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무용의 개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무용의 개념과 정의
2.1. 무용의 개념 및 정의
2.2. 무용의 어원과 역사
3. 무용의 종류
3.1. 발레
3.2. 현대무용
3.3. 민족무용
4. 무용교육의 기본 개념
4.1. 무용과 교육의 의의
4.2. 무용교육의 개념과 가치
4.3.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의 무용교육
5. 무용 교사
5.1. 무용 교사의 역할
5.2. 좋은 무용 교사의 특성
6. 무용의 예술적 이해
6.1. 예술로서의 무용
6.2. 무용의 예술성 인정
6.3. 무용의 종합적 예술성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무용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미학적인 법칙에 따라 신체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예술로, 신체와 정신이 합일된 진정한 표현예술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최근에는 무용 예술과 무용 과학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움직임의 기술적 부분이 강조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표현 방법 또한 다양하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 무용 교육은 신체 움직임 기능 향상을 위한 교육에 치중되어 있으며, 무용 고유의 의미와 가치를 간과한 채 아름다운 신체 움직임의 형태에만 현혹되는 태도는 그릇된 인식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필요성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올바른 교육 방법이 요구되며 '신체 테크닉 향상'에 대한 관심 보다 '어떻게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올바른 무용 교육을 위해 무용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해 진연심(2002)과 홍애령(2013), 김혜정, 박혜은(2014)의 논의를 토대로 살펴보고자 한다.
2. 무용의 개념과 정의
2.1. 무용의 개념 및 정의
무용의 개념 및 정의는 다음과 같다.
무용은 음악에 맞추어 율동적인 동작으로 감정과 의지를 표현하는 예술이다. 무용은 신체를 도구로 창작자가 추구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한다는 일차적 의미를 넘어, 무용이 무엇이며 무엇이 아닌지에 대해서는 간단히 정의할 수 없다. 그러나 무용의 어원 및 등장 배경, 그리고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통해 그 개념을 살펴볼 수 있다.
먼저 무용의 어원을 보면, 우리나라 고유어인 '춤'이 한자로 '무(舞)'와 결합되어 사용되었다. '무(舞)'는 '무(巫)'에서 유래한 것으로 '천지(天地)에서 인간(人)이 무속적 행위를 하는 것'을 의미하는 상형문자이자 '추다', '추켜올리다', '받들다'의 뜻을 가진다. 이처럼 무용의 기원은 무속 의식적 행위에서 찾을 수 있다.
한편 '무용'이라는 단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14년 매일신보의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양의 무용이 일본을 거쳐 조선에 유입되면서 '무용'이라는 용어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무용'이라는 말은 일본인 영문학자 스보우치(1859~1934)가 만든 합성어로, 상체 운동의 개념인 '무(舞)'와 하체 운동의 개념인 '용(踊)'이 결합된 것이다. 이렇듯 '무용'이라는 단어는 움직임의 두 개념을 아우르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여러 학자들의 무용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랑스 출신 무용이론가 아르보(Thoinot Arbeau, 1519~1586)는 무용을 "음악에 맞춰 손발과 몸을 움직이며 나이든 사람, 젊은이 모두에게 적합한 예술"이라고 정의했다. 15세기 이탈리아 무용가 에브레오(G. Ebreo)는 "무용은 정신이 음악을 듣고 느끼는 기쁨을 나타내는 아름다운 동작"이라고 했다. 또한 장 조르주 노베르(Jean Georges Noverre, 1727~1810)는 무용을 "주어진 음악에 맞춰 스텝을 우아하고 정확하게 구성하는 예술"이라고 정의했다.
이처럼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한 무용의 개념을 종합해볼 때, 무용은 "인간의 신체를 매개로 하여 감정과 사상을 율동적으로 표현하는 종합예술"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2. 무용의 어원과 역사
무용의 어원과 역사는 다음과 같다.
원래 '무용'을 우리나라 고유의 말로 표현하면 '춤'이었다. 이를 한자로 표기할 경우 처용무(處容舞), 승무(僧舞), 학무(鶴舞)와 같이 '무(舞)'를 붙여 사용했다. 무(舞)는 무(巫)에서 유래하였고 무(巫)는 천지(天地)에서 인간(人)이 무속적 행위를 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상형문자이자 '춤'의 어원은 '추다', '추켜올리다', '받들다'의 의미를 가진다.
'무용'이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1914년 매일신보의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양의 무용이 일본을 통해 조선으로 유입되면서 신무용이 유행하기 시작했고 이를 계기로 '무용'이라는 단어가 널리 알려졌다. 또한 '무용'이라는 단어는 일본인 영문학자 스보우치(1859~1934)에 의해 만들어진 합성어로 상체 운동의 개념으로서의 '무(舞)'와 발로 딛거나, 차거나, 뛰어오른다는 식의 하체 운동의 개념으로서의 '용(踊)'을 병합해 사용하는 것으로 오늘날 영어로 'dance', 불어로 'danse', 독일어로 'tanz', 이탈리아어로는 'danza'로 불린다.
요컨대 무용의 어원은 우리나라 고유의 '춤'과 서양의 'dance' 용어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러한 어원을 토대로 볼 때 무용은 인간의 신체 움직임을 통해 감정과 의지를 표현하는 예술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3. 무용의 종류
3.1. 발레
발레는 유럽의 전통 춤 중 하나로, 그 기원은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다" 말할 수 있다. 발레는 나중에 프랑스로 전해져 왔으며, 프랑스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발레의 어원은 라틴어의 '춤추다(ballare)...
참고 자료
김말복 (2004) 『무용예술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차영 (1995) 『발레의 이해』 대한 미디어
존 마틴 (1993)『현대 춤의 인식』 현대미학사
이덕희 (1992) 『무용예술의 이해』 현대미학사
한국 발레학교 (www.koreanballet.com/schools/lasylphide)
인포아트 (www.infoart.com/dance/dance_dancer)
안치운 (1999) 『필립 드쿠플레 `데세아 무용단`의 <샤잠>』 한겨레21
안제승(1992). 『무용학개론』, 서울: 신원문화사.
이혜희(1996). 『무용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학문화사.
김화숙(1999). 『무용교육론』, 서울: 한학문화사.
신종호(2015). 『교육심리학』, 파주: 교육과학사.
김정환, 강선보(2016).『교육학개론』, 서울: 박영story.
홍애령(2013). 뛰어난 발레교육자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 발레교수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발달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민희(2014). 바가노바 메쏘드 지도사례의 현상학적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주(2017). RAD 교육 과정 중 Graded 과정에 대한 RAD 국제 교사의 인식,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경화(2019). 현대무용교육자의 전문성 구성요소와 창의성 형성 유형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지선(2020).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권(2020). 한·중 대학교 무용교육 체계의 비교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서현(2020).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타 국가공인자격증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정옥(2021). 학교무용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국가수준 무용 교육과정의 가치 및 설계방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진연심(2002). 무용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의 기대와 지각에 관한 연구. 이화교육논총, 12, 307-318.
Louis A. Kavouras(2011). 무용의 목적과 비전 그리고 미래 : 새로운 교육 방법, 새로운 관점, 새로운 이해의 필요성. 한국무용연구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2011, 111-121.
김혜정, 박혜은(2014).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지도자"의 유형과 특성. 한국무용과학회지, 31(2), 157-172.
전문무용수지원센터. (2021년 3월 3일). 아카데미.
http://www.dcdcenter.or.kr/
경희대학교 무용학부 홈페이지. (2021년 3월 3일). 학사과정. http://www.dance.khu.ac.kr/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21년 3월 3일). 문화예술교육사업
http://www.arte.or.kr/
김익진 (2013). “예술치료에서 예술의 의미:프랑스 예술치료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장정윤 (2012). “스포츠와 무용의 미적 동질성과 예술적 차이점” 대한무용학회
주희성 (1993). “무용의 이해를 위하여” 성귝관대학교 체육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