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IT 비즈니스 개요
1.1. IT 비즈니스 개념 및 생태계
IT 비즈니스는 기업의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세스에 IT를 접목하여 전략적으로 전개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IT 비즈니스에서는 IT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구동되며 이를 통해 IT 비즈니스 서비스가 창출된다.
IT 비즈니스 생태계는 기술, 서비스, 플랫폼, 콘텐츠, 보안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해 나간다. 우선 기술 측면에서는 하이프 사이클이라는 개념을 통해 IT 분야의 신기술이 산업 경제적 가치와 영향력을 시간에 따라 보여준다. 이러한 기술 혁신은 콘텐츠 생태계, 플랫폼 생태계, 네트워크 생태계, 디바이스 생태계, 보안 생태계 등 IT 비즈니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전해 나가고 있다.
콘텐츠 생태계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모바일 이용자를 주 고객으로 하는 새로운 방식의 콘텐츠 유통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플랫폼 생태계는 단일 사업자의 자체 플랫폼 제공에서 벗어나, 소수의 공통 플랫폼을 통해 다수의 사업자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네트워크 생태계는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인해 네트워크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으며, 디바이스 생태계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의 출현으로 디바이스 업체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협력도 강화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보안 생태계는 사이버 위협의 고도화 및 지능화로 인해 피해 범위가 확산되고, 주요 국가 기반시설의 IT 활용 증대로 인해 사이버테러와 같은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IT 비즈니스 생태계는 기술의 발전, 서비스와 플랫폼의 변화, 네트워크와 디바이스의 혁신, 그리고 보안 위협의 증가 등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진화해 나가고 있다.
1.2. IT 자원과 관리활동
IT 자원은 기업의 IT 비즈니스를 지원하거나 관리하는 체계로, IT 자원시스템이라고 도 볼 수 있다. 대표적인 IT 자원시스템에는 ERP, SCM, PLM 등이 있다. 이러한 IT 자원시스템은 생산성 향상,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 창출, 글로벌 비즈니스 확산 등 다양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IT 자원의 수명주기(lifecycle)에 기반하여 활용되며, 자원의 계획, 개발, 적용, 운영, 관리, 폐기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IT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수명주기 전반에 걸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IT 비즈니스를 위한 관리활동은 전통적인 PDCA(계획-실행-점검-조치) 관리 체계를 따르고 있다. 계획(Plan), 실행(Do), 점검(Check), 시정조치(Action)의 순환적 관리활동을 통해 IT 비즈니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IT 거버넌스는 IT 부문에서의 통제 및 관리 체계를 의미하며, COBIT 5 프레임워크와 연계되어 전략 연계, IT 가치 제공, IT 리스크 관리, IT 자원 관리, IT 성과 평가 등의 관심 영역을 다룬다. 이를 통해 IT 비즈니스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IT 자원과 관리활동은 IT 비즈니스의 핵심 요소로,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1.3. IT 비즈니스 가치사슬
IT 비즈니스 가치사슬은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세스에 IT를 접목하여 전략적으로 전개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IT 비즈니스 가치사슬은 크게 5개의 주요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IT 전략 기획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IT 비즈니스의 전략적 기획 및 기업 전략과의 연계, IT 자원 관리와 전략적 활용 방안을 수립하게 된다.
둘째, IT 자원 확보 단계이다. IT 시스템 및 솔루션 구축, IT 시스템 운영 등 IT 자원 확보와 관리 활동이 이루어진다.
셋째, IT 서비스 제공 단계이다. 구축된 IT 시스템과 자원을 활용하여 실제 기업의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개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넷째, IT 성과관리 단계이다. IT 비즈니스를 통해 달성된 성과를 재무적, 비재무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관리하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IT 비즈니스 환경 변화 대응 단계이다. 급변하는 IT 기술과 비즈니스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IT 혁신과 통합을 추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IT 비즈니스 가치사슬을 통해 기업은 IT 자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생산성 향상, 새로운 가치 창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의 다양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IT 비즈니스 가치사슬은 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2. IT 비즈니스 전략
2.1. IT 비즈니스 전략수립
전략수립은 조직의 미션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정의하는 과정이다. 전략수립의 구성요소는 기본정보, 현재상태모델, 미래목표모델, 추진전략으로 구성된다.
기본정보에는 기업의 목표와 정량적 성과지표가 포함된다. 현재상태모델은 현재 내부/외부 환경, 비즈니스 원칙과 가치를 사명 관점에서 설명한 것이다. 미래목표모델은 미래 기업이 성취하고자 하는 비전과 목표를 의미한다. 추진전략은 현재 상태에서 미래 목표로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다.
일반적인 전략수립 프로세스는 전략적 분석, 전략적 선택, 전략적 구현 및 관리, 피드백의 단계로 구성된다.
전략적 분석 단계에서는 SWOT 분석을 통해 내부 역량과 외부 환경을 면밀히 진단한다. SWOT 분석은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요인을 파악하여 현재 상황을 종합적으로 진단하는 기법이다.
전략적 선택 단계에서는 SWOT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업이 추구할 전략을 선정한다. 이때 기업의 역량과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공격적, 방어적, 다각화, 집중화 등의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
전략적 구현 및 관리 단계에서는 선택된 전략을 실행에 옮기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한다. 전략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피드백을 통해 전략을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전략수립 과정에서는 기업의 환경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외부 환경 분석을 위해 PEST 분석, 5Forces 분석, 3C 및 4P 분석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내부 환경 분석을 위해 7S 분석을 활용할 수 있다.
PEST 분석은 거시적 외부환경 요인인 정치(Political), 경제(Economic), 사회(Social), 기술(Technological) 요인을 분석한다. 5Forces 분석은 기존 경쟁자의 경쟁 강도, 구매자와 공급자의 교섭력, 신규 진입자와 대체재의 위협을 파악한다. 3C 및 4P 분석은 고객, 자사, 경쟁사, 그리고 제품, 가격, 장소, 촉진 요인을 분석한다. 7S 분석은 내부 조직 구성 요소인 공유가치, 전략, 시스템, 조직구조, 구성원, 관리스타일, 기술력을 진단한다.
이처럼 IT 비즈니스 전략수립은 기업의 미션 달성을 위해 전략을 정의하는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외부 환경 분석과 내부 역량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2.2. IT 비즈니스 환경분석
IT 비즈니스 환경분석은 기업이 직면한 외부 환경 요인과 내부 요인을 파악하여 전략적 선택을 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부 환경 분석에는 PEST 분석과 5 Forces 분석, 3C와 4P 분석이 주로 활용되며, 내부 환경 분석에는 7S 분석이 활용된다. 또한 SWOT 분석과 BCG 매트릭스를 통해 내부와 외부 환경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PEST 분석은 거시적인 외부 환경 요인을 정치(Political), 경제(Economic), 사회문화(Social), 기술(Technological) 측면에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기업이 직면한 기회와 위협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5 Forces 분석은 기존 경쟁자, 구매자, 공급자, 잠재적 진입자, 대체제 업체 등 산업 내 경쟁 요인을 분석한다. 3C와 4P 분석은 고객(Customer), 자사(Company), 경쟁사(Competition)와 제품(Product), 가격(Price), 장소(Place), 촉진(Promotion)을 분석한다.
내부 환경 분석에서는 7S 모델이 주로 활용된다. 7S는 공유가치(Shared Values), 전략(Strategy), 시스템(System), 구조(Structure), 구성원(Staff), 경영 스타일(Style), 역량(Skill)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업 내부의 자원과 역량을 진단할 수 있다.
SWOT 분석은 내부 강점(Strength)과 약점(Weakness), 외부 기회(Opportunity)와 위협(Threat)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BCG 매트릭스는 상대적 시장 점유율과 시장 성장률에 따라 사업 포트폴리오를 분석한다.
이처럼 IT 비즈니스 환경분석은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내·외부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준다.
3. IT 비즈니스 계획수립
3.1. IT 거버넌스
IT 거버넌스는 기업 지배구조와 같이 IT 부문에서 통제 및 관리 체계를 갖추는 것이 목적이다. IT 거버넌스는 기업의 전략적 목표와 정보자원 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IT 활용과 관리에 대한 의사결정 및 실행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COBIT 5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는 국제표준인 ISO/IEC 38500과 연결되어 있으며, 기업의 IT 활용을 평가(Evaluate), 지휘(Direct), 감시(Monitoring)하는데 필요한 원칙과 프레임워크를 동시에 제공한다. COBIT 5는 계획 단계, 운영 단계, 평가 단계, 피드백 등 IT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구체화하고 있다.
IT 거버넌스의 주요 관심영역에는 전략연계, IT 가치제공, IT Compliance, 리스크관리, 자원관리, 성과평가 등이 있다. 전략연계는 기업의 전략에 대한 연계와 최적의 의사결정 방향성을 제시하고, IT 가치제공은 개별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IT의 접목 최적화를 통해 IT 비즈니스의 목표 달성을 지원한다. IT Compliance는 IT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를 위한 리스크 요소를 관리하며, 자원관리는 IT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원 체계적 관리를 의미한다. 성과평가는 BSC, IT ROI 등을 통해 IT 부문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한다.
이처럼 IT 거버넌스는 기업의 전략 목표와 정보자원 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의사결정 및 실행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전략연계, 가치제공, 리스크 관리 등 IT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3.2.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는 기업의 전략 목표와 정보자원 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업의 IT 비즈니스 관계를 이해관계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한 기업의 청사진이다"
EA의 핵심 구성요소로는 IT거버넌스, 업무아키텍처(BA), 응용아키텍처(AA), 데이터아키텍처(DA), 기술아키텍처(TA)가 있다. IT거버넌스는 목표 관리방법(COBIT, COSO 등)을 따르며, 업무아키텍처는 환경분석을 기반으로 사람, 프로세스, 정보의 상호연관성을 수립(성과참조모델 PRM)한다. 응용아키텍처는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고, 조작 관리 활동을 식별 및 정의(서비스컴포넌트참조모델 SRM)한다. 데이터아키텍처는 모든 정보와 데이터 구조 및 데이터 간의 상호관계 등을 파악하여 데이터 모델을 설계(데이터참조모델 DRM)한다. 마지막으로 기술아키텍처는 비즈니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기술 서비스 구조를 정의(기술참조모델 TRM)한다.
EA 프레임워크로는 자크만 프레임워크, TOGA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