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간호학 정신병원 낮병원 조현병 피해망상과 조종망상 간호과정 5개를 진단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조현병의 정의
1.2. 조현병의 유병률
2. 조현병의 원인
2.1. 생물학적 요인
2.1.1. 유전적 요인
2.1.2. 신경생화학적 요인
2.1.3. 신경해부학적 요인
2.2. 정신사회적 요인
2.2.1. 취약성 모델
2.2.2. 환경적 요인
3. 조현병의 증상
3.1. 사고장애
3.1.1. 망상
3.1.2. 환각
3.2. 감정의 장애
3.3. 충동조절, 의욕 및 행동의 장애
3.4. 인지기능의 장애
4. 조현병의 진단
5. 조현병의 치료
5.1. 약물치료
5.2. 정신치료
5.2.1. 개인 정신치료
5.2.2. 가족치료
5.2.3. 집단정신치료
5.2.4. 지역사회의 정신사회 재활 프로그램
5.3. 입원치료
6. 조현병 환자 간호
6.1. 사례연구
6.1.1. 간호과정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조현병의 정의
조현병(schizophrenia)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정서적 둔마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정신질환으로 일부 환자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지만, 최근 약물 요법을 포함한 치료법에 뚜렷한 발전이 있어 조기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질환이다.
1.2. 조현병의 유병률
조현병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약 1%의 인구가 경험하는 심각한 정신질환이다.""세계질병부담(Global Burden of Disease)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한 해 동안 조현병 관련 증상으로 사망한 환자는 약 1만 7천명으로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6년 조현병 평생 유병률이 0.2%, 연간 유병률이 0.2%로, 2006년 평생 유병률 0.1%, 연간 유병률 0.1%와 비교하여 소폭 상승하였다."" 그러나 평생 한번이라도 환각, 망상 등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은 총 인구 중 약 1.8%로 약 71만 명 정도의 많은 인구가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조현병의 원인
2.1. 생물학적 요인
2.1.1. 유전적 요인
유전적 요인은 조현병 발병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현병은 유전적 소인이 강하게 작용하는 대표적인 질병 중 하나이다. 가족력 연구에 따르면 조현병 환자의 일차 친족 중 부모나 형제가 조현병 환자인 경우 발병률이 상당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경우 조현병 발병률이 약 1%인데 비해, 부모 중 한 명이 조현병 환자인 경우 발병률은 약 10%, 부모 모두 조현병 환자인 경우 발병률은 약 4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조현병에 대한 유전적 소인이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쌍둥이 연구에서도 유전적 요인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는데,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 명이 조현병으로 진단되면 다른 쌍둥이도 약 50%의 확률로 조현병에 걸리지만,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 그 확률은 약 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전적 요인이 조현병 발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유전체학 연구를 통해 조현병 발병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점차 밝혀지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유전자 치료 등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2.1.2. 신경생화학적 요인
신경생화학적 요인은 조현병의 발병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현병 환자에게서는 정상인에 비해 뇌의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의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파민은 자아상, 물질 사용, 움직임 조절 등과 관련된 뇌의 신경 회로에 관여하는데, 도파민 수용체나 도파민 수준의 불균형은 조현병 증상의 발현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특히 망상이나 환각과 같은 양성증상은 도파민 과다 활성화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글루타민 등의 다른 신경전달물질들도 조현병 증상 발현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신경화학물질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이 조현병의 다양한 증상들을 유발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뇌의 염증 반응과 면역 체계 이상도 조현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조현병 환자들의 경우 뇌척수액과 혈액에서 염증 관련 물질들의 농도가 높게 관찰되며, 이는 신경 세포 손상과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조현병은 도파민을 비롯한 다양한 신경전달물질들의 불균형과 더불어 면역학적 요인 등 복합적인 신경생화학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2.1.3. 신경해부학적 요인
조현병 환자들의 뇌는 정상인의 뇌와 비교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이상이 나타난다.
먼저 측뇌실과 제 3 뇌실이 확대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는 뇌의 구조와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증거이다.
또한 대뇌피질의 위축이 나타나는데, 특히 전두엽과 측두엽 부위의 위축이 두드러진다. 전두엽은 사고, 행동, 정서 등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이러한 부위의 위축은 조현병 환자들의 주요 증상인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부적절한 정동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조현병 환자들은 뇌의 일부 영역에서 과도한 신경활성화가 관찰되는데, 대표적으로 좌반구에서 과도한 활동이 나타난다. 이러한 신경해부학적 이상들은 조현병의 핵심 증상들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합하면, 조현병 환자들의 뇌는 구조적, 기능적 측면에서 정상인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신경해부학적 변화가 핵심적인 병인기전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 정신사회적 요인
2.2.1. 취약성 모델
취약성 모델은 조현병이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병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개인의 생물학적 취약성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스트레스나 심리사회적 요인에 노출될 경우 조현병이 발병한다고 본다. 즉, 조현병 발병에는 유전적, 신경생화학적 요인과 같은 생물학적 취약성과 가족 관계, 사회 문화적 환경과 같은 심리사회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작용한다는 것이다.
취약성 모델은 조현병이 단순히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한 질병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개인의 생물학적 취약성에 적절하지 못한 심리사회적 환경이 더해질 때 조현병이 발병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조현병의 치료와 예방에는 약물치료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개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이 스트레스가 많은 가정 환경에 놓여있는 경우 조현병이 발병할 확률이 높다. 반면 같은 유전적 소인을 가진...
참고 자료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송미순(2001)
건강진단해설, 의학문화사, 대한임상의학연구소(2006)
약학정보원 : https://www.health.kr/main.asp
진단검사의학이란,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조현병,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유해영(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2019), 이미형 외 공저, 현문사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 관련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8 Mar;27(1):28-39. Korean.
정신건강간호학 제5판. 양수 외. 2017 p.197~227, p.726~734
킴스온라인 http://kimsonline.co.kr/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정신간호 진단과 중재 – 고성희 김경희 김현경 김지영 공역
고성희 외(2013), 『정신간호 진단과 중재』, 수문사, p.106-125, 136-145
김경희 외(2016),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p.197-226
박은영 외(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p.107-111, 145-148, 172-175, 187-191, 252-278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815
차영남 외,『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 p.126-127, 156-157, 232-233, 240, 330-331
최순희 외,『간호과정』, 현문사, 2013, p.287-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