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예체능 과목(미술, 음악, 체육) 세특 작성 예시
1.1. 미술 예시 1
학습 주제에 대한 이해력을 바탕으로 활동 과정을 주도적으로 분석하고 이끌어 나가는 학습 태도가 매우 우수하다. 자기 주도적인 미술 학습 능력이 돋보이는 학생으로 브랜드 로고 재구성 활동에서 방안지의 일정한 간격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아이디어 변화 과정을 하나의 설계도처럼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국제 연합 전문 기구의 로고를 재구성하고자 관련 정보를 주도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 공식 로고는 서양 문명의 발원지인 그리스 수도의 신전에서 지혜의 신을 본떠 디자인되었음에 주목하고 아이디어 구상단계에서 기존 로고를 먼저 스케치한 후 연상되는 조형적 요소들을 바탕으로 단계적으로 구상 변화를 시도하는 발상력이 돋보인다. 특히, 두 번의 큰 발상의 전환을 시도하고 여기에서 각각 세부적으로 변화를 시도하는 사고력이 우수하다. 상징형과 글자형이 결합한 로고 유형을 바탕으로 외곽을 사각형의 도형으로 기관의 로고를 상용화하고자 계획하였으며, 이와 대비되는 원형의 지구를 함께 표현하여 조형 원리 중 대비에서 비롯되는 화면에 재미를 더하고자 하였다. 비평 활동에서 문화산업의 시대인 오늘날, 상업시설의 공간 디자인에 주목하고 디자이너의 철학을 예로 들며 자기 생각을 논리적으로 서술하였다.
1.2. 미술 예시 2
자기 자신을 주제로 하여 진로, 특성 등에 대한 마인드맵을 그리는 활동을 하면서 자신에 관해 충분히 이해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에 꿈을 이룬 자기 모습을 이미지화하여 스케치한 후 색을 칠함으로써 진로 탐색에 박차를 가했다. 그림을 그리면서 마음을 차분히 하고,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점과 선을 이용해 작성하는 젠탱글을 선택하여 나비 문신을 그려냈다. 흰 종이에 검은색 펜으로 한정된 젠탱글 도구의 특성상 밋밋해 보이기 쉬웠지만, 반복적인 패턴을 일정하게 그려내는 작업을 함으로써 아름다운 이미지를 만들었다. 동양화를 부채에 그려내는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스케치한 후, 전체적인 분위기를 고려한 적절한 색의 물감을 사용하여 수채화를 하였다. 그러데이션 효과와 붓에 있는 물감을 튀기는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완성도를 높였으며, 색이 그림의 몽환적인 분위기와 적절하게 어울린다는 학급 친구들의 평가를 받았다.
1.3. 미술 예시 3
아이디어 구상단계에서 다양한 발상을 시도하고 주변 친구들과 원활한 아이디어 공유와 피드백을 주고받는 시각적 소통 능력이 돋보이는 학생이다. 브랜드 로고 재구성 활동에서 해외만화 영화 기업의 로고를 재해석하였는데, 관련 자료 수집 단계에서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가치관과 이념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주요 특징을 기록하여 정리하는 꼼꼼한 학습 태도가 인상적이다. 온라인 클래스에서 사전 학습한 로고 유형의 분류 중 글자형 로고를 주제로 선택하였는데, 간결함이 특징인 글자형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기업 이미지에 부담을 주지 않고 자유분방한 어린이다운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 명확한 근거를 통해 자기 주도적인 미술 학습 능력이 돋보인다. 특히, 어린이의 손글씨로 표현한 기억 명을 글자형으로 표현하기 위해 불규칙한 선의 느낌을 살려 캐릭터의 대표 행동을 상징적으로 빗대어 함께 표현한 발상력이 참신하다. 비평 활동에서 양식적 접근으로 고려청자의 유래부터 표현 기법인 상감 기법을 주도적으로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감 청자라고도 불리는 고려청자 고유기법에서 조상님들의 우수함을 깨닫고 조선백자와의 비교, 분석을 논리적으로 작성한 비평문을 통해 미술 문화이해 능력을 함양하였다.
1.4. 미술 예시 4
자기소개 인포그래픽 작업에서 공간을 설계하는 건축사의 꿈이 한눈에 드러나는 그래픽을 부조 기법과 융합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시각적 감각이 돋보인다. 커피 그림으로 한 남성의 이지적이고 사색적인 모습을 명암을 활용하여 잘 표현하였다. 물의 농도로 커피의 강약의 색을 잘 활용하여 얼굴의 입체감이 잘 드러났다. 건축에 관한 관심을 단면을 쌓아 입체로 표현하는 종잇조각 수업에서 차별화되는 언덕 위의 집들과 자연과의 관계를 표현한 기법으로 창의성이 엿보였다. 시간마다 관심 분야인 건축에 관한 관심을 보고서로 한장 한장 가지고 와서 건축의 역사를 분석하고 역사의 흐름 속에 변화되는 과정의 건축에 대한 본질을 찾아내려 노력하였다. 공간에 대한 고민을 학교 속에서 찾으려 학교 공간 프로젝트 주제로 학교 공간의 단점을 해결하려는 고민의 흔적을 학생의 시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