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l fedex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최초 생성일 2024.10.12
13,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dhl fedex"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DHL과 FedEx 기업 선정 배경
1.2. 목차 개요

2. DHL 기업분석
2.1. DHL 개요
2.2. DHL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서비스 특징
2.3. DHL의 물류정보시스템
2.4. DHL의 방침 및 전략
2.5. DHL의 인적자원관리
2.6. DHL의 파트너십과 자원
2.7. DHL의 프로세스
2.8. DHL의 고객 관련 성과
2.9. DHL의 인적자원 관련 성과
2.10. DHL의 사회 관련 성과
2.11. DHL의 주요사업 성과

3. FedEx 기업분석
3.1. FedEx 개요
3.2. FedEx의 연혁
3.3. FedEx의 현황
3.4. FedEx의 구성 및 조직
3.5. FedEx의 기업철학
3.6. FedEx의 서비스
3.7. FedEx의 E-Business
3.8. FedEx의 마케팅 전략

4. 결론
4.1. DHL과 FedEx 비교분석
4.2. 향후 발전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DHL과 FedEx 기업 선정 배경

DHL과 FedEx를 선정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우선, DHL은 200여 개국에 걸친 최고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이다. DHL은 항공 및 해상운송 분야에서 1위, 국제특송 분야에서 1위, 계약물류 분야에서 1위 그리고 유럽 육송 분야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DHL은 2007년에 업계 최초로 혁신 센터를 수립하여 유연하고 친환경적이면서도 시장성이 있는 고도의 혁신적인 물류 솔루션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FedEx는 전 세계 국민 총생산액의 90%를 생산하는 지역들을 통관서비스와 환불보장 서비스를 포함한 각종 서비스로 24~48시간 내에 Door-to-Door로 연결하고 있다. 하루에 320만개 이상의 화물을 전 세계 220개국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달하는 FedEx만의 네트워크만 봐도 역시 세계 최대의 특급 운송 회사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DHL과 FedEx는 공통적으로 국외 3자 물류 회사로서 각종 서비스를 포함한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우리 조는 세계적인 네트워크망을 가지고 있는 두 기업을 서로 비교해 보기 위해 DHL과 FedEx를 선정하였다.


1.2. 목차 개요

이 문서의 목차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서론'에서는 DHL과 FedEx 기업을 선정한 배경과 목차 개요를 다룬다. '2. DHL 기업분석'에서는 DHL 기업의 개요, 글로벌 네트워크와 서비스 특징, 물류정보시스템, 방침 및 전략, 인적자원관리, 파트너십과 자원, 프로세스, 고객·인적자원·사회 관련 성과, 주요사업 성과 등을 분석한다. '3. FedEx 기업분석'에서는 FedEx의 개요, 연혁, 현황, 구성 및 조직, 기업철학, 서비스, E-Business, 마케팅 전략 등을 다룬다. 마지막 '4. 결론'에서는 DHL과 FedEx를 비교분석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2. DHL 기업분석
2.1. DHL 개요

DHL은 1969년 샌프란시스코와 하와이간 항공 쿠리어 서비스를 대성공할 수 있는 기회로 본 Dalsey, Hillblom과 Lynn이라는 3명의 변호사의 머리글자를 따서 창립되었다. 세계 최초로 미국에서부터 국제간 항공 특급 송배달 업무를 시작한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서비스와 기술을 개발, 보급함으로써 보다 신속, 안전, 정확한 송배달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발송인의 책상에서 수취인의 책상까지 (Desk to Desk) 최단시간에 서류와 소화물 및 중대형 화물을 특급으로 배달하고 있다. DHL의 각종 서비스는 『신속, 정확, 안전, 경제성』이라는 4대 목표하에 추진되고 있다. DHL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5만 9천여 명의 직원들이 일하고 있으며 이중 81%가 미국 외의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다. 또한 12200대의 차량 그리고 290대의 자가, 리스 혹은 임대비행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서류와 소형 화물 처리건수는 하루 평균 50만건으로 연간 1억 5천건이 넘는 방대한 물량을 취급하고 있다. DHL의 진출형태롤 보면 80%이상이 자사가 직접 진출한 형태이다. 즉, DHL의 1350여개의 영업거점에 있어서 960개는 DHL이 100% 전액 출자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대리점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2.2. DHL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서비스 특징

DHL이 오늘날 세계 최대의 택배업체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Internet을 통해 세계의 구석구석을 잇는 Global Digital Network (by Internet)를 구축했기 때문이다. 즉, Internet이 DHL 비즈니스의 근간인 셈이다. DHL이 한 해 동안 처리하는 화물은 약 1억 5,000만 건에 이른다. 하루에 약 50만 건의 화물이 DHL 운송망을 타고 지구촌 곳곳으로 배달되는 것이다. 이렇게 많은 운송을 가능케 하는 것이 Global Digital Network (by Internet)인 'DHL net'이다. 이 통신망은 세계 9만여 도시에 있는 DHL의 모든 사무소를 연결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어느 곳에서나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DHL은 1987년 기존 전산망을 Internet protocol인 TCP/IP 환경으로 바꾸면서 이와 같은 Global Digital Network (by Internet)를 구축했다. 대부분의 기업이나 일반인들에게 Internet이라는 개념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일이었다.

운송 절차를 살펴보면 DHL이 고객으로부터 건네받은 화물에는 모두 항공운송장이 붙는다. 항공운송장이 발급되는 순간 화물처리에 대한 모든 정보는 'DHL net'을 통해 발송물 정보관리시스템(SIS)에 담겨진다. 이 시스템은 목적지를 분류하고 운송가격, 소요시간 등을 자동으로 산정해 그 자리에서 고객이 알 수 있게 해주며, 이런 정보들에 대한 오차는 거의 없다. 그래서 이 시스템을 통해 하루 수십만 건에 달하는 화물의 목적지 분류가 자동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또한 정보관리시스템은 화물이 발송되고 도착하는 국가의 세관에 통관정보를 보내 준다. 그러므로 통관은 화물이 공항에 도착하기 전에 대부분 처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Internet을 이용한 전자문서교환(EDI)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

'DHL net'과 더불어 DHL이 Internet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게 화물전달 추적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화물이 전달되는 과정을 시간별로 고객에게 알려준다. DHL 직원은 화물을 인수하는 순간 휴대형 무선스캐너로 항공운송장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는다. 화물이동 정보는 즉각 Global GT&T Database로 전달된다. 고객은 Internet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이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고, 항공운송장 번호만 입력하면 화물이동경로가 컴퓨터 화면에 바로 떠오르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현재 우리나라 우체국에서도 채택하여 실행되고 있다.

이처럼 DHL은 모든 조직을 Global Network인 DHL net에 연결하여 업무가 이루어지는 Network 조직을 구축해 놓고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한 것은 바로 Internet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Global Digital Network 구축과 활용이었고 그 결과 DHL은 현재 세계적인 항공택배업체로 성장하게 된 것이다.


2.3. DHL의 물류정보시스템

DHL의 물류정보시스템은 Global Digital Network인 'DHL net'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DHL net은 세계 9만여 도시에 있는 DHL의 모든 사무소를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어느 곳에서나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화물에 부착된 항공운송장을 통해 모든 화물 처리 정보가 DHL net의 발송물 정보관리시스템(SIS)에 담기게 되며, 이 시스템은 목적지 분류, 운송가격, 소요시간 등을 자동으로 산정해 고객에게 제공한다. 또한 통관정보를 세관에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화물이 공항에 도착하기 전 대부분의 통관 절차가 완료되도록 한다. DHL은 이를 위해 전자문서교환(EDI) 시스템도 보유하고 있다.

고객을 위한 정보시스템으로는 EasyShip, EasyCall, GlobalTrack, e-TRACK 등이 대표적이다. EasyShip은 DHL 발송 업무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항공운송장 등을 자동으로 발행하고 발송물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EasyCall은 전용 단말기로 DHL에 직접 연락하지 않고도 발송 예약, 조회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GlobalTrack은 고객 PC에 설치한 프로그램으로 DHL 발송물 배달 결과를 24시간 조회할 수 있다. e-TRACK은 이메일을 통해 발송물 배달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 외에도 DHL은 고객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IVSR은 전화로도 배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m-track은 배달 완료 시 고객에게 문자나 이메일로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이처럼 DHL은 첨단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신속하고 투명한 물류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있다.


2.4. DHL의 방침 및 전략

DHL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탈중심화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DHL은 5년 장기계획을 세워 각 국가의 문화 성향과 고객 니즈에 따라 독립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탈중심화 전략을 핵심으로 삼고 있다. DHL 포르투갈 지국은 이를 위해 주요 도시에 새로운 물류센터를 구축하고 고객과의 친밀한 관계 유지 및 신속한 대응을 하고 있다. 이러한 탈중심화 전략을 통해 DHL은 고객 니즈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서비스의 신속성과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반면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페덱스,DHL [FedEx] (세계 브랜드 백과, 인터브랜드)
http://sgsg.hankyung.com/apps.frm/news.view?nkey=15333&c1=04&c2=06
http://www.fedex.com/kr/careers/,http://www.dhl.co.kr/ko.html
http://www.etnews.com/20141015000054 전자상거래
DHL한국 지국 http://www.dhl.co.kr
KSA홈페이지 http://worldksa.net/ksa/main.php3
물류신문 http://www.klnews.co.kr/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82
http://news.yeogie.com/entry/63499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3/12/2012031203105.html
http://m.blog.daum.net/ihomer/16142731
http://news.donga.com/View?gid=59494535&date=20131212
http://www.slideshare.net/valualize/dhl-26422761
http://korealand.tistory.com/745
http://smart-depot.com/220482106366
http://www.dhl.com/
http://www.dhl.co.kr/
http://www.fedex.com/
http://www.fedex.com/kr
글로벌 물류기업 국내진출 현황, 2005.7
http://blog.daum.net/cool-data/3236936
http://www.hankyung.com/news/
http://news.naver.com/news/
http://news.mk.co.kr/
http://blog.naver.com/keycosmos3/100168350340
http://www.dhl.com/
http://www.dhl.co.kr/
http://www.fedex.com/
http://www.fedex.com/kr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163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우정사업 발전전략 (1999)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 독일 우정의 역사와 발전전략 (2009)
kt 경제경영연구소, 최윤정 - 『도이치포스트 디지털세상에서 우체국을 재정의 하다.』 (2011)
대한통운 - 국제특송 이해와 통관절차 사내 교육자료 (2011)
SJ Consulting Group Inc. - 총매출액을 기준으로한 ‘2012년 세계물류기업 순위’ (도이치 포스트의 다른 사업분야를 제외한 통계)
논문 – 국제특송업체의 글로벌 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2012)
논문 – 글로벌 물류기업의 생산성 관리 방식에 대한 기초연구 (2012)
DHL – DHL이 바라본 2050년 미래사회의 모습과 물류의 역할 (2012)
논문 - 한국 국제특송기업의 글로벌화 전략 연구 (2013)
논문 - 국제항공특송 사업의 시장변화에 따른 정보기술 서비스 전략 (2013)
국토교통부 -「물류산업 선진화 방안」(2013)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국·내외 우정정보 조사 분석 (2013)
포브스 - ‘2014 세계기업 순위 2000’ 중 글로벌물류기업별 순위(2014)
물류신문 –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642
IT데일리
SenseAware 홈페이지
DHL 본사 홈페이지
DHL 코리아 홈페이지
DHL 블로그
FedEx 본사 홈페이지
FedEx 코리아 홈페이지
DHL미국 지국 http:://www.DHL.com
KSA홈페이지 http://worldksa.net/ksa/main.php3
도이치포스트 http://www.dpwn.com/en_de
FedEX의 미국 지사 http:://www.fedex.com
FedEX의 한국 지사 http://www.fedex.com/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