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스피스 간호
1.1. 호스피스 간호의 정의와 목적
호스피스 간호란 말기 환자나 임종하는 환자가 남은 생을 정리하도록 하고, 삶에 대한 의미를 향상하고 고통을 경감해 자신의 죽음을 인간답게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 전인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를 의미한다. 호스피스 간호의 목적은 환자를 완치시키는 것이 아닌 말기 환자를 지지하고, 평화로운 죽음을 유도하는 것이다."
1.2. 우리나라 호스피스 간호의 현황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간호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부터 호스피스 법제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논의를 시작하면서 정부 차원의 개입이 시작되었다. 이후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 시행, 보건복지부의 호스피스 완화 의료 활성화 대책 발표 등 호스피스 도입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있었으며, 2016년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일명 '웰다잉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이 법률은 많은 찬반 논의가 있었으나, 2년의 유예기간 동안 많은 준비를 거친 후 2018년 2월부터 본격적으로 '연명의료 결정제도'가 도입되었다.
우리나라의 현재 호스피스의 유형은 가정형 호스피스, 입원형 호스피스, 자문형 호스피스,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등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가정형 호스피스는 대상자 가정에 전문 봉사자, 의료진이 방문하여 돌보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입원형 호스피스는 병원 내 일부 병동이나 병실을 이용해 이루어지는 간호를 말한다. 자문형 호스피스는 일반 병동과 외래에서 진료를 받는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호스피스 팀이 담당 의사와 함께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를 의미하며, 소아청소년 완화의료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에 걸린 소아 청소년 환자와 그 가족 중 완화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로 성인 호스피스와 달리 진단 병명이나 질병 단계에 제한이 없는 유형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병원은 총 90곳이며, 병상 수는 1,552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가 23개로 가장 많고, 제주에는 1개, 세종에는 호스피스 병원이 한 개도 없는 등 지역별 편차가 크다. 호스피스 이용률은 비록 증가 추세를 보이기는 하나 2020년의 경우 대상 환자의 21.3%에 그치고 있어 아직 낮은 편이다. 입원형 호스피스를 제공하는 병원은 총 90곳인 반면, 가정형 호스피스를 이용할 수 있는 병원은 39곳밖에 없어 대다수의 환자들이 어쩔 수 없이 가정형 호스피스가 아닌 입원형 호스피스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1.3. 호스피스 간호 유형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간호 유형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가정형 호스피스이다. 가정형 호스피스는 대상자의 가정에 호스피스 팀이 직접 방문하여 돌봄을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 기관의 호스피스 팀이 말기 환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돌보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입원형 호스피스이다. 입원형 호스피스는 병원 내 일부 병동이나 병실을 이용해 이루어지는 간호를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보건복지부 지정 호스피스 전문기관 병동에 대상자가 입원한 상태에서 호스피스 돌봄을 받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셋째, 자문형 호스피스이다. 자문형 호스피스는 일반 병동과 외래에서 진료를 받는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호스피스 팀이 담당 의사와 함께 호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를 말한다. 호스피스 전문교육을 받은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함께 환자의 증상 조절, 상담, 연계 등을 도와주며, 환자와 가족의 필요에 따라 입원형 혹은 가정형 호스피스와 연계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넷째, 소아청소년 완화의료이다. 소아청소년 완화의료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에 걸린 소아 청소년 환자와 그 가족 중 완화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로, 성인 호스피스와 달리 진단 병명이나 질병 단계에 제한이 없는 유형이다. 현재는 만 24세 이하 환자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1.4. 호스피스 병원 현황과 이용률
현재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병원 현황과 이용률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호스피스 병원의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과 경기가 23개로 가장 많은 호스피스 병원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제주에는 1개의 호스피스 병원만이 있으며, 세종에는 호스피스 병원이 한 개도 없는 상황이다. 전국적으로 총 90개의 호스피스 전문기관 병동이 있으며, 1,552개의 병상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호스피스 이용률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2020년 기준 호스피스 대상 환자 중 21.3%만이 호스피스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