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CABG 수술 후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관상동맥우회술(CABG)의 개요
1.1. CABG의 정의 및 특징
1.2. CABG의 적응증
2. CABG 수술 전 간호중재
2.1. 심리적 간호
2.2. 대상자 교육
2.3. 일반간호
2.4. 식이요법
2.5. 약물
3. CABG 수술 과정
3.1. 수술 방법
3.2. 수술 효과
4. CABG 수술 합병증
4.1. 수술 부위 관련 합병증
4.2. 부정맥 합병증
4.3. 출혈 합병증
5. CABG 수술 후 간호중재
5.1. 심장혈관 상태 파악 및 안정
5.2. 호흡기능 증진
5.3. 수액, 영양, 전해질 균형 유지
5.4. 콩팥기능 사정
5.5. 통증 완화
5.6. 신경기능 증진
5.7. 정신간호
5.8. 수면 증진
5.9. 조기보행
5.10. 합병증 예방
6. CABG 대상자 퇴원교육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관상동맥우회술(CABG)의 개요
1.1. CABG의 정의 및 특징
관상동맥우회술(CABG)은 협착되어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관상동맥에 다른 혈관을 이식하여 우회로를 만들어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수술 방법이다.
이 수술은 주로 동맥경화증으로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실시된다. 수술 시 환자 자신의 혈관(내흉동맥, 대복재정맥 등)을 이용하여 좁아진 관상동맥 부위를 우회하는 새로운 혈관을 만들어 심근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CABG 수술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로 치료할 수 없거나 약물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관상동맥질환 환자에게 시행되며, 장기적으로 높은 개통률과 생존율을 보여 표준적인 치료 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1.2. CABG의 적응증
CABG의 적응증은 경피적 스텐트 삽입술만으로 질환을 완전히 치료할 수 없거나 관상동맥 질환의 진행이 많이 된 경우, 좌측 주요 관상동맥이 50% 이상이 폐색된 협심증, 관상동맥 2개가 심하게 폐쇄된 경우 또는 3개가 70% 이상 폐쇄된 불안정형 협심증, 심부전을 동반한 허혈상태, 협착 부위가 긴 경우, 급성 심근경색증, 판막질환, 심인성 쇼크, 심장기능이 감소되어 있는 환자,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이 부적합한 관상동맥, 약물요법으로 치료되지 않는 협심증 등이다.""
2. CABG 수술 전 간호중재
2.1. 심리적 간호
심리적 간호는 심장수술을 앞둔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수술 과정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불안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상자가 구체적인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올바른 설명을 제공한다. 또한 불확실한 불안에 대해서는 간호사가 깊은 신뢰와 자신감 있는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대상자의 신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대상자는 수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출 수 있으며, 수술 후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2.2. 대상자 교육
대상자 교육은 CABG 수술 전 중요한 간호중재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와 가족들에게 ICU, CCU에서의 치료과정, 수술 후 필요한 심호흡, 기침, 관절운동 등을 교육하여 대상자가 수술 후 회복과정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대상자가 자신의 언어로 심장문제와 수술에 대해 표현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아 줄 수 있다. 수술 전 안전한 회복을 위해 대상자에게 중요한 자가간호 행위인 금연, 금주, 저염식이, 운동 등의 생활습관 개선에 대해 구체적으로 교육해야 한다. 나아가 응급상황 발생 시 대처방법과 외래 추후 관리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여 환자의 안전과 건강한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2.3. 일반간호
일반간호란 환자의 과거력 파악, 수술 전 기준 설정, 임상병리검사 시행, 부종 정도 관찰 등의 간호활동을 말한다. 수술 전 간호에서 일반간호는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수술 후 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과거력을 파악하여 대상자의 기저 질환이나 병력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수술 중 및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전 임상병리 검사를 시행하여 대상자의 기준치를 설정한다. 이는 수술 후 대상자의 상태 변화를 확인하고 비교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수술 전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수술 후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더불어 대상자의 부종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매일 일정한 시간에 체중과 intake/output을 체크한다. 이를 통해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CABG 수술 전 간호에서 일반간호는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하고 수술 후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통해 수술 전부터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2.4. 식이요법
수술 전 환자의 식이요법은 저칼로리, 저지방 섭취와 수분 및 염분 제한이 중요하다.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식사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동물성 지방이 많은 육류, 달걀, 유제품 섭취를 줄이고 대신 채소, 과일, 곡식, 해산물 등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도록 권장한다. 또한 수술 전 수분과 염분 섭취를 제한하여 수술 후 심부전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료진은 환자에게 구체적인 식단 지침을 제공하고 환자의 식이 섭취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2.5. 약물
수술 2~3일 전에는 digitalis와 thiazide계 이뇨제의 투약을 중지한다. 이는 수술 후 전해질 균형 유지와 심장 기능 회복을 위해서이다. digitalis는 심근 수축력을 강화시키는 약물로 수술 전에 중단하여야 한다. 또한 thiazide계 이뇨제는 혈량 감소를 초래할 수 있어 수술 전에 투여를 중지한다. 이러한 약물 중단은 수술 후 대상자의 심박출량 유지와 실혈에 대한 대처를 도와준다. 그 밖에도 수술 전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의 투여 중단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수술 중 출혈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수술 후에는 항부정맥제와 항응고제의 사용이 증가하게 된다. 부정맥 예방과 출혈 관리를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CABG 수술을 받는 대상자에게는 수술 전 후로 약물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이는 수술의 안전성과 대상자의 예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3. CABG 수술 과정
...
참고 자료
[생로병사의 비밀] https://www.youtube.com/watch?v=lXqphrM7r40
[분당서울대학교 병원-흉부외과]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TS&MENU_ID=004025013
[서울 아산병원-관상동맥우회술]
https://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90
[한양대학교구리병원 건강자료실]
https://guri.hyumc.com/guri/healthInfo/reference.do?action=view&nttSeq=10173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황옥남 외. 2018
윤은자, 김숙영 외 공저 (2020)/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746-779페이지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s 이영휘 외 공역(2013)/ 성인간호학 volume 1/ 정담미디어·학지사/ 789~829페이지
채성철 외 6인 및 대한심장학회 심근경색연구회(2016)/ 심근경색증/ 대한의학서적/ 10~17페이지
MEG GULANICK 외 2명(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다카기와 쥰 외 197명 공저 (2014)/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1/ 한언/ 154-186페이지
PATRICIA GONCE MORTON, Dorrie K. Fontaine(2015)/ 순환·호흡기계 중환자간호/ 군자출판사/ 19, 50-52,130-149, 265-294, 297-324페이지
Lewis 외 3인편역 신경림 외 공역(2015)/ / 제 9판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723-736, 741-767페이지
강승주, 김은회 외 공저(2014)/ Pacific medical surgical nursing 성인간호학 Ⅰ/ 퍼시픽북스/ 676-705, 743-749페이지
Lewis 외 3인편역 신경림 외 공역 (2010)/ 성인간호학 Ⅱ / 현문사/ 1197-1198, 1201-1230페이지
김근순 외 공저(2016)/ 여덟째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748-782페이지
김성태 (2020)/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CASE STUDY 1권/ 우리의학서적/ 44~60페이지
박은진. 이지아 (2015)/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 한국간호과학회/ 45권/ 3호/ 378~387 페이지
손국희 (2004)/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한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수술 전 백혈구 수치와 수술 후 경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흉부외과학전공
오선우, 황병희(2018)/ 기저질환 없는 17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 심근경색 1례/ 대한내과학회/ 2018권/ 1호/ 155페이지
김훈, 이석우(2005)/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통증 유무가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 16권/ 5호/ 511~518페이지
최시영, 김용환, 서종희(2008)/ 우관상동맥 이상기시를 동반한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 대한흉부외과학회/ 41권/ 5호/ 636~639페이지
설수영 외 12명(2019)/ 고령의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성별에 따른 영향/ 대한내과학회/ 94권/ 1호/ 96페이지
설수영 외 9인(2018)/ 흡연을 하는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일년 후 사망 예측인자/ 대한내과학회/ 93권/ 4호/ 369~378페이지
김미정, 김계하(2012)/ 중노년층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생활습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권/ 1호/ 260~280페이지
조숙희, 최명자, 정명호(2012)/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관상동맥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18권/ 1호/ 171~181페이지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21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