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중영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프랑스 누벨바그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2.1.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의 등장
2.2. 영화 '자전거 도둑'의 내용
2.3. 영화 '자전거 도둑'의 영화사적 의미
2.3.1. 사회문제
2.3.2. 시대상
2.3.3. 비판적 시선
2.3.4. 진실성
2.3.5. 로케이션 촬영
2.3.6. 다큐멘터리의 객관성
2.4. 개인적인 평가
3.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
3.1. 프랑스 누벨바그의 특징
3.2. 영화 '네 멋대로 해라'의 영화사적 의미
3.2.1. 편집과 카메라 기법의 혁신
3.2.2. 반영웅적 주인공과 사회 비판
3.3. '네 멋대로 해라'에 대한 개인적 평가
3.4. 모방 불가능성의 요소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과 프랑스 누벨바그는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영화 운동이다.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영화 운동으로, 전쟁의 상흔과 사회적 현실을 사실적으로 담아냈다. 비전문 배우, 자연광, 실제 장소 촬영 등을 사용해 사실적 묘사를 강조했으며, 당시 이탈리아의 가난과 실업, 전쟁의 여파 등 사회적 문제를 다루었다. 이를 통해 네오리얼리즘 영화는 관객에게 큰 감동을 전달했다. 프랑스 누벨바그는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 사이 프랑스에서 시작된 영화 운동으로, 기존의 영화 제작 방식과 다른 자유롭고 실험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주었다. 누벨바그 감독들은 고정된 스튜디오 촬영을 벗어나 거리로 나와 촬영하고, 전통적인 영화 문법을 깨는 편집과 내러티브를 시도했다. 이를 통해 당시 프랑스의 사회적 변화와 개인의 삶을 다루며 영화의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제시했다..
2.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2.1.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의 등장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의 등장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이루어졌다. 이는 반파시즘 운동의 산물이었다.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본격적인 개화는 군사적 패배로 인해 파시즘이 와해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운동의 씨앗만큼은 영화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쳐 이미 오래전부터 싹트고 있었다.
네오리얼리즘의 시초를 살펴보면, 문학의 경우 조반니 베르가(Giovanni Verga)의 '베리스모(진실주의)'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영화의 경우에는 니노 마르토글리오(Nino Martoglio)의 1914년 작 를 네오리얼리즘의 전신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탈리아의 베리스모는 프랑스 문학의 주된 흐름인 자연주의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지만, 단순히 모방하지 않고 이탈리아의 특수한 역사적, 문화적 상황에 맞춰 변형시켜 나갔다. 이러한 베리스모의 특징은 2차 대전 전후의 이탈리아에서의 문학과 영화에 영향을 미쳐 네오리얼리즘이라는 창작 경향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이렇듯 네오리얼리즘은 이탈리아 문화 전반에서 시작해 자연스럽게 영화에 영향을 주었다. 네오리얼리즘 영화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편집기사 마리오 세란드레이(Mario Serandrei)가 영화 를 언급하면서였다고 한다. 루키노 비스콘티(Luchino Visconti)는 네오리얼리즘 영화가 학파나 사조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등장한 '움직임' 혹은 '운동'이라고 주장하면서, 당시 현실 문제에 대한 저항보다는 사회적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한편, 1943년 이탈리아의 「영화Film」이라는 잡지에 움베르또 바르바로(Umberto Barbaro)가 처음으로 네오리얼리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이 용어는 프랑스의 시적리얼리즘을 칭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네오리얼리즘 영화는 1945년부터 1954년경까지 약 10년 동안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일련의 영화들을 일컫는다. 이 영화들은 전후 이탈리아의 비참한 현실을 그대로 담아냈으며, 비전문 배우 기용, 로케이션 촬영 등의 특징을 보였다.
이처럼 네오리얼리즘 영화는 기존 파시스트 정권 하에서 제작된 스타 배우 중심의 '백색전화기 영화'와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며, 이탈리아의 현실적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대변했다고 볼 수 있다.
2.2. 영화 '자전거 도둑'의 내용
감독 비토리오 데 시카의 영화 '자전거 도둑'은 안토니오와 그의 가족 이야기를 통해 이탈리아 현실 세계의 사회 하층 시민들의 고난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하층 사회의 두 가지 주요 문제인 실업과 빈곤을 중점적으로 반영한다. 안토니오가 안정적인 직장을 잃게 된 후 그의 가족은 경제적 어려움에 빠지게 되었다. 안토니오와 가족들은 작은 아파트에 살면서 기본적인 생활을 위해 매일 고민했고, 삶의 존엄성을 유지하기 위해 물건들을 팔아야만 했다. 안토니오가 직장을 다시 얻었을 때 조건은 자신의 자전거를 갖는 것이었다. 자전거는 안토니오에게 단순한 교통수단일 뿐 아니라 미래로 나아가는 필수품처럼 안정된 일을 다시 찾아 존엄을 유지하는 기회를 상징한다. 자전거가 없으면 기회를 놓치고 그의 삶은 다시 절망으로 빠질 것이다. 자전거를 잃어버린 후 안토니오는 경찰서에서 신고했지만 경찰은 더 중요한 일에 바빠 스스로 찾아보라고 했다. 이는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직업 역할을 잘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보여준다. 안토니오가 자전거를 찾는 과정에서 빈민굴에서 자신보다 더 어려운 생활 여건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자전거를 훔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사람들은 일을 찾을 기회도 없고 불법적인 활동을 통해 삶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식당에서 안토니오와 아들이 피자를 시킬 때 옆 테이블에서 여유롭게 식사하는 아이와의 대비는 당시 사회의 빈부격차를 암시한다. 영화 속 안토니오 이야기는 전쟁 후 하층 사회의 사람들이 살기 위해 몸부림치는 삶과 그들이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를 보여준다. 특히 안토니오의 실업과 경제적 어려움은 이탈리아 시민들이 직면한 대표적인 문제를 드러낸다.
2.3. 영화 '자전거 도둑'의 영화사적 의미
2.3.1. 사회문제
영화 '자전거 도둑'은 2차 세계대전 후 이탈리아 사회가 직면했던 심각한 사회문제를 생생하게 담아냈다. 전쟁의 폐허로 인한 경제 파탄과 실업, 가난 등이...
참고 자료
장일·김예란(2024). 대중영화의이해, KNOU PRESS.
앙드레 바쟁, 박상규 역,『영화란 무엇인가?』,서울:사문난적,2013.
로랑스 스키파노, 이주현 옮김, 『이탈리아 영화사』, 동문선, 2001.
허인, 『이탈리아 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5.
진승현, “리얼리즘 미학에 나타난 미장센의 내적 의미 연구 – 홍상수영화의 일상과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5권제2호, 2015.2
송영애,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등장과 쇠퇴 배경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현대영화연구소, 2008.
장일·김예란(2024). 대중영화의이해, KNOU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