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3학년 1학기의 마지막 실습을 나오게 된 광주보훈병원 51병동은 내과 병동이다. 내과 병동은 소화기, 호흡기, 순환기, 내분비내과로 나뉘어져 있다. 본 학생은 소화기,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들과 함께 2주간 성인간호학 내과 파트 실습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학생은 이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총담관결석증으로 인한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고통, 각각의 증상과 그에 따른 간호문제 등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총담관결석증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개념을 알고, 이와 관련된 환자가 가진 간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간호과정을 수행하고 여러 가지 지식을 익히고 환자 및 보호자 등에게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도와주고 격려해주며, 배움과 이해를 돕고, 환자가 하루하루 보다 나은 건강상태를 가지도록 돕기 위해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1.2. 문헌 고찰
담관 결석의 병태생리는 일반적으로 담석증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나이가 들수록 담관 결석의 빈도가 증가하는데, 대부분 담낭에서 형성된 콜레스테롤 또는 혼합형 담석이 총담관으로 유입되어 생기는 것이다. 한편 담관에서 1차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대개 색소성 결석이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가장 많은 형태로, 간에서 담즙산 합성은 감소하는 반면 콜레스테롤 합성은 증가하여 담즙 내 콜레스테롤이 과포화되면서 침전되어 담석을 형성하게 된다.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경향이 더 강해진다. 또한 위장관 질환 환자나 T-tube 보유자, 회장절제 또는 우회술 시행 환자는 담즙산염 흡수가 잘 되지 않아 콜레스테롤 담석 발생률이 높다.
색소성 담석은 검은색과 흙색의 calcium bilirubinate로 구성된다. 혼합성 담석은 콜레스테롤 담석과 색소성 담석이 결합된 것으로, 발생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대부분의 담석은 담낭에서 생기지만 총담관이나 간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일부 담석은 증상 없이 십이지장으로 빠져나가기도 하므로 정확한 발생률을 알기는 어렵다.담즙의 기능은 간세포에서 생성되어 간관을 거쳐 일시적으로 담낭에 저류되다가 총담관을 통해 약 500-1000mL/일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담즙은 담즙산, 담즙색소, 지방질 등으로 구성되며 소화효소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담즙산이 지방질을 유화시켜 소화 및 흡수를 돕고, 담즙색소와 지질은 체내 불필요물질 배설 역할을 한다.
총담관 결석은 담도 폐쇄부터 담낭염, 췌장염, 장기적인 담석 존재로 인한 담도경화증까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서양에서는 담낭에서 유래된 2차성 총담관 결석이 대부분이지만, 한국에서는 원발성 담관 결석의 비율이 높다. 한 전국 조사에 따르면 총담관 결석의 64.3%가 원발성이었고, 담낭절제술 환자의 4-20%에서 총담관 결석이 발생했다.
한편 담낭절제술 6주 후나 담도성 통증 환자의 21%에서 자연배출이 관찰되었지만, 13년간 추적 관찰 시 증상 재발이 50% 이상, 심한 합병증 발생이 25%에 달했다고 보고되었다.
2. 총담관 결석의 개요
2.1. 정의
담도는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간 내의 담소관으로부터 차츰 굵은 담관에 합류해 좌간관·우간관이 되고 이것이 간문부에서 합류해 총간관이 된 뒤 담낭으로부터 오는 담낭관(bile duct)와 합류하여 총담관(common bile duct, CBD)이 된다. 총담관은 간에서 만든 담즙이 나가는 간내 담관과 담낭에서 이어지는 담낭관이 합류하여 만나는 곳에서 십이지장 내로 연결이 되는 곳이다. 총담관 결석은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으로, 담낭 안에 있는 결석이 담도로 이동하여 발생하거나 담도 내에서 자체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2.2. 병태생리
총담관 결석증의 병태생리는 일반적으로 담석증과 유사하다. 나이가 들수록 빈도가 증가하며, 거의 대부분 담낭에서 형성된 콜레스테롤 또는 혼합형 담석이 총담관으로 흘러온 것이다. 담관에서 1차적으로 형성된 경우 대개 색소성 결석이다.
콜레스테롤 담석은 가장 많은 형태로, 담즙의 정상적인 구성성분 중 하나인 콜레스테롤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담석이 생기기 쉬운 대상자들은 간에서 담즙산의 합성은 감소하는 반면 콜레스테롤의 합성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담즙에서 콜레스테롤이 과포화 상태가 되므로 침전되어 담석을 형성하게 된다. 콜레스테롤이 포함된 담즙은 담석을 형성하는 소인으로 작용하며, 자극물질로 작용하여 담낭에 염증성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나이가 들어 간의 콜레스테롤 분비 증가와 담즙산 합성 감소로 담석 발생률이 높아진다.
위장관 질환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