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학적 학습 원리와 인간의 사고, 인지, 기억과정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결과에 비추어볼 때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아이들과 젊은 세대들이 어떻게 하면 창의성을 가진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미래 인재 양성의 필요성
1.2. 심리학적 학습 원리와 창의성 발달의 관계
2.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적 인재 양성
2.1. 창의성의 개념과 중요성
2.2.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창의성 발달 요인
2.3.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3. 현 한국 교육의 문제점
3.1. 주입식 교육과 암기 위주의 평가
3.2. 과도한 경쟁 중심 교육
3.3. 창의성 개발 기회 부족
4.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개선 방안
4.1. 탐구 기반 학습 환경 조성
4.2. 창의적 사고를 장려하는 교육 과정
4.3. 실패를 통한 학습 기회 제공
4.4.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 변화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미래 인재 양성의 필요성
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가상현실, 사물인터넷 등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및 사물인터넷 간의 융합 등을 통해 새로운 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혁명적 변화'를 이끄는 기술들은 이제 우리 생활에 상당히 깊숙이 들어와 있다. 4차 산업 혁명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편리함으로 무장된 생활의 변화뿐 아니라, 직업 세계와 관련성이 높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인해 현대사회에서는 미래 인재에 대한 요구가 예전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으로 높아졌으며 단순한 지식 습득만으로는 미래에 대응할 수 없다. 미래에는 지식의 양이 아니라 학습능력이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다. 이처럼 오늘날 이러한 지식 집약적 산업의 발전 속에서 창의성을 가진 인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우리의 교육 시스템에 대한 점검과 혁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1.2. 심리학적 학습 원리와 창의성 발달의 관계
심리학적 학습 원리와 창의성 발달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심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창의성은 연령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자주성을 길러주는 교육 방식을 통해 창의성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창의성은 연령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라나는 아이를 둔 교육자와 양육자들은 '자주성'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심리학에서는 자주성 발달을 위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1) 규칙이 많지 않고 비교적 자유로운 환경 제공, 2) 아이들이 스스로 규칙을 정하게 하기, 3) 다양한 시도에 대한 포용, 4) 실패를 통한 학습 기회 제공, 5) 도전을 장려하기 등이다.
둘째, 사고 기법 도구함을 이용한 훈련을 통해 창의성을 키울 수 있다. 사고 기법 훈련이란 상황과 목적에 맞는 다양한 사고 기법들을 익히고 적절히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창의성은 특정 상황에 맞는 최적의 사고 기법을 선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바탕으로 발휘된다.
따라서 심리학적 학습 원리에 따르면, 학습자의 자주성을 신장시키고 다양한 사고 기법을 익히게 하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창의성 발달에 핵심적이다. 이는 단순한 지식 암기가 아닌, 스스로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
2.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적 인재 양성
2.1. 창의성의 개념과 중요성
창의성이란 "새로운 생각이나 산물을 만들어 내는 것", "기존의 정보를 끌어내고 새롭게 조절함으로써 유용한 어떤 사물이나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능력", 혹은 "새로움에 이르게 하는 개인의 사고 관련 특성" 등으로 정의된다. 창의성은 특정한 아이디어나 산출물이 사회·문화 속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실현 가능할 때 발휘되므로 창의성은 기존의 관습과 권위들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에서 시작한다. 따라서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개방적 사고가 필수적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니라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진 인재가 필요하다. 기술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인간만이 발휘할 수 있는 창의성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이 주도하는 사회에서는 기존의 방식을 답습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2.2.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창의성 발달 요인
창의성은 연령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연령이 올라갈수록 창의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자라나는 아이를 둔 교육자와 양육자에게 어떻게 하면 자주성을 길러줄 수 있는지가 중요한 문제이다. 심리학에서는 창의성 발달을 위해 다섯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아이들에게 지켜야 할 규칙은 많지 않고 비교적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규칙은 아이들 스스로 정하게 하여 자율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아이들의 다양한 시도에 따른 결과를 포용할 줄 알...
참고 자료
[진단과 대안]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창의 교육의 실제적 방법 https://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527
이랑, 4차 산업혁명 새로운 직업 이야기, 드림리치, 2018
김대호, 창조경제정책의이해, 2014
이선영(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제23권, https://docviewer.nanet.go.kr/reader/viewer
오인탁(2017),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52권,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00675
주영달(2020),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제도 개선 과제」 대한교육법학회 32권, file:///C:/Users/82107/Downloads/KCI_FI002584485.pdf
인간행동의심리학적 이해 학습자료 500307_2022_인간행동의심리학적 이해
최연구(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미래연구포커스.
손연기(2021). [특별기고]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 교육은 변해야 한다. 한국대학신문.
인간행동의 심리학적 이해 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