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산업재해 레포트 느낀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업안전 및 보건 정책
1.1.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
1.2.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의 안전문화 발전
1.3. Bradley Model과 안전 문화 발전 단계
1.4. 영국 로벤스 보고서와 시사점
1.5. 화학공정안전관점에서의 화재·폭발 사고사례 분석
2. 소방공무원의 작업환경과 건강관리
2.1. 소방관과 화재진압대원의 개념
2.2. 소방공무원의 근무여건 및 문제점
2.3. 소방공무원의 직업성 질환
2.4. 소방공무원 보건의료정책 개선방안
3. 국제 재난 사례 연구
3.1. 필리핀 하이옌 태풍
3.2. 국제재난 사례연구의 배경과 중요성
3.3. 국제재난의 해결방안 및 장단점
3.4. 예방과 관리를 위한 개선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업안전 및 보건 정책
1.1.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
산업재해 통계는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하여 사망 또는 부상을 입거나 질병에 걸린 근로자(재해자)를 집계한 것이다. 이에 제시한 산업재해 현황을 기반으로 산업재해 추이를 살펴보면, 재해율은 2004년부터 감소추세를 보였지만, 2021년부터 증가추세에 있으며, 2023. 9월말 재해율은 0.49%로 전년 동기 대비 0.01%p 증가했다. 또한, 300인 미만 사업장 재해율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다가 2004년부터 감소추세를 보였지만, 2021년에는 소폭 증가했으며 2023. 9월말 300인 미만 사업장 재해율은 0.51%로 전년 동기 대비 0.01%p 증가했다. 한편, 업무상 사고 사망만인율은 2012년 이후로 지속하여 감소추세를 보였으며, 2023년 9월말 0.28로 전년 동기 대비 0.04p 감소했다. 전체 사망자수는 2023년 9월 말 1,49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6명(10.5%) 감소했으며, 사고 사망자수는 2023년 9월 말 59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명(6.6%) 감소했고, 질병재해자수는 2023년 6월 말 11,40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0명(1.7%) 증가했다. 따라서, 재해율 등의 전반적인 재해 관련 지표는 외환위기 이후 경기회복세로 인한 제조업 가동율과 건설 수주액 증가, 안전보건 규제 완화, 사업장 내 안전보건관리조직의 약화, 2003년부터 5인 미만 사업장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확대와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비정규직, 외국인, 고령근로자 등 산재 취약계층의 증가 등에 기인하여 1998년 이후 2004년까지 증가했다. 그렇지만, 2001년부터 실시한 50인 미만 제조사업장에 대한 클린사업 등의 재정·기술지원사업과 2004년부터 실시한 사망재해 예방대책 등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2004년 이후로는 감소추세로 반전되었다. 이와 같이 산업구조 및 고용환경의 변화 등으로 비정규직·외국인·고령·여성 등의 산재 취약계층 근로자의 증가와 소규모사업장에 대한 대기업의 하도급 증가 등의 재해 유발 요인은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재해다발위험에 대한 집중 관리 등의 산재 취약계층에 대한 실효성 있는 예방정책 및 사업을 개발하여 행정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또한, 재해 예방기관 간 역할과 기능 재정립을 통한 예방 사업의 재해감소의 효과 극대화를 추진하며, 산업 및 고용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재해 유발 요인에 대한 예방기술의 개발과 예방 법제를 개선해야 한다.
1.2.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의 안전문화 발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의 안전문화 발전은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보장하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다. 기업은 능동적으로 안전문화를 형성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지만, 이를 강제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개입도 필요하다.
기업은 자체적으로 안전수칙을 수립하고 준수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안전교육을 실시하여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높여야 한다. 또한 안전보건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근로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내어 안전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국가는 기업의 안전문화 형성을 지원하고 강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정기적인 안전점검과 처벌 등의 강력한 규제를 통해 기업이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안전보건교육, 자금지원, 기술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기업의 안전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이와 같이 기업과 국가가 협력하여 안전문화를 발전시킬 때, 근로자의 안전이 보장되고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도 가능해질 것이다. 기업의 자율적인 노력과 국가의 체계적인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Bradley Model과 안전 문화 발전 단계
Vernon Bradley는 1995년에 브래들리 곡선 모델(Bradley Curve Model)을 개발하여 안전 문화 발전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브래들리 곡선 모델은 모든 종류의 산업과 규모에 적용이 가능하며, 안전 습관을 형성하고 개선함에 따라서 사고율이 감소할 것이라는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이 모델은 기업이 안전 사고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거쳐야 하는 안전 문화 발전 단계를 보여준다.
브래들리 곡선 모델은 크게 4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는 반응적 단계(Reactive)로, 조직은 사고가 발생한 후에만 대처하며, 해당 사고 원인을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종속적 단계(Dependent)로, 조직은 규정, 절차, 규칙 등을 도입하여 안전을 개선하려고 하지만 직원들은 관리자의 지시와 안전 규칙을 따르는 것에 의존한다. 세 번째 단계는 독립적 단계(Independent)로, 조직은 개인의 책임감과 안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여 직원들이 스스로 안전한 행동을 취하고 동료의 안전에 관심을 기울인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상호의존적 단계(Interdependent)로, 조직은 안전 문화를 전체 직원이 공유하는 핵심 가치로 인식하고 모든 구성원이 서로의 안전에 대한 책임을 느끼며 협력한다.
이러한 브래들리 곡선 이론은 조직의 안전 문화 발전을 나타내는 모델로서 조직의 안전 문화 평가와 개선을 도울 수 있다. 기업은 이 모델을 활용하여 현재 안전 문화 단계를 파악하고, 사고 관련 KPI를 설정 및 분석하며, 개선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안전 문화를 발전시켜 ...
참고 자료
권혁면 외 6인 공저, 「산업안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21
박영수 저, ‘로벤스 보고서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e-나라지표 : https://www.index.go.kr/
Britannica Visual Dictionary © QA International 2012.(www.ikonet.com) All rights reserved.
유혜림기자, [中 쓰촨성 해발 4000m 고산지대 산불…"소방관 30명 사망"], TV조선, 2019-04-03
『대한민국의 소방』,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대한민국의_소방, 2019-04-13
이원희, 『소방공무원 보건관리체계 법제화 방안연구』, 소방방재청 발간자료, 2008, p14-42, 84, 96
이성훈기자, [폭염에 20kg 방화복 입어보니 땀 줄줄...“베테랑도 탈진”], SBS뉴스, 2018-04-13
이유현 and 권기헌. (2017). 국제사회의 재난정책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 한국 재난정책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26(4), 255-290.
구보경. "재난구호를 위한 국제개발협력."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부산
지역 사회 보건 간호학 편찬 위원회. (2019). 수문사.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2
우지연, 2016.04.29., [사회] 필리핀, ‘석탄 소비 절감’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동참해야할 것, 신흥지역정보 종합지식포탈, https://www.emerics.org:446/issueDetail.es?brdctsNo=186690&mid=a10200000000&search_option=&search_keyword=&search_year=&search_month=&search_tagkeyword=&systemcode=03&search_region=&search_area=¤tPage=90&pageCnt=10, 2023.05.03.
김종석, 손찬영, 문영일, 2014, 초대형 태풍 '하이옌'과 미래태풍전망, 한국수자원협회 (한국수자원학회), p.49-54
KOICA, 2020. 1, 필리핀 재해경감을 위한 마닐라 통합 홍수 조기예경보 시스템 구축사업(2021-2025/1,270만불) 집행계획(안) v.1
원호섭, 김미연, 2013.11.12.,필리핀서 시속 379㎞ `하이옌` 왜 발생했나? 한국은?,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it/5786917,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