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Surgical Scenario: Small Bowel Obstruction
1.1. Patient Information
52세 남성 환자 스탠 체켈츠는 small bowel obstruction 진단으로 입원하였다. 환자는 복통, 구역, 구토를 호소하였으며, 활력징후 상 체온 37도, 맥박 130회/분, 호흡 28회/분, 혈압 109/78 mmHg로 관찰되었다. 환자는 페치딘에 대한 약물 알레르기가 있었다. 혈액검사 결과, 혈색소 200 g/L, 헤마토크릿 60%, 백혈구 17 x 10^9/L, 혈소판 340 x 10^9/L, 나트륨 150 mmol/L, 칼륨 3.7 mmol/L, 염소 108 mmol/L, 중탄산염 22.5 mmol/L, 요소 0.85 mmol/L, 크레아티닌 0.19 mmol/L로 나타났다. 또한 피부 긴장도 감소, 구강 건조, 소변 장애,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탈수와 관련된 증상으로 판단된다""이다.
1.2. 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
환자는 small bowel obstruction으로 인해 다양한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을 나타냈다. 환자의 혈액검사 결과 Hb와 Hct가 증가되어 있고, Na+와 Cl- 수치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탈수로 인한 혈액 농축 현상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소견이다. 또한 BUN과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은 것으로 보아 급성 신부전의 징후도 함께 나타났다.
환자는 구토와 식이 섭취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을 겪고 있다.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은 저혈량성 쇼크, 장마비, 전해질 이상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수액 공급, 전해질 보충, 구토 억제 등의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환자에게 5% 포도당 용액을 정맥 투여하여 수분과 전해질 보충을 시도했고, 구토 억제를 위해 ondansetron을 투여했다. 또한 장폐색으로 인한 통증 관리를 위해 morphine을 처방했다.
이처럼 small bowel obstruction 환자의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은 매우 심각한 상태로, 신속하고 집중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정확한 검사와 평가를 통해 해당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약물 투여와 수액 공급으로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1.3. Medical Terminology and Medications
의학용어 및 약물에 대한 내용은 매우 중요하다."" 본 vsim 시나리오에서는 환자의 소장 폐색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의학용어와 주요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먼저 의학용어와 관련하여, 환자의 주진단명인 ""bowel obstruction: 장폐색""이 언급되었다. 장폐색은 장관의 통과장애로 인해 장내용물의 흐름이 막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소장 근위부와 원위부 폐색의 특징적인 증상들도 설명되어 있다. 또한 환자의 입원 시 진단명인 ""Adm DX""와 동맥혈 산소포화도를 나타내는 ""SPO2"" 등의 용어도 소개되었다.
약물에 대해서는 환자에게 투여된 3가지 주요 약물인 Morphine, ondansetron, Glucose Injection 5%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Morphine은 대표적인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 조절에 사용되며, ondansetron은 항구토제로 구역/구토 예방 및 치료에 쓰인다. Glucose Injection 5%는 탈수증 치료를 위해 수분을 공급하는 약물이다.
이처럼 의학용어와 주요 약물에 대한 이해는 환자의 병력과 치료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1.4. Debriefing
1.4.1. Feelings about the Scenario
처음 VSIM를 수행할 때는 버튼하나하나 누르기가 겁이 났고 내가 과연 이 환자에게 간호행위를 잘 수행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에 너무 두려웠다. 지금까지 이론적인 내용에만 중요시 여기는 나 스스로를 되돌아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단순히 책과 프린트로만 학습하는 게 아니라 이와 같은 시나리오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장폐색 관련해서는 2학년 때부터 학습한 것이라서 어느 정도 자신감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시나리오를 적용해보니 아직 많이 부족한 것을 느껴 반성하게 되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시도에서는 완벽한 간호수행을 하지 못했지만 해당 상황에 적합한 질문이나 간호중재를 직접 수행하며 대상자의 상태가 좋아지는 모습으로 변화된 것이 보람찬 시간이었다. 특히 장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