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국 문학의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1.1. 낭만주의의 등장 배경과 특징
낭만주의는 18세기 말부터 약 1850년까지 전성기를 누렸던 문화적·사회적 사조로, 문학·그림 등 예술과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이전의 고전적 사조와는 달리 낭만주의는 이성보다는 감성을, 논리보다는 개인의 상상력과 직관을 중시하였으며, 전통적인 관념을 깨부수려는 혁신적인 시도들이 실행되었다.
낭만주의는 산업혁명과 프랑스 혁명이 그 시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두 커다란 사건들을 통해 국민 모두가 사회의 여러 부조리한 모습들을 보게 되었고, 따라서 인간 사회에서 벗어난 상태에서의 개인의 도덕적 가치와 선함에 대해 탐구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사회와 국가 중심적인 관념에서 벗어나 특출할 것 없다고 여겨졌던 개개인의 내면과 감정에 대한 통찰이 중시되었으며 그에 대한 작품이 나왔고, 주목을 받기 어려운 낮은 사회적 계급의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유럽의 낭만주의 철학은 미국으로도 전파되었는데, 미국에서는 초월주의(Transcendentalism)라는 새로운 철학의 형태가 그 영향을 받아 등장하기도 했다.
1.2. 사실주의의 등장 배경과 특징
사실주의는 과학 발전의 고도화, 기록문서 연구의 체계화, 이성적 철학의 유행 등에 따라 기존의 상상력을 중시하던 낭만주의가 쇠퇴하고 등장한 새로운 문학 사조이다. 사실주의는 각 개인의 배경이나 내면보다는 구체적인 행동 방식, 옷차림, 생김새, 심지어 말투와 억양 등 겉으로 드러나는 것들에 집중하였고, 특히 문학에서는 그러한 디테일을 최대한 살리는 데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또한 낭만주의 문학에서는 판타지적인 배경 묘사와 모험과 같은 거창한 사건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되었고, 오래된 구전문학이나 역사적 사건에 상상력이 더해져 줄거리가 구성되었다면 사실주의에서는 주변에서 실제로 있을 법한 배경에서 현실감 있는 사건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되었다. 무엇보다 사실주의라는 이름에 걸맞게 대부분 이상적이고 행복한 결말로 끝났던 낭만주의 작품과 달리 사실주의 작품은 그렇지 않은, 즉 사실적인 인과관계에 기반을 두어 좋지 않은 결말을 가진 경우도 많았다. 이처럼 사실주의는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기록을 중시하는 사조로, 유럽에서 미국으로 건너가 남북전쟁 및 산업화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