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환경친화형 농업의 개념과 필요성
1.1. 환경친화형 농업의 정의
환경친화형 농업이란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유기물과 미생물 등 천연자원을 이용하여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보전하면서 안전한 농·축·임산물을 생산하는 농업 방식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환경친화형 농업은 농약·비료 등에 대해서 화학 자재보다 유기물과 미생물 등 천연자원을 이용하여 생태계 보전과 건강한 농산물을 고려한 친환경 농업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화학비료의 오남용으로 인한 생태계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농업 방식이다.
환경친화형 농업에는 건강, 생태, 공정, 배려의 4대 원칙이 있다. 이에 따라 토양, 미생물, 작물 등의 건정성과 유지 및 향상을 목표로 하는 친환경적인 농업 생산 체계로 관리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 환경친화형 농업의 정의라고 할 수 있다.
1.2. 환경친화형 농업의 출현배경
1.2.1. 국내적 요인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이 출현하게 된 국내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좁은 국토에서 많은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생산만을 위한 화학비료나 농약 등의 사용 의존도가 높았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화학비료 투입은 감소했지만, 농약의 사용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둘째, 국민의 소득 증가로 보다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안전농산물 수요가 증대되었다. 교육수준의 향상과 함께 환경오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졌다.
셋째, 경제발전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농업생산의 지속성이 위협받게 되면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농업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농업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국내적 요인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환경친화형 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1.2.2. 국제적 요인
국제적 요인으로 보면, 지구촌 공동체 인식이 커지고, 과학과 문명의 발달로 지구환경 악화가 문제 되면서 많은 국제기구가 생겨났다. 국제기구들은 각국의 농업환경정책을 평가해 농업환경정책과 생산을 무역과 연계해 논의를 강화하고, 국제 규범이 지정됨으로서 국내농업에 미치는 영향도 점차 커졌다. 환경오염에 대한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서 농업생산기술을 개발에 힘써 발생한 오염물질 정화법과 유기성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인식 개선이 필요하게 됐다. 세계무역기구 체제하에서의 식품교역은 Codex에 따라 생산 및 가공식품을 주로 관리한다. 글로벌화 되는 우리나라도 국제유기식품기준에 의해 유기농산물을 생산에 동참하고, 환경오염과 건강한 먹거리의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기술개발에 노력해야 한다.""
2. 시설재배 농업의 특성과 염류집적 문제
2.1.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집적 현상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집적 현상은 시설재배 토양의 특성에서 기인한다. 시설재배는 강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온도로 인해 수분 증발이 가속화되는 경향이 있어, 심층의 양분이 작토층으로 상승하면서 작토층에 염류가 집적되기 쉽다.
시설재배 토양은 폐쇄적인 환경으로 인해 토양의 자연적 양분 유출이 제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작물 재배로 인한 양분 축적과 염류집적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시설재배 농가들은 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화학비료와 가축분뇨 등을 과다하게 투입하는 경향이 있어, 토양 내 질소, 인, 칼륨 등의 염류가 집적되는 문제가 두드러진다.
이처럼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 집적은 토양 환경 악화, 작물 생육 저해, 작물 품질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염류가 집적된 토양에서는 토양 pH가 높아지고 토양 미생물 활성이 저하되어 토양 비옥도가 저하된다. 또한 작물의 뿌리 생장이 저조해지고 생육이 불량해지며, 농산물의 품질과 수량이 감소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시설재배 환경에서는 토양의 염류 집적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토양 배수 및 토양 개량, 저투입 농법 적용, 작물 윤작 등의 다각도 방안을 통해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 집적을 예방하고 관리해야 할 것이다.
2.2. 토양 염류 집적의 원인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 집적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재배는 일반 노지재배에 비해 여러 가지 재배환경이 인위적으로 조성된 연중 다작이 가능한 집약농업으로 특히 연중 강우가 차단되면서 노지재배에 비해 수직 배수로 인한 양분 용탈이 적고 작물의 생육 속도가 빠른 편이기 때문에 매 작기 마다 다비를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