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사소통 개요
1.1. 의사소통의 개념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란 "상징에 의하여 정보, 생각,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며 결정의 전제가 되는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의사소통이란 쌍방의 과정(a two-way process)으로서 전달자와 피전달자 간에 사실이나 생각, 감정 등을 전달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생각이나 행동,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1.2. 의사소통의 중요성
의사소통은 경영자의 모든 활동의 기본바탕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만약 정확·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경영성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다""이다.
첫째, 경영자의 모든 기능, 즉 경영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계획수립·조직화·지휘·통제 등의 모든 경영활동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이 필수적으로 개입된다""이다. 그러므로 경영자로서의 책임을 완수하는 것은 의사소통에 크게 달려 있다고도 할 수 있다""이다.
둘째, 경영자의 모든 역할, 즉 대인적·정보적·의사결정적 역할을 실천하는데 있어서도 의사소통은 필수적이다""이다.
셋째, 실제 경영자가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조사해보아도 가장 많은 시간을 의사소통에 할애하고 있다는 점이다""이다.
이처럼 의사소통은 경영자의 모든 활동의 기본바탕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만약 정확·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경영성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다""이다.
1.3. 의사소통의 과정
의사소통의 과정은 송신자, 암호화, 메시지, 수신, 해석과 응답, 피드백, 소음 등 일련의 단계를 거치는 과정이다.
첫 번째 단계는 송신자(sender)로, 전달하고자 하는 생각, 아이디어, 정보를 선별하고 계획하여 전달하는 것이 의사소통의 출발점이 된다.
두 번째 단계는 암호화(encoding)로, 수신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언어적 기호, 대화, 제스처, 접촉, 표정 등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메시지(message)로,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이 메시지는 대화, 글, 제스처 등 다양한 형태로 전달되며, 수신자의 이해도에 따라 수용되기도 한다.
네 번째 단계는 수신(receiving)으로, 송신자의 메시지를 수신자가 보고, 듣고, 느끼면서 받아들이는 단계이다.
다섯 번째 단계는 해석과 응답(decoding and response)으로, 수신자가 받아들인 메시지를 해독하고 송신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단계이다.
여섯 번째 단계는 피드백(feed-back)으로, 수신자의 메시지에 대한 반응으로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메시지 전달 과정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소음(noise)은 의사소통 과정을 방해하는 요소로, 의사소통을 어렵게 만들고 혼란스럽게 하는 요인을 뜻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된다.
2. 의사소통의 유형
2.1. 공식적 의사소통
공식적 의사소통은 조직의 위계 서열에 따라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형태이다. 먼저 수직적 의사소통에는 하급자가 상급자에게 업무처리 결과나 자신의 의견, 수집된 정보 등을 보고하는 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