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역정보시스템(EIS)의 개념
1.1. 등장 배경
본격적인 지식 정보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기업의 경영환경은 경쟁이 심화되고,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불확실성이 증대하였다. 이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임원들에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임원들의 정보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기존의 TPS,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SS(Decision Support System) 등은 여러 면에서 한계를 드러내었다. 전략적 정보는 기업의 형식지로 보관되기보다는 주로 임원의 생각 속에 존재하기 때문에 정보 탐색과정을 부하직원들에게 일임하기를 꺼린다. 그들의 사회적 지위 때문에 중요한 전략은 직접 임원 개인에게 전달된다는 것이다. 임원 자신이 직접 정보에 대한 통제력을 구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1.2. 정의
중역정보시스템(EIS: Executive Information System)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최고 경영자를 위한 특수목적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서 일명 중역지원시스템(executive support system : ESS)으로도 불린다. 이미 각 부서마다 책임자와 전산 시스템들이 있어서 부분적인 성과 측정은 되지만 경영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기업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는 총괄적인 시스템이다. 이러한 총괄적 시스템, 즉 EIS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은 이익성장률, 시장점유율, 생산성, 새 상품의 시장침투율, 그리고 인력 개발 등의 정보들이다. 경영인은 이러한 정보들을 사용하여 기업 운영의 상태를 항상 감독하고, 조정하며, 지시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경영자로서 그 기업의 성공 지표 변화를 수시로 점검하고, 그 변화에 대응할 문제를 제시하며, 기업 혁신이나 새로운 전략 등을 구상하는데 보조하는 것이 EIS이다.
1.3. EIS의 범위
중역정보시스템(EIS: Executive Information System)이란 말 그대로 한 기업의 중역들에게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중·하위 경영층에 적용되는 MIS나 DSS와는 별개이며 요구되는 정보의 질,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기술적 능력 등에서 다른 정보시스템과 구별된다. 이러한 중역정보시스템은 ERP를 통해서 수집된 자료를 요약적으로 가공하여 경영자에게 보여주는 정도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는 현재의 상황을 보여줄 뿐 미래를 예측하는 기능을 갖고있지는 않다. 이와 대조적으로 DSS나 MIS는 기존의 누적된 자료 분석을 통하여 미래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즉 미래를 예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1.4. EIS의 특징
중역정보시스템들은 다양한 설계방식이나 상이한 기본철학으로 인해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통적 특징을 지닌다.
첫째, 별도의 중역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이는 중역이 정기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생산정보시스템, 마케팅정보시스템, 회계정보시스템 등의 경영정보시스템과 주가, 환율, 금리 등의 정보를 받아볼 수 있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주요정보를 입수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둘째, 데이터 종합 능력이 뛰어나다. 중역은 특히 조직의 여러 수준의 데이터를 종합하고 데이터의 추세를 분석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해야 할 여러 조직 수준의 데이터를 사전에 정의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EIS는 여러 수준의 데이터를 보다 높은 수준의 요약정보로 종합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 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중역에게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이외의 수단이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