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 구조 분석
1.1. 시퀀스 1 - 주인공 배경 소개 및 갈등 발생
이 작품은 주인공 셋, 유달, 케롤, 사이먼의 모습을 통해 그들의 배경을 보여주며 유달과 트러블이 생기는 캐롤과 사이먼의 모습을 보여준다.
유달은 주민들이 꺼려하는 강박증 환자로 묘사된다. 그의 극도의 강박증과 험한 말투는 주민들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다. 한편 케롤은 아들을 극도로 아끼며 외로운 웨이트리스이고, 사이먼은 게이라는 이유로 유달에게 심한 말을 듣는 화가이다.
이들 간의 갈등이 드러나는데, 유달이 버델을 쓰레기통에 버리자 버델을 찾는 사이먼과 아들을 언급하는 말에서 유달에게 발끈하는 케롤의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프랭크에게 꼼짝없이 당하는 유달의 모습과 아침 시간표를 철저히 지키는 유달의 모습을 통해 그의 강박증이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이를 통해 작품 초반 세 주인공의 성격과 그들 간의 갈등 상황이 소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 주긴장축 1 - 완벽한 일상에 흠이 생긴 유달
사이먼이 강도를 당하게 되어 유달이 버델을 방안에 들이게 되며, 체계적인 유달의 하루가 깨지기 시작한다. 사이먼이 길거리에서 어슬렁거리던 무리들에게 피습당하자 강도를 당하게 되고, 이에 프랭크에 의해 유달이 버델을 맡게 된다.
유달은 반려견 버델에게 점점 친근감을 느끼며, 스스로도 호의적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주변 사람들로부터도 호감의 시선을 받게 되고, 소설 작업도 마무리한다. 하지만 프랭크가 사이먼에게 유달씨에게 버델을 맡겼다고 하자 사이먼은 불안해한다.
이처럼 버델을 돌보는 과정에서 유달의 사회성이 발전하고, 완벽한 일상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는 유달의 강박증이 점차 완화되고, 그간 소외되어왔던 주변인들과 관계를 회복해나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달은 버델을 통해 자아를 발견하고 타인과 연결되며, 일상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변화와 성장의 기회를 맞게 되는 것이다.
1.3. 버델을 돌보는 과정에서 사회성 발전
버델을 돌보는 과정에서 유달의 사회성이 발전하였다. 유달은 반려견인 버델을 돌보면서 점차 호의적이고 친밀한 태도로 변화하였다. 버델과 산책하는 와중에도 도로의 실금을 밟지 않는 등 여전히 강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주변 사람들로부터 호감을 받는 등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소설 작업을 마침으로써 자신감과 자아실현감을 느낄 수 있었다. 프랭크가 사이먼에게 유달이 버델을 돌보고 있다고 알리자 사이먼은 불안해하였는데, 이는 유달의 변화된 모습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버델을 돌보면서 유달의 사회성이 점차 발전하였으며,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1.4. 버델이 사라지자 일상의 강박이 돌아온 유달
버델이 사라지자 일상의 강박이 돌아온 유달은 자신의 일상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