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리동물원 작품 분석
1.1. 작품의 첫인상
이 작품에 대한 첫인상은 그다지 밝은 분위기는 아니였다. 그리고 우울한 분위기 속에서 가족들의 다툼이 극을 어둡게 만드는 것 같았다. 아만다, 톰, 로라 세 식구의 입장에서 볼때는 미래가 불분명하고 만족하지 못하는 삶을 살고있으며 서로가 서로에 대해서 신뢰를 하고있지 않고 불만이 있다. 아만다는 과거의 자신의 모습에 그리워하며 로라 또한 과거 잘나가던 자신의 처녀시절과 같이 여러 남자들중 우수한 한사람을 골라 결혼을 하길 바라지만 자신의 잘못된 선택으로 인해 지금과 같이 남편이 떠나간 상황을 바라지않는다. 톰은 시인이 되기를 꿈꾼다. 하지만 돈벌이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자신밖에 없자 어쩔수 없이 어머니의 등살에 못이겨 하기싫은 신발 창고 일을 계속한다. 언젠가 창고와 집을 떠나 시인이 되기를 꿈꾸는 청년이다. 로라는 다리를 저는 장애 때문에 성격이 매우 내성적이고 얌전하다. 남들에게 먼저 다가갈줄 모르고 심지어 그런성격 때문에 얼마 나가지도 않고 실업대학교를 그만둔다. 유리로 만든동물들을 가꾸며 축음기에만 매달려있다.
1.2. 등장인물 분석
1.2.1. 톰
톰은 작품의 해설자 역할을 하기도 하며 집을 버리고 떠난 아버지의 그림자에 얽매여 있다. 대공황 이후의 청년들을 대표하는 인물로 아버지를 대신하여 가정을 유지하기 위해 돈을 벌어야 한다는 생각과 함께 이러한 생활을 떠나 모험을 떠나고 싶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갱단에서 일을 하는 것은 그 당시 범죄의 급증을 보여주며, 매일 밤 영화를 보는 것은 자신의 환상 속에 빠져 사는 톰의 상황을 보여준다. 그는 현재의 지긋지긋한 일상에서 벗어나려 안달하며, 시인이 되기를 꿈꾸지만 현실 속에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딜레마에 놓여있다. 톰은 어머니의 등을 지기 싫어하며, 유리동물원이라는 자신의 누이 로라의 환상의 세계와 어머니의 과거 회상에 갇혀 있는 가족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결국 과거와 현재,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며 결국 집을 떠나게 되는데, 이는 자신의 꿈을 찾아가는 한편 가족에 대한 죄책감으로 평생 시달리게 되는 트라지컬한 선택이 된다.
1.2.2. 아만다
아만다는 톰과 로라의 어머니로 등장하는 인물이다. 아만다는 항상 과거의 자신의 모습에 그리워하며,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화려했던 젊은 시절을 추억한다. 그녀는 젊은 시절 남부의 아름다운 소녀로서 받았던 사랑과 편안함을 갈망하며, 이를 회상하는 데 집착한다.
아만다는 남편이 오래전 가족을 버리고 떠난 이후, 자식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면서도 과거에 얽매여 있다. 특히 딸 로라가 수줍음이 많고 한 다리를 절어 항상 집에 틀어박혀 있는 것에 대해 크게 실망한다. 아만다는 로라가 실업대학을 졸업한 뒤 타이피스트가 되고 훌륭한 남성과 결혼하기를 바라지만, 로라의 현실적인 한계를 인정하지 못한다.
아만다의 이러한 갈망과 기대는 자신의 과거에 집착하는 비현실적인 태도에서 비롯된다. 그녀는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과거의 화려했던 시절로 끊임없이 도피하려 한다. 이러한 아만다의 태도는 가족들과의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특히 독립성을 원하는 아들 톰과의 갈등을 심화시킨다.
결국 아만다의 현실 도피적인 모습은 자신의 가족들에게 큰 상처를 주며, 그들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아만다는 과거의 자신에 집착하며 현실 세계를 외면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1.2.3. 로라
로라는 톰과 아만다의 딸로, 절름발이라는 신체적 결함과 내성적이며 수줍음이 많은 성격으로 인해 현실 세계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된 자신만의 유리동물원 속 세계에 갇혀 살아가는 인물이다. 대학을 그만둔 후 집 안에 틀어박혀 유리로 만든 동물들을 수집하며 축음기에 몰두하는 등 외부 세계와의 소통을 거부하고 단절된 삶을 살아간다.
로라는 과거 고등학교 시절 짐을 좋아했지만, 짐이 그녀에게 약혼녀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또다시 큰 좌절감을 겪게 된다. 이로 인해 로라는 더욱 자신만의 유리동물원 세계로 깊이 침잠하며,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된 채로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