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트리지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트리의 개념
2.1. 트리의 정의
2.2. 트리의 구성요소
3. 이진트리
3.1. 이진트리의 정의
3.2. 이진트리의 종류
4. 이진탐색트리
4.1. 이진탐색트리의 정의
4.2. 이진탐색트리의 특성
5. 이진트리와 이진탐색트리의 활용
5.1. 이진트리의 활용
5.2. 이진탐색트리의 활용
6. 신장트리
6.1. 신장트리의 정의
6.2. 신장트리의 활용 분야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트리는 최상위 계층에 있는 정보를 가진 루트 노드에서 하위 계층으로 가는 노드로 이루어진 계층적인 구조를 지니는 자료 구조이다. 루트 노드와 나머지 노드가 분리된 집합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노드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체를 의미한다. 각 노드는 트리를 이루는 정점으로 자료를 저장하는 자료 부분과 다른 노드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지닌다. 자식 노드는 부모 노드의 하위 레벨에 있는 노드이며, 형제 노드는 같은 부모 노드를 가지는 노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트리 구조는 일상생활에서 종종 사용되며, 특히 이진트리와 이진탐색트리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2. 트리의 개념
2.1. 트리의 정의
트리는 최상위 계층에 있는 정보를 가진 루트 노드에서 하위 계층으로 가는 노드로 이루어진 계층적인 구조를 지니는 자료 구조이다. 뿌리 노드라고 여기는 최상위 노드가 있어야 하고 나머지 노드는 분리된 집합으로 나누어진다는 조건을 만족하며 하나 이상 노드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체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각 집합을 트리라고 하며 나머지 노드를 뿌리 노드의 부분트리라고 부른다. 노드는 트리를 이루는 각 정점으로 자료를 저장하는 자료 부분, 다른 노드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지니고 뿌리 노드는 트리에서 가장 위에 있는 노드를 의미한다.
2.2. 트리의 구성요소
트리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노드는 트리를 이루는 각 정점으로 자료를 저장하는 자료 부분과 다른 노드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지닌다. 루트 노드는 트리에서 가장 위에 있는 노드를 의미한다. 자식 노드는 임의의 노드 아래에 연결된 다음 레벨에 있는 노드이고, 부모 노드는 임의의 노드에 연결된 이전 레벨에 있는 노드를 의미한다. 형제 노드는 같은 부모 노드를 가지는 노드를 말한다. 이와...
참고 자료
한규정, C언어로 구성한 자료구조, 한올출판사, 2015, p.123~139
조동영, C언어로 설명하는 자료구조 프로그래밍, 북스홀릭퍼블리싱, 2021, p.173~197
e그린 자료구조 학습자 교안(8_14주).pdf
김정수,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 서울: 컴퓨터사, 2022.
이민호, "신장트리의 응용과 발전," *정보과학회지* 31, no. 2 (2023): 25-42.
박소연, "네트워크에서의 신장트리 활용," *전산학회지* 18, no. 1 (2023): 7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