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의 기본구조와 기능
1.1. 간 구조
간은 횡격막 아래 RUQ에 위치한 인체에서 가장 큰 소화기관의 장기로서, 체중의 2.5%를 차지한다. 간은 겸상인대에 의해 우엽과 좌엽으로 구분되며 뒷면에는 H모양의 작은 두 엽인 꼬리엽과 네모엽이 있다. 우엽이 좌엽보다 5배 정도 부피가 크며 사이에는 간동맥, 문맥, 쓸개관, 림프관 등이 있다. 융기된 윗 부분은 우측 횡격막 아래 붙어있고 다른 장기와는 다르게 간동맥과 문맥으로부터 이중으로 혈액의 공급을 받는다. 간의 기능 단위는 간세포로 이루어진 간소엽이다. 간세포의 한 면은 간의 모세혈관인 굴모양혈관과 다른 한면은 담세관과 접해있다. 간동맥을 통해 동맥혈이 그리고 문맥을 통해 정맥혈이 들어오면 이는 굴모양혈관으로 들어가 간소엽을 통과하게 된다. 간소엽에서 간세포와 혈관 사이 물질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중심 정맥을 거쳐 간정맥으로 나간다..
1.2. 간 기능
1.2.1. 담즙 생산 및 대사
담즙은 간세포에서 생성되고 담관을 통해 배출되어 담낭에 저장된다. 간세포는 하루 600-1200ml의 담즙을 생산하고 분비하는데, 이 담즙에는 담즙산염이 포함되어 있다. 담즙산염은 지방을 유화시켜 지방 소화 및 흡수를 돕는다. 담즙산염은 간에서 0.5g씩 생산되며, 이 중 90-95%는 회장 말단에서 재흡수되어 간으로 다시 보내진다. 나머지 5%만이 배출된다.
빌리루빈 대사 또한 간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이다. 노화된 적혈구가 글로빈과 헴으로 분리되면서 빌리루빈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비결합 빌리루빈은 혈장 내에서 알부민과 결합하여 유리 빌리루빈이 되고, 이 유리 빌리루빈이 간세포막을 통과하면 단백질이 분리되어 수용성 결합 빌리루빈이 된다. 대부분의 결합 빌리루빈은 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우로빌리노겐과 스테르코빌리노겐으로 전환되며, 우로빌리노겐의 일부는 문맥혈을 통해 간으로 재흡수되고 다시 장으로 배설되며 5%만이 소변으로 배설된다."
1.2.2. 탄수화물 대사
탄수화물 대사는 간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간은 장에서 흡수된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와 같은 탄수화물을 이용하여 해당 과정과 당원 합성 및 분해 과정을 거치며, 이를 통해 우리 몸의 주된 에너지원이자 혈당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우선 당원 합성(glycogenesis) 과정을 살펴보면, 장에서 흡수된 단당류들은 문맥을 통해 간으로 들어오게 된다. 간 세포에서는 이러한 단당류를 글리코겐으로 합성하여 저장한다. 이는 탄수화물의 섭취가 부족할 때 필요에 따라 다시 혈당으로 전환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당원 분해(glycogenolysis) 과정이 있다. 탄수화물 섭취가 부족한 경우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혈당을 유지하는데 활용된다. 이처럼 간은 혈당의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간은 아미노산을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당원 신생(gluconeogenesis)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이를 통해 탄수화물 섭취가 부족할 때에도 아미노산을 활용하여 포도당을 생산함으로써 혈당 조절을 돕는다.
이처럼 간의 탄수화물 대사 기능은 장에서 흡수된 당 성분의 합성, 분해, 신생 등 다양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우리 몸의 주요 에너지원인 포도당의 생산과 혈당 조절에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3. 지방 대사
간은 탄수화물을 과잉 섭취할 경우 지방으로 저장하였다가 영양분의 섭취가 부족할 때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간은 지방을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하며, 지단백질을 형성한다. 또한, 콜레스테롤과 인지질을 합성하고 단백질과 탄수화물로부터 지방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간은 혈액을 통해 유입된 지방을 저장하거나 에너지로 사용하는 등 지방 대사의 중심 장기이다. 간에서는 지방의 합성, 저장, 동원 및 분해 등 복잡한 대사 과정이 이루어진다. 간은 지방 대사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며, 간 손상은 지질대사 이상을 초래하여 지방간, 고지혈증 등 다양한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간에서 지방 대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장으로부터 흡수된 지방은 지단백질의 형태로 간문맥을 통해 간으로 공급된다. 간에서는 이 지단백질을 분해하여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전환한다.
둘째, 간세포에서 이 지방산과 글리세롤은 다시 중성지방으로 합성되어 간세포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다시 지단백질로 합성되어 혈액 중으로 방출된다.
셋째, 에너지가 필요한 경우 간에 저장된 중성지방이 동원되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되고, 이 지방산은 에너지 대사를 위해 사용된다.
넷째, 간에서는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분해, 그리고 담즙산 합성 등 다양한 콜레스테롤 대사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간은 지방 대사의 중심 장기로서 지방의 합성, 저장, 동원 및 분해 등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간 기능이 저하되면 지질대사 이상이 초래되어 지방간, 고지혈증 등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1.2.4. 단백질 대사
간의 단백질 대사는 매우 중요한 생리적 기능으로, 간은 체내에서 필요한 주요 단백질을 합성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첫째, 간은 아미노산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암모니아를 요소로 전환하여 배설한다. 암모니아는 체내에서 독성 물질로 작용하므로, 간이 이를 요소로 전환하여 배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둘째, 간은 알부민, 프로트롬빈, 피브리노겐, 혈액응고 인자 등 다양한 단백질을 합성한다. 이러한 단백질들은 혈액 응고와 체내 삼투압 유지 등 필수적인 생리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알부민은 간에서 합성되어 체내 삼투압을 조절하는 주요 단백질이다.
셋째, 간은 비타민 K 합성에 관여한다. 비타민 K는 혈액 응고에 필요한 인자들의 기능을 돕는 역할을 하므로, 간의 비타민 K 합성 기능 저하는 출혈 경향을 증가시킨다.
넷째, 간은 아미노산, 단백질, 핵산 등 다양한 대사 과정에 관여한다. 특히 간은 단백질의 합성, 분해, 전환 등 주요 대사를 조절하며, 이를 통해 체내 단백질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종합하면, 간은 단백질 합성, 분해, 전환 등 단백질 대사의 전반적인 과정에 깊이 관여하여 체내 단백질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1.2.5. 스테로이드 대사
간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대사하며 이를 담즙으로 배설한다. 또한 테스토스테론을 합성하여 소변으로 배설한다. 그 외에도 ADH와 알도스테론의 대사를 담당하며, 간 기능 저하 시 이들의 혈중 농도가 상승한다.
간에서의 스테로이드 대사를 살펴보면, 우선 간세포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대사하여 이를 담즙으로 배출한다. 이 과정에서 간세포는 이들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해하여 수용성이 높은 형태로 변화시킨다. 이렇게 변형된 스테로이드는 담즙을 통해 소화기관으로 배출된다.
또한 간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합성된 테스토스테론은 대부분 간에서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설된다.
한편 항이뇨호르몬(ADH)과 알도스테론 역시 간에서 대사되며, 간 기능 저하 시 이들의 혈중 농도가 증가한다. ADH는 수분 균형 조절에 관여하고, 알도스테론은 체내 전해질 농도 유지에 관여하므로, 이들 호르몬의 대사 장애는 수분-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종합하면, 간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테스토스테론 등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대사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더불어 ADH와 알도스테론의 대사에도 관여한다. 이러한 간의 스테로이드 대사 기능은 호르몬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2.6. 순환기능
간은 심장에서 펌핑된 혈액의 약 1/4을 공급받는데, 이중 1/3은 간동맥을 통해 산소가 풍부한 동맥혈이, 그리고 2/3는 간문맥을 통해 영양분과 대사물질, 그리고 해독이 필요한 독소 등을 실어나르는 정맥혈이 들어간다. 정맥혈은 간 내 모세혈관인 굴모양혈관으로 들어가 간소엽을 순환하면서 간세포와 물질교환을 하게 된다. 이후 중심정맥을 거쳐 간정맥으로 나가 우심방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간은 심장에서 전해지는 혈액의 상당 부분을 받아들여 생리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순환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문맥은 소화기관에서 영양분, 대사물질, 독소 등을 운반하여 간에서 해독하는 역할을 하므로 간은 혈액 내 물질들의 대사와 제거에 관여하는 주요 장기이다.
2. 간암의 정의와 병태생리
2.1. 간암의 정의
간암은 간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간을 구성하는 간세포나 담관, 혈관 등에서 기원한다. 간암은 시간이 지나면서 간 전체를 뒤덮어 갈 뿐만 아니라 간 밖으로 퍼져나가 다른 장기와 조직, 뼈, 뇌 등에 손상을 입혀 생명을 잃게 만드는 질환이다. 간암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남성의 경우 위암 다음으로 많이 발생한다. 간암은 원발성과 전이성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