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문제를 예방하는 기관과 문제(위기)청소년을 지원하고 보호하는 청소년기관(시설/단체)을 방문하고 그 결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청소년 문제의 중요성
1.2.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필요성
1.3. 과제의 목적
2. 본론
2.1.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개요
2.1.1. 정의 및 근거 법령
2.1.2. 대상 및 신청 방법
2.2.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구성 및 역할
2.2.1. 지방자치단체
2.2.2. 청소년상담복지센터
2.2.3. 청소년복지시설 및 지원시설
2.2.4. 시·도 및 지역교육청
2.2.5. 각급 학교
2.2.6. 지방경찰청 및 경찰서
2.2.7. 지방고용노동청 및 지청
2.2.8. 공공보건의료기관 보건소
2.2.9. 청소년비행예방센터
2.2.10.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2.3.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성과 및 한계
2.3.1. 위기청소년 발견 및 지원 현황
2.3.2. 기관 간 연계 및 협력 실태
2.3.3. 개선이 필요한 점
3. 결론
3.1. 요약
3.2. 발전 방향
3.3. 기대 효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청소년 문제의 중요성
청소년기는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형성된 가치관과 행동양식은 성인기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청소년 문제의 예방과 문제 청소년의 지원은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급변하는 사회환경과 경쟁적인 교육 시스템은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학교 폭력, 가출, 중독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 문제에 대한 관심과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필요성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다양한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3년간 자해와 자살을 기도한 청소년이 매년 2천명 이상이며, 자살이 청소년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청소년 쉼터에 입소한 청소년의 절반 이상이 가정폭력, 방임, 학대로 인해 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위기청소년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통합적인 체계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청소년들의 힘만으로는 열악한 환경에서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가정에서의 폭력이나 방임, 학업 중단, 가출 등 위기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은 스스로 해결책을 찾기 어려우므로, 국가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보호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연계하여 위기청소년을 지원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위기청소년에게는 긴급구조, 상담, 학업 지원, 자활 지원, 교육, 보호, 자립 등 다양한 서비스가 요구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관련 기관들의 협력과 연계가 필수적이다"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는 위기청소년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청소년복지 시스템으로서,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과 사회 복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1.3. 과제의 목적
본 과제의 목적은 청소년 문제를 예방하는 기관과 문제(위기)청소년을 지원하고 보호하는 청소년기관(시설/단체)을 방문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여 청소년 문제 해결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2. 본론
2.1.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개요
2.1.1. 정의 및 근거 법령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는 "9세에서 24세까지의 모든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되며, 1388 전화, 방문, 사이버 상담, 온라인 신청 등의 다양한 경로로 신청이 가능"하다. 이 체계는 청소년복지지원법을 근거로 운영되는데,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조에서는 가정생활과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등 건강하고 조화로운 성장과 생활 여건을 갖추지 못한 청소년을 "위기청소년"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지원법 제9조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사회의 위기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하고 보호해야 하며, 국가는 이 체계의 운영을 지원해야 한다.
2.1.2. 대상 및 신청 방법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대상은 9세부터 24세까지의 모든 위기청소년이다. 이들은 가정생활의 문제나 학업 수행 및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조화로운 성장과 건강한 생활 여건을 갖추지 못한 청소년들이다. 이들은 1388 전화, 방문, 사이버 상담, 온라인 신청 등 다양한 경로로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에 신청할 수 있다.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는 청소년복지지원법에 근거하여 운영되는데, 이 법에 따르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위기청소년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필요한 상담, 교육, 보호, 자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가족과 보호자 또한 상담 및 교육 권고에 성실히 응해야 한다.
이처럼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는 위기에 놓인 청소년들을 발굴하고, 상담과 보호, 자립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청소년복지 체계인 것이다.
2.2.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구성 및 역할
2.2.1.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사회 청소년 통합지원체계의 서비스 주체로서 체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수 연계기관들의 연계를 활성화시키고 행정적 협력을 유도하여 필요한 지역사회 자원을 위기청소년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복지시설, 학교, 경찰서 등 관련 기관들의 상호연계를 통해 청소년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청소년 복지 예산을 확보하고 지역사회 내 청소년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등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위기청소년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필요한 보호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2.2.2.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전국 각지에서 청소년과 그 가족을 위한 상담과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이 센터들은 학교, 가정,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청소년들이 정서적 어려움을 겪을 때 전문 상담사들의 심리적인 지원을 통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춘천에 위치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방문해 본 결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참고 자료
0000 평생교육원 청소년 문제와 보호 교안 : 박현동 교수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자료 : (www.korea.kr)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주요사업, 청소년안전망 운영사업 자료
은둔청소년 발굴 및 지원방안, 차주환 외 4명, 한국 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3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설립목적 및 주요업무, https://www.kyci.or.kr/userSite/sub01_1.asp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주요사업, 청소년안전망 운영사업, https://www.kyci.or.kr/userSite/sub02_1.asp#mbSideMenu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주요사업, 학교 밖 청소년 운영사업, https://www.kyci.or.kr/userSite/sub02_2.asp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주요사업, 디지털미디어 피해 회복 지원 사업https://www.kyci.or.kr/userSite/sub02_3.asp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주요사업, 청소년 권리교육 사업https://www.kyci.or.kr/userSite/sub02_11.asp
중등연령 학교 밖 청소년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박재연 외 4명,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3, https://www.kyci.or.kr/userSite/lib/public_read.asp?idx=R358&Page=1&Gubun=T&orderMdate=%EC%A0%95%EB%A0%AC&SearchGubun=author&SearchText=%EB%B0%95%EC%9E%AC%EC%97%B0
은둔청소년 발굴 및 지원방안, 차주환 외 4명, 한국 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3 https://www.kyci.or.kr/userSite/lib/public_read.asp?idx=R354&Page=1&Gubun=T&orderMdate=%EC%A0%95%EB%A0%AC&SearchGubun=bname&SearchText=%EC%9D%80%EB%91%94%EC%B2%AD%EC%86%8C%EB%85%84
[기자의 시선] 12~14세 청소년 자살률 역대 최고, 청소년정책은 어디에.., 이영일, 한국NGO신문, 2023 https://www.ngo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37964.
늘어나는 청소년 자살률… 무엇이 그들을 죽음으로 내모나?, 전종보, 헬스조선, 2023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1/04/2023010402192.html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부모상담 통해 청소년 돕는 방안 제시한 ‘청소년상담 이슈페이퍼’ 발행, 이유정, 코리아데일리, 2023 https://www.ikorea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5074
이태희·정재필, 『청소년복지론』, 지식공동체, 2018.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W/main.html)
정부24 홈페이지 (https://www.gov.kr/portal/main)
1388 청소년 사이버 상담센터 (https://www.cyber1388.kr: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