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 속의 산 염기 분석 및 표준화 결과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실험 목적
1.2. 실험 개요
2. 이론적 배경
2.1. 산 - 염기 적정
2.1.1. 직접 적정
2.1.2. 역 적정
2.2. 중화반응
2.3. pH
2.4. 표준용액
2.4.1. 당량점
2.4.2. 종말점
2.5. 지시약
2.5.1. 페놀프탈레인
2.5.2. Bromocresol green
3. 실험 재료 및 기구
3.1. 시약
3.2. 실험 기구
4. 실험 방법
4.1. 0.10M HCl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4.2. 0.10M NaOH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4.3. 미지 시료 분석
4.3.1. 적정 1 - 카보네이트와 바이카보네이트 분석
4.3.2. 적정 2 - 바이카보네이트 분석
5. 실험 결과 및 고찰
5.1. NaOH 표준화 결과
5.2. HCl 표준화 결과
5.3. 미지 시료 분석 결과
5.4. 오차 원인 분석
5.5. 개선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
본 실험의 목적은 일차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산, 염기 용액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산, 염기 용액을 사용하여 카보네이트와 바이카보네이트가 혼합된 미지 시료를 정량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험자는 일차 표준물질, 표준화, 직접 적정, 역 적정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2. 실험 개요
'1.2. 실험 개요'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실험은 일차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산, 염기 용액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용액을 이용하여 탄산염(carbonate)과 중탄산염(bicarbonate)의 혼합물을 분석하는 실험이다. 먼저 일차 표준물질인 KHP(Potassium hydrogen phthalate)와 Na2CO3(Sodium carbonate)를 이용하여 0.10M NaOH 표준용액과 0.10M HCl 표준용액을 제조 및 표준화한다. 이후 미지 시료에 대해 직접 적정과 역 적정을 수행하여 carbonate와 bicarbonate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실험을 통해 산-염기 적정, 표준화, 당량점과 종말점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산 - 염기 적정
2.1.1. 직접 적정
직접 적정은 미지 시료 용액에 표준 적정 시약을 직접 가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방법이다. 이때 표준 적정 시약의 정확한 부피가 기록되며, 이를 통해 미지 시료 용액 중 분석 대상 성분의 양을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직접 적정은 분석 대상 성분이 표준 적정 시약과 즉각적이고 정량적인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산 염기 중화 반응이나 침전 반응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반응은 빠르게 진행되어 화학량론적 당량점에 도달하므로, 직접 적정을 통해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직접 적정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미지 시료 용액의 일정량을 취하여 삼각 플라스크에 넣는다. 여기에 지시약을 가한 뒤 표준 적정 시약을 천천히 가하면서 지시약의 색 변화를 관찰한다. 지시약의 색 변화가 나타나는 시점이 당량점이 되며, 이때의 표준 적정 시약의 부피를 정확히 기록한다. 당량점에서의 화학 반응식과 표준 적정 시약의 농도, 부피 정보를 이용하여 미지 시료 용액 중 분석 대상 성분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직접 적정은 표준 적정 시약이 충분한 양으로 존재해야 하며, 반응이 즉각적이고 정량적으로 일어나야 한다는 제한 조건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직접 적정은 매우 정확한 분석 방법이 될 수 있다.
2.1.2. 역 적정
역 적정(back titration)은 미지의 시료에 농도를 아는 시약을 과량 주입해 충분하게 반응을 시킨 뒤, 다른 시약을 이용해 과량 주입한 시약을 적정하는 방법이다. 역 적정은 직접 적정보다 종말점이 뚜렷할 때, 반응 속도가 느릴 때 등에 사용된다.
직접 적정에 비해 역 적정은 과량의 시약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말점 판단이 더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석물과 반응이 느린 경우에도 과량 주입한 시약을 적정하여 분석물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카보네이트 정량과 같이 분석물과의 반응이 느릴 경우 역 적정이 유리하다.
역 적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물에 과량의 표준 용액을 넣어 충분히 반응시킨다. 둘째, 반응 후 남은 표준 용액의 양을 다른 표준 용액으로 적정하여 구한다. 셋째, 처음 넣어준 표준 용액의 양에서 두 번째 적정에서 구한 남은 양을 빼면 분석물이 반응에 소모된 표준 용액의 양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석물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역 적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 적정보다 종말점 검출이 용이하다. 둘째, 분석물과의 반응속도가 느린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셋째, 분석물이 휘발성이거나 불안정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넷째, 분석물의 미량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바이카보네이트 정량과 같이 분석물의 반응 속도가 느린 경우 역 적정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2.2. 중화반응
중화반응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염과 물이 생성되는 반응이다. 대표적인 중화반응의 예로는 염산과 수산화소듐의 반응을 들 수 있다.
HCl(aq) + NaOH(aq) → NaCl(aq) + H2O(l)
위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수소 이온(H+)과 수산화 이온(OH-)이 만나 물이 생성되는 것이 중화반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이다. 중화반응이 완결되려면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의 몰수가 같아야 한다.
1가 산과 1가 염기 수용액이 반응할 때, 산 수용액의 몰농도와 부피의 곱은 염기 수용액의 몰농도와 부피의 곱과 같다.
M1V1 = M2V2
이러한 중화반응의 양론적 관계를 이용하여 산-염기 적정에서 분석 대상물질의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산-염기 적정은 미지의 화학물질의 농도를 결정하는 정량 분석법 중 하나로, 정확한 농도를 가지는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2.3. pH
pH는 수소 이온 농도의 음의 로그값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pH는 용액의 산성 또는 염기성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pH는 다음의 식으로 계산된다.
pH = -log[H+]
여기서 [H+]는 수소 이온 농도를 의미한다.
순수한 물에서는 자동 이온화 반응에 의해 수소 이온 농도와 수산화 이온 농도가 각각 10-7 M이 된다. 따라서 순수한 물의 pH는 7이 된다. 이를 중성 pH라고 한...
참고 자료
Daniel C Harris. 분석화학. 자유아카데미. 2021. 10판 pp263-290
일반화학실험/ 강위경 외 7인/ 2판/ 자유아카데미/ p23~30
Daniel C. Harris,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8th Ed., Freeman, 2010
분석화학실험 교재연구회,『분석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2014
pH - Brown LeMay Bursten, 『Chemistry the central science 13th edition』, PEARSON, 2015, p.704, 757- Peter Atkins, and Julio de Paula , 『핵심물리화학 5판』, 교보문고, 2011, p.201
염산 – 대정화금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염산, 2023년 03월 26일, www.daejungchem.co.kr › customer › download02
수산화나트륨 – LG Chem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수산화나트륨, 2023년 3월 26일, www.chemwide.co.kr › prod_Mg
탄산나트륨 – 대정화금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탄산나트륨, 2023년 03월 26일, www.daejungchem.co.kr › customer › download02
브로모크레졸 그린 – 대정화금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 2023년 03월 26일, www.daejungchem.co.kr › customer › download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