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농산가공학실험: 쌀 도정도 및 신선도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쌀의 종류와 이용역사
1.2. 도정 과정의 중요성
2. 쌀의 도정도 실험
2.1. 육안관찰법
2.2. 구조판별법
2.3. 화학염색법
3. 쌀의 신선도 실험
4. 찹쌀과 멥쌀의 판별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쌀의 종류와 이용역사
벼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매우 중요한 재배식물 가운데 하나이다. 벼는 이미 수천 년 전부터 재배되었는데, 다른 곡물과 마찬가지로 야생식물과 재배식물로 구별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벼 농사는 인도 갠지스 강 부근의 저지대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장 오래된 쌀알이 발견된 알라하바드 남쪽에 있는 주거지 발굴 층의 정보가 너무 불충분하여 쌀알 잔해가 기원전 9000년의 것인지, 기원전 7000년의 것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우리나라에 벼가 언제 전래되었는지에 대해 고고학자들은 윈난 지역에서 양쯔 강을 거쳐서 화이허 - 산둥반도 - 황해를 거쳐 한강 하류 황해도나 황해도 장산곳, 또는 산둥반도 - 랴오둥 반도 - 한반도의 경로를 거쳤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벼의 조상을 찾아서 올라가보면 자연에서 자생하는 야생 벼를 만나게 된다.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 서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등 전 세계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원시 벼가 없는 것으로 보아 벼가 다른 곳에서 한반도에 들어온 것이 정설로 여겨지고 있다.
고고학 발굴조사를 통해 발견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는 경기도 고양군 일산읍에서 발굴된 것으로 원형에 가까운 벼 껍질은 탄소연대측정으로 4~5천 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다. 그래서 지금까지는 우리나라에서 벼 재배가 시작된 시기를 기껏해야 5천 년 전으로 잡을 수 있다.
쌀은 벼 열매의 껍질을 벗긴 알갱이로 장립형과 단립형이 있다. 구조는 왕겨·과피·종피·호분층·배유 및 배아로 되어 있고, 종류로는 멥쌀과 찹쌀처럼 아밀로오스의 함량의 차이에 따라서 나누고, 또한 도정의 정도에 따라서 현미·5분도미·7분도미·백미 등으로 분류한다. 산지에 따라서는 경기미·호남미·인천쌀 등으로 나누고 가공별로 강화미와 알파미 등으로 분류한다.
1.2. 도정 과정의 중요성
쌀은 우리나라 식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식량자원이다. 쌀의 도정 과정은 가공 특성을 높이고 영양성분을 개선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정이란 현미나 보리와 같은 곡립에서 껍질층인 왕겨와 호분층을 제거하여 배유(씨젖) 부분만을 가공하는 과정을 말한다. 벼는 왕겨층, 미강층(겨층), 배(씨눈), 배유(씨젖)로 구성되어 있다. 현미는 왕겨층만 제거한 것이며, 쌀은 현미에서 겨층을 더 제거한 것이다. 따라서 도정 과정은 벼에서 왕겨층과 미강층을 제거하여 쌀을 생...
참고 자료
농산가공학, 김동연 외, 영지문화사, 16~23, 1990
한국 식생활에서의 쌀의 역사와 문화, 김광언,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7(2) 175~179, 1992
쌀을 알자, 최해춘, 신구문화사, 67~70, 110~123, 1997
쌀 농업의 생력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한 경쟁 모델과 지역 시스템 개발, 농림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5~217, 1999
농산식품가공학, 김재욱 외, 문운당, 13~32, 2000
농산식품가공학, 고정삼, 광일문화사, 49~55, 2002
식품가공저장실습, 남궁석 외, 선진문화사, 14~19, 2002
농산가공식품의 이론과 실제, 김종균, 석학당, 161~164, 2003
식품가공실험, 김동원 외, 문운당, 39~42, 2006
쌀의 역사와 식미, 김성곤,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4~48, 2003
오만진 외, 농산식품가공학, 선진문화사, 43~62, 2007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농림수산식품부, 264~276, 2009
식품가공저장학, 신해헌 외, 지구문화사, 276~283, 2009
김재욱, 2000, 농산식품가공학, 문운당
한스외르크 퀴스터, 2016. 곡물의 역사. 서해문집.
이상민, 2011. 벼 유기재배, 이담북스.
식품생명과학연구회, 2018, 식품기사 실기시험문제, 크라운출판사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한국식품과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AT FIS 식품산업통계정보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