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신규간호사 성장과정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4.10.14
6,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신규간호사 성장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용어의 정의

2. 문헌고찰
2.1. 업무수행 평가
2.2. 프리셉터
2.3. 신규간호사 예비교육
2.4. 학습유형
2.5. 지도유형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연구대상
3.3. 연구도구
3.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3.5. 자료분석 방법

4. 간호교육팀 운영
4.1. 간호교육팀 개요
4.2. 간호교육팀 조직 및 업무
4.3. 간호교육팀 로드맵

5. 전년도 및 금년도 업무 추진
5.1. 전년도 업무 추진 현황
5.2. 금년도 주요 추진 계획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병원도 현대기업들과 마찬가지로 급속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고자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기업구성원의 능력개발을 추구하고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게 함으로써 구성원 개인은 물론 병원 전체조직의 적응력을 향상시키려 하고 있다. 병원인력의 42-45%를 차지하고 있는 간호 인력의 관리는 병원관리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적관리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미국에서는 연간 간호사의 적정 이직률을 5-10%로 보고 있는데 반하여 우리나라의 간호사 평균 이직률은 1994년에는 22.9%, 2007년에는 15.8%로 낮아지고는 있지만 적정수준 보다는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적정수준보다 높은 간호사 이직율은 병원조직에서 신규간호사 수를 증가시키고 병원 조직 관리에 있어 인적 자원관리에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한다. 신규간호사들이 초기에 겪는 가장 어려운 점은 간호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한꺼번에 익혀야 하는 지식과 기술이 너무 많다는 것이고, 신규간호사들이 간호실무를 익혀 자신 있게 환자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병원계에서는 신규간호사가 빠르게 병원 조직의 간호단위 업무에 적응하고 독립적으로 업무수행 할 수 있도록 병원 전체 신입직원을 위한 조직 오리엔테이션에서부터 전문적 이론 교육 및 실기교육을 진행하고 교육기간을 연장하등 빠른 조직사회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적 노력들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신규간호사들의 조직 적응 및 빠른 사회화를 위해서는 조직의 상급자가 신규간호사를 파악하는 것과 더불어 직접 교육을 담당한 프리셉터와 신규간호사 스스로가 자각한 개개인의 요구과 경험에 근거해 업무수행 능력을 평가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고 이의 결과를 예비교육 과정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육 후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간의 업무수행평가를 비교하고 신규간호사의 학습유형과 프리셉터의 지도유형에 따른 업무수행평가를 비교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육 후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간 업무수행평가를 비교 할 것이다.

둘째, 신규 간호사 학습유형별로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간 업무수행평가 차이를 규명할 것이다.

셋째, 프리셉터의 지도유형별로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간 업무수행평가 차이를 규명할 것이다.

넷째, 학습 유형과 지도유형별 신규간호사의 자자평가와 프리셉터 업무수행 평가 차이를 규명할 것이다.


1.3. 용어의 정의

가. 프리셉터 일정기간 동안 신규간호사의 성장과 발달을 돕고 역할 모델이 되며 신규간호사를 가르치고 상담하며 고양시키는 경력간호사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프리셉터 과정을 이수하고, 현재 신규간호사 교육에 참여한 간호사를 지칭할 계획이다."

나. 신규간호사 간호사 면허 소지자로 병원에 채용되어 6개월 이내의 간호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간호사로 채용되어 수술실을 제외한 간호단위에서 2012년 3월에서 5월 사이에 예비교육을 받은 간호사를 지칭할 계획이다."

다. 예비교육 예비교육은 ○○병원에 정규 채용 후 부서배치 전에 실시한 교육으로 신규 간호사에게 적용하는 4일간 병원 오리엔테이션, 3일간 이론교육,5일간의 기본 간호 수기술 교육 후 병동은 5주동안, 중환자실은 9주 동안 간호단위에서 실시한 임상실습 교육을 의미할 계획이다."

라. 업무수행 평가 전문직으로 간호업무는 전인간호 및 개별 간호의 이념에 근거하여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및 재활에 대한 요구 등의 제반 문제를 파악하여 그 해결을 위한 간호 계획을 세우고 수행하며 평가하는 것이다(하영수,1984).본 연구에서는 한국간호평가원에서 개발한(2008)21개문항의 신규간호사 만족도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5명의 실무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신규간호사 업무수행 평가도구로 명명하고 일부 수정한 도구로 측정한 값을 의미할 계획이다."

마. 학습유형 학습자가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할 때 선호하는 방법이며, 구체적인 경험, 명상적 관찰, 추상적 개념화, 능동적 실험의 4단계로 나타나며 어느 특정한 단계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돌아가며 일어난다고 하였다(Kolb,1981). 본 연구에서는 Kolb(1984)의 이론을 근거로 일본 Sanno대학에서 만든 논리-감각 차원, 독립-의존 차원으로 분류한 논리-독립형, 논리-의존형, 감각-독립형, 감각-의존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계획이다."

바. 지도유형 리더의 지도방법에 따른 독특한 유형으로 다른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주기 위해 일어나는 행동특성을 분류한 것을 말한다(서울대학교 교육 연구소,1994).본 연구에서는 Kolb(1984)의 이론을 근거로 일본 Sanno대학에서 만든 도구로 학습유형을 논리-감각, 지원-주도차원으로 구분하여 논리-지원형 논리-주도형, 감각-지원형, 감각-주도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계획이다."


2. 문헌고찰
2.1. 업무수행 평가

업무수행 평가는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 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간호업무와 관련된 행동특성을 확인하여 간호사의 전문적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임상간호사회(2006)에 따르면 간호업무수행 평가의 목적은 간호조직에서 정해 놓은 간호 표준이 얼마나 잘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간호직원에 대한 동기화를 촉진시키고 간호조직의 생산성을 높이며 궁극적으로는 간호대상자에게 수준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Longford(1971)는 간호업무수행 평가를 통해 간호사의 현재와 잠재적 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빠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간호사의 불만을 야기시키지 않고 간호업무에 대한 동기화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Schwirian(1978)은 간호업무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지도력, 중환자 간호, 교육/협동, 계획/평가, 대인관계/의사소통, 전문적 발전의 여섯 가지 영역을 개발하였다.

한편, 간호업무수행 평가는 평가자에 따라 상급자 평가와 자가 평가로 구분된다. 상급자 평가는 상급자가 하급자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평가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상하간의 긴장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자가 평가는 피평가자 스스로 자신의 능력과 성격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자기발전을 도모하고 상하간의 이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가 평가는 평가 점수가 과도히 높거나 자신의 단점을 감출 수 있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자가 평가는 업무과정과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형성 평가 목적으로만 이용되어야 하며, 상급자 평가와 함께 활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간호업무수행 평가는 간호사의 전문적 능력 향상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상급자 평가와 자가 평가를 병행하여 평가의 객관성과 간호사의 자기개발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2.2. 프리셉터

프리셉터는 신규간호사의 새로운 역할을 습득하고 사회화할 수 있도록 제한된 시간 동안 신규간호사의 성장과 발달을 돕고 역할모델이 되며 신규간호사를 가르치고 상담하고 역할시범을 보이는 경험 많고 유능한 경력간호사이다. 프리셉터는 신규간호사에게 진심 어린 동정과 배려를 통하여 병원의 적응을 돕고 전문적인 의료인을 양성하는 역할을 한다.

프리셉터의 역할 수행에는...


참고 자료

김창경(2008),프리셉터와 신규간호사간의 업무수행평가 비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강다영,김산영 외(1996).신규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이화간호학회지,(29)
기채영(1997).학습양식 및 선호하는 수업방식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희(2008).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경희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애,김혜숙 외(1998)신입간호사 교육기간 단축에 따른 프리셉터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대한간호,37(4)
김민정(2007).프리셉터와 신규간호사의 역할수행도.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보열,박성애(1999).간호업무수행에 대한 자가평가 및 상급자 평가가 직무 모티베이션과 간호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간호학 논문집(1).51-53
김정숙(1990).간호사의 승진제도에 대한 인식조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애(1990).신규채용 간호사의 예비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연,김인숙(2005).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쉽 경험.임상간호연구,10(2),75-88
김조자,박지원(1990).신규간호사의 역할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간호학회지,20(1)
김지영(2003).프리셉터 지도유형과 신규간호사의 학습유형이 신규간호사의업무수행과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숙(1995).신규간호사의 간호행위 수행정도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노정자(1991).간호사 근무성적 평정제도의 인식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류은혜(2004).프리셉터의 업무수행에 관한 연구.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마상준(1997).고등학교학생의 학습양식에 관한 군집분석.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동서(1990).인사행정론.법문사.박성애,이병숙(1984).간호관리실습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대한 간호학회지(12)
박원우(1999)관리자능력에 대한 본인,상사,부하평가의 특성과 그들간의관계:다면평가의 효과적 실시를 위한 기초적 실증연구,인사조직연구,8(1),51-104.
박정순(2007).프리셉터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신규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아주대학교 대학원호 석사학위논문
백현옥, 한상숙, 이상철(2005).임상간호사의 업무수행 평정도구개발. 대한간호학회지,35(1),95-103.
박현정(2005).학습자의 학습스타일에 따른 학습전략 및 과제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혜진(1998).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을 위한 프리셉터 업무조사.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병원간호사회 사업보고서(2006).간호성과 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인사고과도구개발
병원간호사회 사업보고서(2007).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변영순(1997).신규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매희(1990).간호사들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도 조사연구.경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양성금(2006).신규간호사 예비교육 만족도와 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조사연구.순천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영숙(1992).수간호사 근무평정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유옥수(1996).계획된 예비교육이 역할전이에 미치는 효과.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명림(1994).신규간호사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신규간호사의 스트레스 정도.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옥임(2000).신규간호사 예비교육 만족도와 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재창(1994)상사부하의 교환관계가 상호평가에 미치는 영향.연세대학교심리학과 박사학위논문.
이점덕(2006).프리셉터 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영희(2002).프리셉터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경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상간호사회 사업보고서(1993).신규간호사 임상적응 실태조사 및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에 대한조사연구
이원희,김소선,한신희,이소연,김기연(1995).임상실습 교육 개선을 위한 일 실습지도자 활용모델(preceptorshipmodel)적용 및 효과에 관한 연구.-암센터,재활센터,중환실 실습중심으로-,대한간호학회지,25(30),581-595.
이정희,김동옥(2000).프리셉터 경험이 프리셉터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대한간호,6(2),345-358.
이정애(1997).일부 병원의 신규간호사와 오리엔테이션에 관한 조사연구. 간호행정학회지,3(1).83-92
이호경(2005).신규간호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관계 연구.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정연화(2007).중환자실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역할 갈등에 대한 비교연구.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옥분,박용숙(2001).실무지도자 활용모델(preceptorship)경험 후 시간경과에 따른 실무지도자(preceptor)의 업무수행도와 직무만족도 변화. 임상간호사연구,7(1),131-148.
조문수(1994).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에 대한 자가평가와 상급자 평가의 비교 연구.서울대학교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전영신(2007).간호사 업무수행에 대한 다면평가 연구.전북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문수,박성애(1996).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에 대한 자가 평가와 상급자평가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간호학 논문집 10(1).71-85
최선숙(1996).신규간호사의 간호단위별 예비교육과 간호수행정도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공옥(2001).간호학생 임상실습교육에서 실습지도자활용(preceptorship)의 교수효율성.경기전문대학교논집. 29.51-58
최순옥(2004).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과정 모델 개발.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과 박사학위 논문
하영수(1984).간호업무 이론개발에 관한 연구.간호학회지(7)5-17한국간호평가원(2008).간호호교육 평가 관련 교육 및 연구결과 한국보건의료 관리 연구원(1996).의료의 질 향상
한상숙,양남영,송선호(2003).프리셉터 업무수행 자율성 임파워먼트 조직 몰입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9(4),641-650.
황동조(1999).지도유형과 학습유형간의 상관관계 및 지각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lexander, Gordon & Jensen(1962). Nursing service adminis -tration. St.Louis: TheC.V. Mosby Company
Anderson. S. L. (1991) Preceptor teaching strategies: Behavior that facilitateroletransition in seniornursing students.Journal ofNursingstaffdevelpment,Jul/Aug,171-175.
Andrews,C.A(1987). Orienttion : Graduates' perception of initiation.Nursing Management,18(11), 110-111
Balcain, A & Bowier,P.(1997). Action research Applied toa preceptor program.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13(4),193-197.
BellingerS.& McCloskey(1992).PreceptorsforOrientation of New Nurses Effective.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8(6), 321~337
Brasler,M.E.(1993).Predictorofclinicalperformanceofnew graduate nurse sparticipating inpreceptor -orientationprogam,Journal of Continuing Educatuon Nursing,24(4), 158-165
Cox,D.(1988).A teachingtrade; preceptor,leader,management.Journalof Nursing staff develop- ment, 4(1), 22-26.
Dale Yoder(1962). Personal management & Industrial Relations, 4th,565-568.
Duncan,W,J.(1981).OrganizationalBehavior,MifflinCo.,2nd.
Hartline(1993).Thesocializationofcustomer- contactemployeesinservice organizations : Effects on employee behaviors service quality outcomes, Thesis (Ph.D.) Memphis State University,1993.
Knox,J.,& Mogan,J.(1987).Characteristicsof'Best'& 'worst'clinical teachersasperceivedbynursing faculty& student,Journal ofNursingEducation,12,331-337.
Kolb.D.A(1981).Learning styles and disciplinary differences. In A.W. Chamont,A.U.,& -Kupper.(1989),Learning strategies in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Foreign Language Annals, 22(1),13-24
Kolb.D.A(1984).Experimentallearning.EnglewoodCiffs:N.J.Prentice-Hall Kozma, R. B., Belle, L. W., -& Williams, G. W.(1978). Instruction techniques in higher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technologypublication. KramerM,Schmalenberg,C.Biculturaltraining & New graduate role,1978.
Longford,T.(1971).TheEvaluationofNursing,Supervisornurses,Nov.
Maier,N.(1973).Psychological industrialorganization,23(5)247.
Goldrick,B.,Gruendermann,B.,Larson.E.(1993).Learning styles and teaching/learning strategy preference; Implication for educating nurses in criticalcare,the operating room,and infection control.Hreart& lung:JournalofcriticalCare, 22(2),176-182
Hardy,M.E.(1988).Role Theory:Perspective for health Professionals, 2nded,Apple-century,New York
MMC(1995).Preparing the nurse preceptor.Preceptor workshop,Mayo
MedicalCenter(1995).Department ofnursing. Modic,M.B.,& Bowman,C(1989). Developing a preceptor program; What are the ingredient.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pment,18(4),133-136.
Morgan,M.K.,& Irby,D.M.(1978).Evaluation ClinicalCompetencein Hospital Profession, Mosby Co5-6
Shamian, J. & Inhaber, R. (1985). The concept and practice of preceptorship in comtemporary nursing; a review of pertinentliterature,InternationalJournalofNursing Studies, 22(2),79-88.
Schwirian, P. M.(1978). Evaluation the performance of nurses ;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27((6), 346-351.
Young, S., Theriault, J. & Collins, D.(1989). The nurse preceptor: preperation andneeds,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pment, 5(3),2-26.12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