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가공학실험 쌀 도정도 신선도 찹쌀 멥쌀 판별법

  • 1
  • 2
  • 3
  • 4
  • 5
  • 6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농산가공학실험 쌀 도정도 신선도 찹쌀 멥쌀 판별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쌀의 종류와 이용 역사
1.2. 도정 과정의 중요성

2. 쌀의 도정도 실험
2.1. 육안관찰법
2.2. 구조판별법
2.3. 화학염색법

3. 쌀의 신선도 실험
3.1. 햅쌀과 묵은쌀의 판정

4. 찹쌀과 멥쌀의 판별
4.1. 요오드 반응을 이용한 판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쌀의 종류와 이용 역사

벼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매우 중요한 재배식물 가운데 하나이다. 벼는 이미 수천 년 전부터 재배되었는데, 다른 곡물과 마찬가지로 야생식물과 재배식물로 구별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벼 농사는 인도 갠지스 강 부근의 저지대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가장 오래된 쌀알이 발견된 알라하바드 남쪽에 있는 주거지 발굴 층의 정보가 너무 불충분하여 쌀알 잔해가 기원전 9000년의 것인지, 기원전 7000년의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우리나라에 벼가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고고학자들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고고학자들은 윈난 지역에서 양쯔 강을 거쳐서 화이허 - 산둥반도 - 황해를 거쳐 한강 하류 황해도나 황해도 장산곳, 또는 산둥반도 - 랴오둥 반도 - 한반도의 경로를 통해 벼가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는 경기도 고양군 일산읍에서 발굴된 것으로, 원형에 가까운 벼 껍질은 탄소연대측정으로 4~5천 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우리나라에서 벼 재배가 시작된 시기를 기껏해야 5천 년 전으로 추정할 수 있다.

쌀은 벼 열매의 껍질을 벗긴 알갱이로, 장립형과 단립형으로 구분된다. 쌀의 구조는 왕겨·과피·종피·호분층·배유 및 배아로 되어 있으며, 종류로는 멥쌀과 찹쌀이 있다. 멥쌀과 찹쌀의 구분은 전분 구성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멥쌀에는 amylose가 들어있지만 찹쌀에는 amylose가 거의 없고 amylopectin이 대부분이다.

쌀은 전 세계 인구의 약 반이 주식으로 사용하는 3대 곡물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 쌀은 단순한 식량자원을 넘어서 삶의 일부이자 신앙의 대상이 되어왔다. 부족국가 시대부터 쌀로 술과 떡을 만들어 제사를 지냈으며, 조상에게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도 쌀을 이용한 음식과 술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글로벌화와 외국 음식의 유입으로 인해 젊은층의 선호도 변화 및 쌀 소비 감소, 우리 식생활 문화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1.2. 도정 과정의 중요성

현미는 가장 바깥층에 은녹백색의 과피가 있고 그 내부에 얇...


참고 자료

농산가공학, 김동연 외, 영지문화사, 16~23, 1990
한국 식생활에서의 쌀의 역사와 문화, 김광언,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7(2) 175~179, 1992
쌀을 알자, 최해춘, 신구문화사, 67~70, 110~123, 1997
쌀 농업의 생력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한 경쟁 모델과 지역 시스템 개발, 농림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5~217, 1999
농산식품가공학, 김재욱 외, 문운당, 13~32, 2000
농산식품가공학, 고정삼, 광일문화사, 49~55, 2002
식품가공저장실습, 남궁석 외, 선진문화사, 14~19, 2002
농산가공식품의 이론과 실제, 김종균, 석학당, 161~164, 2003
식품가공실험, 김동원 외, 문운당, 39~42, 2006
쌀의 역사와 식미, 김성곤,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4~48, 2003
오만진 외, 농산식품가공학, 선진문화사, 43~62, 2007
농림수산식품주요통계, 농림수산식품부, 264~276, 2009
식품가공저장학, 신해헌 외, 지구문화사, 276~283, 2009
김재욱, 2000, 농산식품가공학, 문운당
한스외르크 퀴스터, 2016. 곡물의 역사. 서해문집.
이상민, 2011. 벼 유기재배, 이담북스.
식품생명과학연구회, 2018, 식품기사 실기시험문제, 크라운출판사
식품과학기술대사전, 2008. 4. 10., 한국식품과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AT FIS 식품산업통계정보
두산백과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