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직성 강화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2. 본론
2.1. 사서직의 전문성
2.1.1. 문헌정보학적 전문성
2.1.2. 주제전문성
2.2. 사서직 전문성 강화 방안
2.2.1. 전문인력 차별 없는 연수와 연구 활동 보장
2.2.2. 사서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연구 확대 및 처우 개선
2.2.3. 주제전문사서 육성과 계속교육 강화
2.3.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
2.3.1. 공공도서관 환경변화와 사서 역할 변화
2.3.2. 전문성을 요하는 사서 역할 변화
2.3.3. 사서직 전문성 제고를 위한 계속교육
2.4. 대학도서관 사서직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략
2.4.1. 핵심업무와 핵심역량 인식
2.4.2. 아웃소싱 대상 업무 선정의 신중성
2.4.3. 아웃소싱 수행 능력 및 계약 체결 역량 강화
3. 결론
3.1. 연구 요약
3.2.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
대학도서관은 지성의 전당이라 불릴 만큼 교육과 연구의 중심이 되는 공간이다. 그러한 대학도서관에서 사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사서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양질의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대학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들의 요구도 변화하고 있다. 도서관의 기존 업무들이 자동화되면서 사서에게 새로운 역할과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더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전문성 강화가 필수적이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문헌정보학적 지식과 실무 능력뿐만 아니라 주제 전문성을 겸비해야 한다. 단순히 도서관 업무를 처리하는 것을 넘어서 이용자들의 연구와 학습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서들의 지속적인 교육과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사서직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서에 대한 처우 개선과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현재 사서직은 비정규직이나 관리직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아 전문직으로서의 지위와 위상이 낮은 편이다. 하지만 사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 직종이므로, 이들의 전문성과 중요성을 인정하고 이에 걸맞은 대우를 해주어야 한다.
이처럼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는 복합적이고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한 과제이다. 단순히 사서 개인의 역량 강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도와 문화, 인식의 변화까지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 사서직이 전문성을 갖추고 대학의 교육과 연구 지원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독서교육이 강화되면서 지성의 전당인 대학도서관에서도 사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대학생들에게 양질의 도서를 안내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학 단위로 전개되는 학술적 연구 및 활동을 지원하고, 대학이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것이 이 연구의 중요성이다. 또한 대학도서관 사서가 대학생들의 학업을 지원할 수 있는 도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2. 본론
2.1. 사서직의 전문성
2.1.1. 문헌정보학적 전문성
사서직의 문헌정보학적 전문성은 대학에서 문헌정보학을 이수하면 습득할 수 있는 기본적 능력이다. 문헌정보학은 복합 학문의 성격이 강하여 문헌정보와 지식정보를 다루는 광범한 지식 및 기술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문헌정보학적 전문성의 핵심은 강의실 수업으로 그치는 수험용 학습이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체험을 통해 도서관 서비스를 피부로 느끼는 공부가 더 중요하다. 따라서 사서는 문헌정보학의 이론 및 실무를 체계적으로 연마하면서 인간으로서 인간을 대하는 예절 및 태도 등 실천적 인간관계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사서는 문헌정보학적 지식 및 기술의 기반에서 따뜻하고 원숙한 인간관계의 기술을 연마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서는 도서관에만 국한하지 말고 도서관 밖의 넓은 세상을 견지하면서 도서관을 사회 속으로 통합시키려고 노력해야 한다.
2.1.2. 주제전문성
주제전문성이란 사서가 특정 주제 분야에 대해 깊이 있는 지식과 전문성을 갖추는 것을 의미한다. 문헌정보학적 전문성이 사서의 기본적인 능력이라면, 주제전문성은 사서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심층적인 학문적 지식을 말한다.
대학도서관의 경우 다양한 전공 분야의 학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서의 주제전문성은 매우 중요하다. 대학의 각 전공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춘 사서는 이용자의 요구에 보다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문학 분야 전문 사서는 해당 분야의 서지정보와 연구동향을 잘 이해하고 있어 교수들의 연구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의학 분야 전문 사서는 의학 논문과 데이터베이스 활용에 능통하여 의과대학 이용자들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제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사서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과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사서는 단순히 문헌정보학 지식에 그치지 않고 관심 있는 주제 분야의 최신 동향과 이론, 핵심 개념 등을 꾸준히 학습하고 연구해야 한다. 또한 해당 주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실무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도서관 사서의 주제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하다. 첫째,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에 주제 분야 관련 교육 내용을 강화해야 한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해 지속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사서의 학위 취득 기회를 확대하여 주제 분야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석사 학위 이상의 고등교육을 통해 사서의 학문적 깊이를 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도서관 내에서 주제전문사서 제도를 운영하여 분야별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 사서들이 자신의 강점을 살려 특정 주제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처럼 대학도서관 사서의 주제전문성 강화는 이용자에게 보다 전문적이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사서가 특정 주제 분야에 대해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출수록, 대학도서관은 교육과 연구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2.2. 사서직 전문성 강화 방안
2.2.1. 전문인력 차별 없는 연수와 연구 활동 보장
대학도서관 사서들에게 전문인력으로서 차별 없는 연수와 연구 활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사서교사와 사서는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지원센터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공동의 주체이므로, 이들에게 교육과정 연계, 분류체계 연구, 교육과정·저작권·미디어리터러...
참고 자료
대학도서관운영론 강의안
‘도서관 전문성 강화 방안 - 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 원, 2004
학교도서관저널, ‘사서의 전문성을 인정하는 오늘을 바란다 : 교육공무직 사서 주관 학교도서관 정책토론회, 그 후 당부의 목소리’, 2023.03.06.
김해뉴스(김미동 기자), ‘사서란 책을 통해 사람과 소통하는 직업’, 2021. 01. 12
강미혜(Mia Hye Kang)(2005), "주제전문사서직의 교육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the Subject Specilist Librarianship." 德成女大論文集(DUKSUNG WOMEN'S UNIVERSITY JOURNAL), 34: 67-86.
박지현(2007),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 전문도서관을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사서교육전공 , 석사학위논문.
윤효선(2008),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적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Librarians, 충남대학교 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이영희(2008),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 강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Reinforcement for the Public Librarian Professional, 청주대학교 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허운순(2005),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 한국 및 미국의 주요대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iculum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Subject Specialist : Focusing on the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nd America,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사서교육 전공, 석사학위논문.
홍희경(2008),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 6개지역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the Developmental Plans of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 인적자원정책전공, 석사학위논문.
김성혁(1993), "정보화사회에서 사서의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지식공학과 지식공학자의 역할 수용태세를 중심으로."정보관리학회지, 10(2): 69-85.
박준식(2000), "정보환경의 변화와 사서의 역할변용 ( Changing Roles of the Librarians Under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2): 21-40.
엄영애(Young-Ai Um)(2004), "사서직의 전문직 요건과 수행업무에 대한 연구."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159-175.
임동빈(2001),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계속교육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In: : 한국문헌정보학회, 71-95.
조찬식( 2008),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159-178.
국내 대학도서관 정리부서 현황과 조직 변화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25 no.1, 2014년, pp.193-215 2) 학술정보통계시스템 http://www.rinfo.kr
2015년 기준 사서수 (정규직, 비정규직 사서자격증 소지자 20명이상 서울 소재 대학 : 서울대학교(95명), 연세대학교(127명) 고려대학교(62명) 성균관대학교(60명) 이하 생략
국내 대학도서관 정리부서 현황과 조직 변화에 대한 인식 연구 / 이지원,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1(2014), pp. 193-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