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아트마스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4.10.12
2,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이탈리아아트마스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계의 유명디자이너
1.1. 프랑스 디자이너
1.1.1. 아네스 베
1.2. 영국 디자이너
1.2.1. 알렉산더 멕퀸
1.2.2. 안젤라 린드발
1.2.3. 케이트 모스
1.3. 미국 디자이너
1.3.1. 안나수이
1.3.2. 캘빈 클라인
1.3.3. 나오미 캠벨
1.4. 이탈리아 디자이너
1.4.1. 안토니오 베라르디
1.4.2. 아제딘 알라이아
1.4.3. 도나첼로 베르사체
1.4.4. 미우치아 프라다
1.5. 기타 디자이너
1.5.1. 존 갈리아노
1.5.2. 장 폴 고티에
1.5.3. 스텔라 매카트니
1.5.4. 폴 스미스

2. 쉐라톤 서울 D큐브 시티 호텔
2.1. 호텔 소개
2.2. 객실 운영 시스템
2.3. 식음료 운영 시스템
2.4. 연회장 운영 시스템
2.5. 부대 시설
2.6. Package & Membership
2.7. 채용 기준

본문내용

1. 세계의 유명디자이너
1.1. 프랑스 디자이너
1.1.1. 아네스 베

아네스 베는 1941년 베르사이유의 아네스 트로블레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베르사이유의 '에꼴드보자'를 졸업하고 프랑스의 에디터로 활동하던 중 디자이너로 행보를 바꿨다. 처음에는 어시스턴트로 시작하여 '리미텍스', '페이르 달비', '에버스빈' 같은 브랜드에서 프리랜서로 디자인을 담당하면서 경험을 쌓은 아네스 베는 1975년 레할르에 자신의 숍을 오픈했다. 정육점을 개조하여 블랙과 화이트 타일로 장식한 자신의 숍에서 데뷔 컬렉션을 선보였다. 아네스 베는 새로운 유행을 적극적으로 정착시킨 1세대 디자이너 중 한 명이다. 파리 패션주간(Paris Fashion Week)동안 심플하고 시크한 프라이빗 컬렉션을 여는 그녀는 난해한 디테일을 거부한다. 사실 그녀의 시그내처 스타일(signature style)은 정교한 재단의 화이트 셔츠와 블랙 울 점퍼의 고급스러운 품격에서 가장 잘 살아난다. 1980년 들어 아네스 베의 명성이 프랑스 전역에 널리 퍼져갔고, 마침내 뉴욕의 소호에서 첫 부티크를 오픈하게 됐다. 이와 함께 여성 의류 뿐 아니라 남성, 아동 컬렉션 등을 함께 선보였다. 1987년에는 향수 "Le B"와 스킨케어, 코스메틱, 임산부 컬렉션을 런칭했다. 그녀는 지금 런던, 암스텔담, 도쿄에서도 숍을 운영하고 있다."라고 볼 수 있다.


1.2. 영국 디자이너
1.2.1. 알렉산더 멕퀸

1970년 런던의 동쪽 끝 자락에서 태어난 알렉산더 맥퀸은 상류사회를 통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디자이너로 급부상했다. 그는 1991년 '아트 & 디자인 센트럴 세인트 마틴 칼리지'를 졸업한 뒤 '로메오 질리'와 '코지 타츠노 (Koji Tatsuno)'를 거쳐 런던에 스튜디오를 오픈, 자신의 브랜드를 런칭했다. 그러나 반응은 썩 좋지 않았다. 새로 런칭한 그의 'bumsters'는 형편없을 정도로 수준 이하라는 언론의 질타를 받기도 했지만, 반면에 아름다운 재단기술과 빼어난 디자인이라는 평가와 함께 스타일리스트 '이사벨라 블로우'같이 패션계에 영향력 있는 인사들에게 사랑을 받기도 했다. 1996년에는 '올해의 베스트 브리티시 디자이너'로 선정되었고, 이어 '존 갈리아노' 후임으로 지방시의 새로운 수석 디자이너로 임명되었다. 40년 역사의 꾸띄르 하우스인 지방시가 그를 선택한 것은 바로 맥퀸의 "뛰어난 크리에이티브 능력과 테크니컬한 기술" 때문이었다. 이듬해인 1997년에는 지방시의 4가지 컬렉션과 자신의 브랜드 2가지를 전개하는 등의 왕성한 활동을 벌이면서 존 갈리아노와 함께 '베스트 브리시티 디자이너 어워드'를 공동 수상했다. 이제 갓 서른을 넘긴 맥퀸이 '패션계의 악동'이라고 불리며, 전통있는 꾸띄르 하우스에 입성하게 된 또 하나의 이유는 '데이빗 보위'와 '프로디지의 키이쓰 플린트' 등의 록큰롤 가수들이 그의 옷을 즐겨 입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1.2.2. 안젤라 린드발

안젤라 린드발은 14살 때 캔자스 지역 패션쇼 무대에 섰다가 모델 에이전시 IMG의 눈에 띄어 전문 모델이 되었다. 180cm의 훤칠한 키에 34-24-34의 매력적인 몸매를 지닌 그녀는 고되고 힘든 모델 일에 지쳐 17살 때까지 공백기간을 가지기도 했다. 98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재개하면서 미소니, 세루티, 샤넬, 지방시, 돌체 & 가바나 등 최고 디자이너들의 광고 캠페인 주인공을 차지했다. 또한 1999년과 2000년 연속으로 VH1/VOGUE Fashion Awards 올해의 모델상 후보에 오르는 등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휴식시간에 기타연주나 스케칭을 즐기고, 동료 모델 파라 서머필드. 크리스티나 크루즈, 키아라 카부쿠루, 미쉘 베헤나 등과 친하게 지내는 안젤라는 2000년 현재 샤넬과 토미 힐피거 등의 전속모델로 활약하고 있다.


1.2.3. 케이트 모스

케이트 모스는 1988년 14살 때 공항에서 우연히 스카웃되어 국제적인 수퍼모델로 급부상했다. 키도 작고 마른 편이었지만, 새로운 얼굴의 모델을 찾던 디자이너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다. 1991년 하퍼스 바자 표지모델로 데뷔한 이후 세계적인 스타로 떠올랐다. 특히 캘빈 클라인의 뮤즈로 활동하면서 큰 인지도와 명성을 얻게 되었다.

모스는 과거 '거식증'에 걸릴 정도로 마른 체형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는 당시 디자이너들이 선호한 모델 이미지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건강한 외모의 모델들이 더 선호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모스도 더 건강한 몸매를 유지하고 있다.

모스는 런던과 LA를 오가며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LA에서는 남자친구였던 배우 조니 뎁이 운영하는 클럽 'The Viper Rooms'에서 자주 목격되기도 했다. 또한 다큐멘터리 출연 및 자신의 책 'Kate' 출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하지만 모스는 과거 10년 동안 '취한' 상태로 모델 활동을 했다고 고백했다. 이는 스트레스가 많은 모델 생활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모스는 2000년대 들어 공식적인 모델 활동을 줄이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유명 브랜드와 협업하며 패션계의 중요한 인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 미국 디자이너
1.3.1. 안나수이

1955년 디트로이트에서 태어난 중국계 미국인 디자이너 안나 수이는 뉴욕 '파슨스 디자인스쿨' 졸업생 중에서도 가장 성공한 사람의 하나로 손꼽힌다. 파슨스 재학시절에는 사진작가 '스티븐 마이젤'과 절친하게 지내며, 그의 작업에 스타일리스트로 참여하기도 했다. 그녀는 1991년 첫 컬렉션에서 70년대의 '샤넬'이나 '글램 록' 만큼이나 독특한 '쿡(kook)'라는 스타일을 선보여 패션계에 주목을 끌었다. 또한 1993년에는 가수 '코트니 러브'의 에서 영감을 받은 '94 봄/여름 베이비 돌 컬렉션을 선보여 최고의 찬사를 받으며 그녀의 명성을 꾸준히 지켜 나갔다. 97년에는 '안나 수이 파티'라는 이름으로 하이 웨이스트의 실크 드레스로 유명한 이브닝웨어 브랜드 '조지 F 꾸띄르'에서 제작을 맡은 스페셜 가운 라인을 출시하였다. 그녀가 전개하고 있는 '블룸즈베리 룩'과 70년대 히피 스타일의 패치워크 레더, 크로켓은 그녀의 팬들에게 꾸준히 사랑받는 스타일이다.


1.3.2. 캘빈 클라인

디자...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