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농산가공학실험] 쌀 도정도 신선도 및 찹쌀 멥쌀 판별법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농산가공학실험] 쌀 도정도 신선도 및 찹쌀 멥쌀 판별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쌀의 종류와 이용 역사
1.2. 쌀의 도정 과정

2. 도정도 실험
2.1. 육안관찰법
2.2. 구조판별법
2.3. 화학염색법

3. 신선도 실험
3.1. 햅쌀과 묵은쌀의 판정

4. 찹쌀, 멥쌀 판정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쌀의 종류와 이용 역사

벼는 이미 수천 년 전부터 재배되었는데, 다른 곡물과 마찬가지로 野生植物과 裁培植物로 구별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벼 농사는 인도 갠지스 강 부근의 低地帶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유감스럽게도 가장 오래된 쌀알이 발견된 알라하바드 남쪽에 있는 주거지 발굴 층의 정보가 너무 불충분하다. 그래서 쌀알 殘害가 紀元前 9000년의 것인지, 기원전 7000년의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렇다면 벼는 우리나라에 언제 전래되었을까? 考古學者들은 윈난 지역에서 양쯔 강을 거쳐서 화이허 - 산둥반도 - 황해를 거쳐 한강 하류 황해도나 황해도 장산곳, 또는 산둥반도 - 랴오둥 반도 - 한반도의 經路를 거쳤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쌀은 벼 열매의 껍질을 벗긴 알갱이로 장립형과 단립형이 있다. 구조는 왕겨·과피·종피·호분층·배유 및 배아로 되어 있고, 종류로는 멥쌀과 찹쌀처럼 아밀로오스의 함량의 차이에 따라서 나누고, 또한 도정(搗精)의 정도에 따라서 현미·5분도미·7분도미·백미 등으로 분류한다. 산지에 따라서는 경기미·호남미·인천쌀 등으로 나누고 가공별로 강화미와 알파미 등으로 분류한다.

멥쌀과 찹쌀은 일본형과 인도형이 모두 메벼와 찰벼가 있으므로 생산이 되는 것이며, 이들 벼의 차이는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함량의 차이이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에 멥쌀은 반투명하고 찹쌀은 유백색이다. 찹쌀은 수분함량이 많으면 반투명해져서 멥쌀과 구별하기 힘들지만 건조하면 유백색이 된다. 찹쌀은 배유세포 내의 전분함량이 낮아서 건조하면 배유 내부에 미세한 간격이 생기므로 유백색을 띠게 된다. 찹쌀의 비중은 1.08이고 멥쌀의 비중은 1.13으로 멥쌀이 약간 무겁다. 멥쌀은 약 80%가 아밀로펙틴이고 나머지가 아밀로오스인 데 비하여, 찹쌀은 아밀로오스를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다. 전분(澱粉:녹말가루)의 호화(糊化:물과 함께 열을 가함)온도는 찹쌀은 70℃ 이상이고 멥쌀은 65℃이며, 요오드반응은 멥쌀은 청자색을 띠지만 찹쌀은 적갈색을 나타낸다.쌀은 옥수수와 밀과 함께 3대 곡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반이 주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식생활에서 쌀이 차지하는 의미는 단지 식량자원資源에 그치지 않는다. 쌀은 삶의 일부이면서 생활 속에서 신앙으로 자리를 잡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부족국가 시대부터 쌀로 술과 떡을 만들어 제사를 지냈으며 조상에게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도 흰밥, 떡국, 송편 등, 쌀을 이용한 음식과 쌀로 빚은 술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요즘에는 그렇지 않다. 최근에는 글로벌화와 함께 외국外國과의 교류交流가 빈번하여지고 다양한 외국 음식이 들어왔다. 젊은 층들이 선호選好하는 음식飮食이 바뀌고 쌀의 소비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


참고 자료

농산가공학, 김동연 외, 영지문화사, 16~23, 1990
한국 식생활에서의 쌀의 역사와 문화, 김광언,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7(2) 175~179, 1992
쌀을 알자, 최해춘, 신구문화사, 67~70, 110~123, 1997
쌀 농업의 생력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한 경쟁 모델과 지역 시스템 개발, 농림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5~217, 1999
농산식품가공학, 김재욱 외, 문운당, 13~32, 2000
농산식품가공학, 고정삼, 광일문화사, 49~55, 2002
식품가공저장실습, 남궁석 외, 선진문화사, 14~19, 2002
농산가공식품의 이론과 실제, 김종균, 석학당, 161~164, 2003
식품가공실험, 김동원 외, 문운당, 39~42, 2006
쌀의 역사와 식미, 김성곤,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4~48, 2003
오만진 외, 농산식품가공학, 선진문화사, 43~62, 2007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농림수산식품부, 264~276, 2009
식품가공저장학, 신해헌 외, 지구문화사, 276~283, 2009
김재욱, 2000, 농산식품가공학, 문운당
한스외르크 퀴스터, 2016. 곡물의 역사. 서해문집.
이상민, 2011. 벼 유기재배, 이담북스.
식품생명과학연구회, 2018, 식품기사 실기시험문제, 크라운출판사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한국식품과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AT FIS 식품산업통계정보
두산백과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