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볼테르 장 칼라스 사건 에밀 졸라 드레퓌스 사건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볼테르가 개입한 장 칼라스 사건
2.1. 참여하는 지성인과 칼라스 사건
2.2. 칼라스 사건의 개괄
3. 에밀 졸라가 고발한 드레퓌스 사건
3.1. 드레퓌스 사건의 개괄
4. 두 사건의 비교와 지식인의 사회적 역할
4.1. 칼라스와 드레퓌스 사건의 유사성
4.2. 지식인의 사회적 역할 - 공공지식인, 정의 추구와 실천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비록 오늘날에는 "소셜 미디어"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서 다수에 의해 생산된 콘텐츠가 동시다발적으로 공유 및 확산되고, 소수 언론이나 몇몇의 리더 등이 담론을 주도적으로 형성하기보다는 일반 대중에 의해 담론의 방향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 지식인들에게 의지하는 부분이 여전히 상당하게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오히려 인터넷의 발달은 이러한 지식인들의 작은 코멘트나 개인적인 생활까지도 다수에게 공유되는 상황을 만들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이들의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식인이 과연 어떠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검토해 볼 필요성이 높다고 여겨지는 바, 아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 두 가지의 역사적 사건으로 장 칼라스 사건과 드레퓌스 사건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겠다.
2. 볼테르가 개입한 장 칼라스 사건
2.1. 참여하는 지성인과 칼라스 사건
후술할 드레퓌스 사건에서 에밀 졸라가 참여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면, 약 한 세기 전에 일어난 장 칼라스 사건에 참여하였던 지성인으로는 철학자 볼테르를 꼽을 수 있다. 실제로 프랑스 사회에서는 프랑스가 지향하는 지성인의 최초 모습을 볼테르에게서 찾고 있는데, 이러한 지성인 또는 지식인은 연구자와 같은 모습으로 새로운 지식을 발굴하고자 하고 이 지식을 전수하고자 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 참여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는 자이기 때문이다. 즉 사르트르의 주장 등에서 나타나는 바와 마찬가지로 지성인은 사회적인 이상 – 자유, 정의, 진실, 선함과 의로움 등 중요한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투쟁하고 참여할 수 있는 자여야 하는데, 장 칼라스 사건의 볼테르를 그러한 선형(prototype)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후 칼라스 사건을 계기로 볼테르는 『관용론』을 집필하게 되며, 오늘날까지 프랑스 사회에서 중요한 가치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또한 프랑스 사회를 관통하는 하나의 정신으로 여겨지는 "관용(똘레랑스, tolerance)"에 대해 제시하는 저서로 꼽히고 있다.
2.2. 칼라스 사건의 개괄
칼라스 사건은 18세기에 일어난 사건으로, 드레퓌스 사건에서처럼 사법적 오류가 일어난 사건이자 이러한 사건이 사회적 편견 및 오해에 의해 확장된 사건이다. 장 칼라스라는 프랑스 청년은 개신교인이었는데, 그는 1761년 10월에 스카프로 목을 매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상태에서 발견된다. 이후 이러한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칼라스의 죽음은 아들이 카톨릭으로 개종할 결심을 밝히자 아버지가 그런 것을 참지 못하여 저지른 살해에...
참고 자료
음성신문, 드레퓌스 사건과 지식인들, 2014.11.27.
나는 고발한다 : 드레퓌스 사건과 집단히스테리, N. 할라즈 저, 황의방 옮김,한길사, 2015.
(다시 읽는) 드레퓌스 사건, 아르망 이스라엘 저, 이은진 옮김, 자인, 2002.
송덕호. (2022). 사법적 판단의 오류에 관한 고찰 - 프랑스의 <칼라스 사건>과 <드레퓌스 사건>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 68, 65-86.
유시민(2021). 거꾸로 읽는 세계사. 파주:돌베개.
부산일보. 유럽인문학기행,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21900260033006 (검색일: 2023.09.22.).
부산일보. 유럽인문학기행,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21900260033006 (검색일: 2023.09.22.).
한겨례, 종교적 관용,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681802.html (검색일: 2023.09.26.).
이용철, 문경자, 유진현, 기영인, 허영인(2021). 오늘날의 프랑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한겨례, 종교적 관용,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681802.html (검색일: 2023.09.26.).
나무위키. 볼테르, https://namu.wiki/w/%EB%B3%BC%ED%85%8C%EB%A5%B4 (검색일: 2023.09.26.).
부산일보. 유럽인문학기행,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021900260033006 (검색일: 2023.09.22.).
유시민(2021). 거꾸로 읽는 세계사. 파주:돌베개.
한석현(2023). 영화로 읽는 파리(강의록). 한국방송통신대학
유시민(2021). 거꾸로 읽는 세계사. 파주:돌베개.
유시민(2021). 거꾸로 읽는 세계사. 파주:돌베개.
유시민(2021). 거꾸로 읽는 세계사. 파주:돌베개.
나무위키, 드레퓌스사건, https://namu.wiki/w/%EB%93%9C%EB%A0%88%ED%93%8C%EC%8A%A4%20%EC%82%AC%EA%B1%B4 (검색일: 2023.09.26.).
파스칼 오리, 장-프랑수아 시리넬리(2005). 지식인의 탄생: 드레퓌스부터 현대까지. 서울:도서출판 당대
파스칼 오리, 장-프랑수아 시리넬리(2005). 지식인의 탄생: 드레퓌스부터 현대까지. 서울:도서출판 당대
유시민(2021). 거꾸로 읽는 세계사. 파주:돌베개.
대학지성. 공공지식인, http://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41 (검색일: 2023.09.26.).
시사주간, 지식인의 책임과 정치적 참여,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28100800&memberNo=16745602&vType=VERTICAL (검색일: 2023.09.23.).
프레스뉴스통신, 한국판 장칼라스-한국판 볼테르 http://www.pressna.com/news/newsview.php?ncode=1381158139616985 (검색일: 2023.09.24.).
이용철, 문경자, 유진현, 기영인, 허영인(2021). 오늘날의 프랑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나무위키. 볼테르, https://namu.wiki/w/%EB%B3%BC%ED%85%8C%EB%A5%B4 (검색일: 2023.09.26.).
헤더 캠로트 지음, 김영민 옮김(2023). 죄수와 작가. 서울: 파라주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