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총균쇠, 쇠(농기구 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총, 균, 쇠』 개요
1.2. 아프리카의 빈곤에 대한 의문
2. 『총, 균, 쇠』 비판
2.1. 아프리카의 풍부한 천연자원
2.2. 아프리카 정부의 무능함
2.3. 교육의 부족과 악순환
3. 아프리카의 21세기 빈곤
3.1. 자연 환경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화적 문제
3.2. 식민지 역사와 서구의 책임
3.3. 자원의 저주와 인간의 선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총, 균, 쇠』 개요
『총, 균, 쇠』는 지라드 다이아몬드(Jared Diamond)가 쓴 인류 역사에 관한 베스트셀러 도서이다. 이 책은 "왜 서구 인류만이 세계 역사에서 선두를 달리게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서술한다. 저자는 지리, 생물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서구 인류의 우월성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다.
이 책은 인류의 역사를 인류의 생태적, 지리적, 환경적인 조건과 상황에서 살펴보며, 인류의 문명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분석한다. 책의 제목인 "총, 균, 쇠"는 지구상의 다양한 문명이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낸 여러 가지 요인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단어들이다. 저자는 이 단어들이 인류 역사와 문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세계 역사의 다양한 이면을 파헤친다.
이 책은 폭넓은 주제와 높은 전문성, 그리고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으로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따라서 인류 역사와 문명 발전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이 책을 읽어볼 것을 추천한다.
1.2. 아프리카의 빈곤에 대한 의문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저서 『총, 균, 쇠』에서는 인류 문명 간의 발전 속도 차이가 환경적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아프리카가 인류의 출발지이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대륙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여전히 가난한 상태로 머물러 있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2.에서 제기된 바와 같이, 『총, 균, 쇠』의 논리로는 아프리카의 현재 빈곤 상황을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다. 아프리카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대륙이며, 타 대륙에 비해 더 오랜 기간 동안 인류가 정착하며 발전해 왔다. 따라서 아프리카가 현재에도 여전히 가난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은 다이아몬드의 이론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 아프리카의 빈곤 문제는 환경적 요인 외에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아프리카 대륙 내 국가들의 정치적 불안정, 무능한 정부, 교육 및 복지 제도의 부실, 자원 수탈과 착취 등의 역사적 문제 등이 아프리카의 지속적인 빈곤 문제를 야기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아프리카의 빈곤은 단순히 자연환경적 요인만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보다 복합적...
참고 자료
김명주, 『백인의 눈으로 아프리카를 말하지 말라2』, 미래를소유한사람들, 2012.
윤상욱, 『아프리카에는 아프키라가 없다』, 시공사, 2012.
재레드 다이아몬드, 『총, 균, 쇠』, 문학사상아,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