3.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인 개인중심 모델, 집단중심 모델, 지역중심 모델을 각각 살펴보고, 이 중 관심 있는 모델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로스만 모델의 적용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며, 이를 위해 로스만은 개인, 집단,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세 가지 실천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모델의 특징과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참고 자료
이영철 외 공저, 지역사회복지실천론, 2003
전해황 외 공저,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08
박종훈,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2010
전영호, 도시 내 마을에 기반한 지역공동체 만들기 연구, 석사학위논문, 2002
박귀영, 2001, 지역사회복지와 시민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p.8~10
김한덕, 스마트 지역사회 복지론, 에듀파이터, 2020, p.154~166
유지연, 2016, 마을만들기를 통해 본 거버넌스의 위기와 민주적 거버넌스의 재구성: 성북구 삼태기마을과 소리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p.6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