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심근경색 간호진단과 간호과정을 난다여 근거해서ㅇ표로 만들어 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심근경색증의 이해
1.1. 심근경색증의 정의
1.2. 심근경색증의 원인과 위험 요인
1.3. 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
1.4. 심근경색증의 임상증상
2. 심근경색증의 진단
2.1. 전형적인 증상과 징후
2.2. 심전도 검사
2.3. 혈청 효소 검사
2.4. 기타 진단검사
3. 심근경색증의 협력관리
3.1. 시술 및 수술
3.2. 약물 치료
3.3. 영양관리
3.4. 치료적 생활양식 변화
4. 심근경색증 간호과정
4.1. 급성통증 간호
4.2. 활동지속성장애 간호
4.3. 심장조직관류 감소의 위험 간호
4.4. 대상자 및 가족 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심근경색증의 이해
1.1. 심근경색증의 정의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은 심장 근육의 일부가 불가역적인 손상을 입어 괴사되는 질환이다. 심장은 3개의 주요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이 중 어느 하나라도 급성으로 폐색되면 심근 조직으로의 혈류 공급이 차단되어 심근 괴사가 발생하게 된다. 관상동맥의 폐색은 대부분 죽상경화증에 의한 혈전 형성으로 인해 일어나며, 이로 인해 심근 경색 부위의 심근 세포가 핵심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더 이상 정상적인 수축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급성 폐색으로 인해 심근 조직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는 질환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2. 심근경색증의 원인과 위험 요인
심근경색증의 원인과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심근경색증의 주요 원인은 관상동맥폐색이며, 관상동맥 폐색의 95%는 동맥경화에 의해 발생한다. 나머지 5%는 매독, 색전, 대동맥류, 결핵, 종양 등에 의해 발생한다. 관상동맥의 강한 수축으로 인한 동맥 혈류 차단, 관상동맥 수축이 일어나는 원인은 코카인과 같은 약물, 스트레스, 통증, 극심한 추위, 흡연 등이 있다.
심근경색증의 위험 요인에는 조절 불가능한 요인과 조절 가능한 요인이 있다. 조절 불가능한 요인으로는 고령의 나이(남자 45세 이상, 여자 55세 이상), 관상동맥심질환의 가족력, 성별(여성보다 남성의 발병률이 2~3배 높음) 등이 있다.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과체중, 비만, 운동 부족, 고혈당, 통풍, 음주, 만성신부전, 종격에 대한 방사선 치료, 스트레스 등이 있다.
고지혈증은 가장 위험한 요인 중 하나로, 지방대사의 세 요소인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중성지방이 상승하면 동맥벽으로 침투하여 내강을 좁게 만들어 심장근육의 혈류를 감소시킨다. 고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40mmHg보다 높고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 위험이 있으며, 당뇨병이 있으면 심근경색증의 발생률이 2~4배 높아진다. 운동 부족, 비만, 고혈당 등도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흡연은 일산화탄소와 니코틴이 혈액의 산소 운반능력을 감소시키고 상피세포에 손상을 주어 죽종 형성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심장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3. 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한 지속되는 허혈의 결과로 발생하며, 비가역적인 심근세포의 괴사를 유발한다. 대부분의 급성 심근경색의 80~90%가 혈전 형성으로 인해 발생한다.
관상동맥의 강한 수축으로 인한 동맥 혈류 차단, 관상동맥 수축이 일어나는 원인은 코카인과 같은 약물, 스트레스, 통증, 극심한 추위, 흡연 등이 있다. 동맥경화증은 주로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관상동맥에 침착하여 혈관의 탄력성이 저하되고 혈전이 생기는 등 동맥이 좁아지는 현상이다.
동맥경화증이 매우 심하게 진행되어 관상동맥이 폐색되면서 심장에 피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한다. 관류가 정지되어 산소와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한 심장은 2~3시간 내에 심근내막 중심부부터 점차적으로 외막까지 괴사가 진행되고 괴사 부위는 심근 수축기능은 멈추게 된다. 관상동맥 폐색 후 24시간이 지나면 심근 전체가 괴사되어 돌이킬 수 없어진다.
동맥경화증이 진행될수록 관상동맥의 내강이 좁아져 혈류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심근의 허혈이 발생하게 된다. 혈액 공급이 감소하면 무산소 대사가 발생하고, ATP가 소모되며 젖산이 생성된다. 이로 인해 부정맥이 유발되고 심근 수축력이 감소하면서 급성 허혈이 발생하게 된다. 자율신경계의 보상기전으로 심박동수가 증가하지만, 결국 심근의 산소 공급과 요구 사이의 불균형이 심화되어 불가역적인 세포 손상과 괴사가 진행된다. 심근경색증은 이러한 병태생리적 과정을 거쳐 발생하게 된다.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 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심장 혈류의 감소로 인해 심근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이 줄어들면, 이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자율신경계의 교감신경이 활성화된다. 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인해 심박출량이 증가하고 혈압과 심박수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더욱 증가시킨다. 하지만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인해 실제 심근으로의 산소 공급은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결국 심근조직의 산소 공급과 요구량의 불균형이 초래된다.
이렇게 지속되는 허혈 상태로 인해 심근 세포는 점점 손상을 받게 된다. 먼저 심근세포막의 기능이 손상되어 세포 내외 이온 농도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이어서 세포 내 요소들의 용해와 괴사가 진행된다. 심근세포의 괴사는 심근 수축력의 감소를 일으키고, 이는 심박출량 저하로 이어져 결국 순환부전과 쇼크 상태에 이르게 된다.
한편 괴사된 심근 부위에서는 염증 반응이 나타나게 된다. 혈관 투과성 증가로 인한 백혈구와 대식세포의 침윤, 유리된 효소와 활성산소종에 의한 주변 심근세포의 추가 손상, 부종 발생 등이 그 특징이다. 이러한 국소적 염증 반응은 심근 전체로 확산되어 전신 염증 반응을 유발하기도 한다.
결국 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는 관상동맥 폐색에 의한 심근 허혈, 그로 인한 심근세포 괴사와 염증 반응, 그리고 이로 인한 심장 기능 저하로 요약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교감신경계, 염증 반응, 세포 내 대사 등 다양한 기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1.4. 심근경색증의 임상증상
심근경색증의 주요 증상은 전형적인 흉통이다. 대상자들은 심한 압박감, 따끔거림, 쥐어짜는 듯한 느낌의 지속적인 흉통을 호소한다. 흉통은 보통 15분 이상 지속되며, 휴식이나 니트로글리세린 투여에도 호전되지 않는다. 흉통은 주로 흉골 중앙부나 좌측 전흉부에 위치하며, 목, 턱, 팔, 등 등으로도 방사될 수 있다.
대상자들은 급성 심근경색증 발생 시 심한 호흡곤란, 오심, 구토, 실신, 발한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비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무증상 심근경색증을 경험하기도 한다. 노인 환자에서는 혼란, 현기증, 부정맥 등의 비전형적인 증상이 나...
참고 자료
김조가 외,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시, 2017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2017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2, 현문사, 2019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_상권』, 현문사, 2019
「심근경색증」, 서울대학교 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5
「허혈성 심장 질환 - 협심증, 심근경색증」, 세브란스 병원, https://sev.iseverance.com/health_info/disease_info/view.asp?con_no=20442&page=1&SearchField=title&SearchWord=%EB%8B%B4%EC%84%9D%EC%A6%9D
고문사,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김유정 외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최신기본간호학2020, 손경애 외, 수문사
현문사 제8판 성인간호학 상/하권 저자 유양숙,권보은 외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5
송경애 외(2009),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p.267~268, p.283~285
송경애 외(2009),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p.701~726, p.808~816
이향련 외(2007),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420~423, p.589~603, p. 632~633 p.642~650
성미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p.233~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