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백혈병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백혈병 개요
1.1. 백혈병의 정의
1.2. 백혈병의 분류
2.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2.1.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3. 임상증상
3.1. 주요 증상
3.2. 합병증
4. 진단 및 검사
4.1. 진단검사
4.2. 검사 방법
5. 치료
5.1. 항암화학요법
5.2. 방사선요법
5.3. 조혈모세포 이식
6. 예후
6.1. 연령에 따른 예후
6.2. 예후 인자
7. 간호 과정
7.1. 대상자 개인력
7.2. 간호 사례
7.3. 간호진단
8. 간호진단 및 중재
8.1. 백혈구 감소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8.2. 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의 위험성
8.3. 불충분한 영양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8.4. 만성 질환과 관련된 무력감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백혈병 개요
1.1. 백혈병의 정의
백혈병은 혈액세포가 종양화하여 생긴 백혈병 세포가 혈액에 과잉으로 증가하는 종양성 질환이다. 이는 혈액 내 백혈구의 비정상적인 증식으로 정상적인 골수 기능이 방해받아 발생한다. 정상적인 혈구 형성이 저해되면서 백혈병 세포가 골수와 말초혈액에 축적되어 빈혈, 출혈, 감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백혈병은 비정상적으로 증식한 백혈병 세포로 인해 정상적인 혈액 세포의 생산이 방해받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1.2. 백혈병의 분류
백혈병은 크게 질환의 진행양상에 따라 급성백혈병과 만성백혈병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급성백혈병은 빠르게 진행하며 골수에서 백혈구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만성백혈병은 천천히 진행하며 골수에서 백혈구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백혈병은 백혈구의 종류에 따라 골수성 백혈병과 림프성 백혈병으로 구분된다"" 골수성 백혈병은 골수에서 생성되는 과립구와 단구의 증식이 증가하는 질환이며, 림프성 백혈병은 림프조직에서 생성되는 림프구의 증식이 증가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백혈병은 크게 급성/만성 및 골수성/림프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골수성 전구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
-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림프구 전구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
-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골수성 전구세포가 점진적으로 증식
-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림프구 전구세포가 점진적으로 증식""
이와 같이 백혈병은 세포 기원과 질병 진행 속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에 따른 특징과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2.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2.1. 정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은 15~39세 사이에 흔히 나타나며 성인의 급성 백혈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65%를 차지한다. 이 질환에서는 미성숙한 과립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골수에 축적되며, 이 비정상적인 백혈병 세포는 정상적인 조혈과정을 방해한다"이다.
2.2. 원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유전적 소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다운증후군, 클라인펠터증후군 등 염색체 이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서 급성 백혈병의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에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 걸렸던 경력이 있는 경우에도 성인기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둘째, 방사선 노출도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원자폭탄 폭발 지역 거주자나 의료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발병률이 높다.
셋째, 화학물질 및 항암제 노출도 위험 요인이 된다. 벤젠, 페놀, 염화비닐 등의 유기용매 또는 기존 항암화학요법제 투여로 인해 이차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흡연도 주요 위험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흡연자에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발병 원인은 다양하며, 특정 유전적 소인이나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2.3. 병태생리
백혈병의 병태생리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원인과 과정이 알려져 있다.
백혈병은 혈액세포가 종양화하여 생긴 백혈병 세포가 골수의 혈액에 과잉으로 증가하는 질환이다. 백혈병 세포는 처음에는 골수에 제한되어 있으나 차츰 말초혈액뿐만 아니라 다른 기관과 조직을 침범한다. 골수에 백혈구가 축적되면 정상적인 조혈을 방해하므로 골수는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백혈병은 미성숙세포인 아구가 증가하는 급성 백혈병과 성숙세포가 증가하는 만성 백혈병으로 나뉜다.
백혈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일부 환자에서 암 유전자 혹은 염색체 이상이 관찰되지만, 일관되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다. 또한 바이러스, 방사선조사, 유기용매 혹은 환경적인 요인 등이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환자 개개인의 발생 원인을 밝히지는 못한다. 다만 아동기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치료를 받은 경우나, 다운증후군, 클라인펠터증후군과 같은 유전적 소인이 있는 경우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혈병 세포는 염색체 이상이나 특정 암 유전자의 존재로 정상세포의 성장조절 기능이 손상되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백혈병 세포가 골수를 침범하면 정상적인 조혈기능이 억제되어 빈혈,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백혈병 세포가 말초혈액과 다른 장기로 퍼져나가면서 다양한 임상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결국 백혈병의 병태생리는 정상적인 혈액세포의 발달과정에 문제가 생겨 비정상적인 백혈병 세포가 과다 증식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로 인해 정상 조혈기능이 저하되고 백혈병 세포가 다른 장기로 침범하면서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3. 임상증상
3.1. 주요 증상
대부분의 증상과 징후는 정상 혈구의 불충분한 생성에 기인한다. 고열과 감염은 호중구감소증으로부터, 허약감과 피로는 빈혈로부터, 그리고 출혈 경향은 혈소판감소증으로부터 나타난다. 기관 내 백혈병세포의 증식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데, 간과 비장비대로 인한 통증, 잇몸의 비...
참고 자료
근거기반간호과정(2019)/성미혜 외 3인/수문사
건강사정(2019)/ 은 영, 전미양 외 공역/수문사
성인간호학1,2 /김근순 외 7인/수문사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2판』, 현문사, 2018
「백혈병」,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895)
「백혈병」,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324&cid=51007&categoryId=51007)
Suzanne C. Smeltzer 외 공저, 『성인간호학 Volume 1』, 군자출판사.
「급성 골수성 백혈병」,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79)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WPQOVUE7HF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D%98%88%EC%95%A1-%EC%A7%88%ED%99%98/%EB%B0%B1%ED%98%88%EB%B3%91/%EA%B8%89%EC%84%B1-%EA%B3%A8%EC%88%98%EC%84%B1-%EB%B0%B1%ED%98%88%EB%B3%91#Acute Myeloid Leukemia_ko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출혈이 잦고, 멍이 잘든다면 ‘급성 골수성 백혈병’?> - 사진출처
http://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53839&pWise=sub&pWiseSub=B5
https://prezi.com/p/8d9r7khpubaq/presentation/
황옥남. 성인간호학 상, 하. 현문사,2018.
양선희 외(2017), 기본간호학ⅠⅡ, 서울: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1.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https://nedrug.mfds.go.kr/index.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의료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41.
서동교. (2021).당뇨병발의 원인, 진단, 합병증 및 치료. 대한의사협회지,64(8),523-528.
최한석, 한지숙, 이광훈, 조상호. (2003).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 동반된 피부백혈병 1례. [MED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