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디지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디지털 무역과 정책 및 현황
1.1. 디지털 무역의 정의
1.2. 디지털 무역 협정
2. 디지털콘텐츠 소비
2.1. 디지털 콘텐츠 정의
2.2. 한국의 디지털 콘텐츠의 소비현황
3. 디지털 격차
3.1. 디지털 격차의 개념
3.2. 디지털 격차와 교육문제
3.3. 디지털 격차 해결 방안
4. 집단극화 현상
4.1. 집단극화의 개념
4.2. 집단극화 현상의 사례
4.3. 집단극화 해결 방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디지털 무역과 정책 및 현황
1.1. 디지털 무역의 정의
디지털 무역이란 온라인 매체를 활용해 정보 및 재화를 국경 간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디지털로 이용한 무역과 디지털을 대상으로 하는 무역 모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는 온라인으로 제품을 구매하고 판매하는 행위이지만 디지털 무역과 디지털 경제는 전자상거래, 인터넷 관련 산업과 기술 등을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이다. 디지털 무역의 대상은 주로 디지털 매체를 통해 교역되는 상품 및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와 정보가 해당된다. 디지털 무역의 장점으로는 운영비용의 절감 효과, 글로벌 시장 진출의 용이성 등이 있다.""
1.2. 디지털 무역 협정
디지털 무역 협정은 디지털 무역의 규율과 자유화를 위해 주요국들이 추진하고 있는 국제협정들이다. 디지털 무역의 급성장과 확산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제 규범은 매우 미비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국가들은 양자 간 또는 다자간 FTA(자유무역협정)에 디지털 무역 관련 규범을 도입하거나 별도의 디지털 무역협정을 체결해왔다.
대표적인 디지털 무역 협정으로는 CPTPP, 미-일 디지털 무역협정, DEAP 등이 있다. CPTPP는 일본을 중심으로 11개국이 추진한 경제동맹체로, 디지털 무역 자유화를 위한 규범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CPTPP 참여를 검토 중이다. 미-일 디지털 무역협정은 독자적인 디지털 무역 협정의 사례로, 데이터 현지화 금지, 암호화 기술 규제 등 디지털 무역 자유화를 위한 의무 규정을 담고 있다. DEAP은 싱가포르, 뉴질랜드, 칠레 간 체결된 최초의 다자간 디지털 무역협정으로, 디지털 무역 촉진을 위한 다양한 협력 규범을 포함한다. 한국 정부도 DEPA 가입을 검토 중이다.
이처럼 디지털 무역 협정들은 데이터 자유 이동, 디지털 콘텐츠 관세 부과 금지 등 디지털 무역 분야의 자유화와 규범 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무역이 보다 활성화되고 국가 간 디지털 경제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2. 디지털콘텐츠 소비
2.1. 디지털 콘텐츠 정의
디지털 콘텐츠란 아날로그 콘텐츠를 디지털화하여 저장, 생산, 유통하며 소비되는 형태를 말한다"". 유무선 정보통신망에서 유통되는 문자, 음향,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통해 쌍방향으로 송수신되는 정보콘텐츠이다"". 디지털 콘텐츠에는 음악, 웹툰, 영화, 애니메이션, TV프로그램(예능, 드라마), PC 및 모바일 등 다양한 게임 서비스, 개인 스트리밍 서비스 및 E-스포츠와 같은 라이브 콘텐츠, 1인 미디어 콘텐츠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서비스들을 TV,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다양한 기기로 접할 수 있다"".
2.2. 한국의 디지털 콘텐츠의 소비현황
디지털 콘텐츠의 소비 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OTT(Over-The-Top) 서비스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이다. OTT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로,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Netflix, Tving 등이 있다.
한국의 OTT 서비스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기준 OTT 서비스 시장 매출액은 약 8억 3,200만 달러로, 2016년부터 연평균 27.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특히 SVOD(Subscription Video-On-Demand, 월정액 구독 서비스) 시장이 OTT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2020년 SVOD 시장 매출액이 전체 OTT 시장의 약 98%인 8억 1,600만 달러에 달하며, 2016년부터 연평균 27.9%씩 성장하였다. 반면 TVOD(Transaction Video-On-Demand, 단건 결제 서비스) 시장은 2020년 기준 전체 OTT 시장의 약 2%인 1,600만 달러 수준이지만, 2016년부터 연평균 12.8%씩 ...
참고 자료
디지털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동양문헌
유광현, 전동석. 2021. 『국경 간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국내 간편결제플랫폼의 해외 진출방안』. 무역상무연구. 91. pp.137-157.
윤웅희, 벨기에 브뤼셀무역관, 「디지털경제 전환에 발맞춰 OECD 디지털세 최종합의」, 『KOTRA』, 2021년 10월 25일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list/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1457 (2021년 12월 3일 접속)
신현주 기자,「“영상 누가 공짜로 봐요” 넷플릭스 등 OTT이용자 대폭 증가」,『서울 경제』, 2019년 8월 26일, https://www.sedaily.com/NewsView/1VN4BFG0CK/GD0501 (2021년11월5일 접속)
이금노. 2021.“디지털무역규범 동향과 소비자 정책 시사점”.『소비자정책동향』.113. pp.1-23.
전용욱, 전병준. 2012.『모바일환경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현황과 활성화』. 전자무역연구. 10(4). pp.55-77.
정유석. 2021. 『디지털 경제활동에 대한 디지털세 과세동향과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무역연구.17(1). pp.277-291.
송민선, “[시장동향]한국, 일본, 중국의 OTT시장 매출액 및 가입자 현황”, 2021 October N0.2, KISD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4, 2021년10월26일.
서기만. 2011. "OTT 서비스의 이해와 전망. 방송과 미디어".『한국 방송·미디어공학회』.16(1). pp.91-101.
정용국, 장위. 2020. “구독형 OTT 서비스 특성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넷플릭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2). pp.123-135.
노동환. 2019. 『OTT기반 방송서비스의 전망과 시장변화』.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01-101.
이효영. 2021.『디지털 무역 관련 국제규범의 동향과 쟁점』. 주요국제문제분석.14-1. pp.1-32.
강준하. 2019. 『CPTPP와 포용적 성장. 국제경제법연구』.17(3). pp.7-29.
김민정. 2021.『디지털통상 규범 발전과 통상법 쟁점 연구』.통상법무정책. (1). pp.58-79.
정윤경. 2014. “N스크린 시대 온라인 비디오 콘텐츠 유통 비즈니스 모델 비교를 위한 넷플릭스(Netflix)와 훌루(Hulu)연구”.『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4(5). pp.30-43.
권만우, 이상호. 2015. 『방송의 보완적 서비스인가 파괴적 혁신인가?』. 방송문화연구.27(1). pp.9-37.
박용석·박세호·이경택 2012. “디지털 모바일 방송 기반 N 스크린 콘텐츠 제공". 『방송공학회지』.17(1). pp.86-91.
정순태. 2019.『디지털무역 자유화를 위한 지역무역협정의 성과와 과제』.무역연구.15(5), pp.315-335.
전동석, 유광현.(2020). 디지털 무역 활성화를 위한 e-Payment 활용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87, pp.67-86.
우기훈, 신성식. 2020. "디지털무역자유화와 개인정보보호의 무역제한적 요소에 대한 연구: EU GDPR을 중심으로".『무역학회지』.45(3). pp.71-89.
KITA.NET, “‘한-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협상 개시 선언···양국 간 최초", 2020년 6월 22일,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ercNews/cme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1799394&no=1&classification=&searchReqType=detail&searchCate=&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Type=title&searchCondition=TITLE&searchKeyword=,(2021년 12월 3일 접속).
서양문헌
Omdia(2021.8), TV & Online Video Intelligence Database.
코로나로 급증하는 키오스크, 노인 위한 대안 필요
http://www.mdilbo.com/detail/c3QycN/664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