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 cell 배양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0.10
4,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CHO cell 배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포배양의 개요
1.1. 세포의 특성
1.2. 동물세포배양의 역사
1.3. 세포배양의 원리
1.4. 부착성 세포와 현탁성 세포의 배양

2. 동물세포배양에 사용되는 재료
2.1. 세포주의 종류
2.2. 배지의 종류
2.3. 배양에 필요한 시약
2.4. 배양에 필요한 기기와 도구

3. 세포배양 실험의 방법
3.1. 세포계대배양
3.2. 배지 교환
3.3. 약물처리
3.4. MTT assay

4. 세포배양 실험의 주의사항

5. 세포배양 실험의 결과 및 분석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포배양의 개요
1.1. 세포의 특성

세포는 핵의 존재 유무에 따라 크게 원핵세포(prokaryote)와 진핵세포(eukaryote)로 나뉜다. 원핵세포에는 핵막이 없으며 유전체가 단순하고 세포소기관이 없는 반면, 진핵세포에는 핵막이 있고 유전체와 세포질이 구분되어 있으며 다양한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모든 세포는 에너지 대사, 복제 등의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공통적으로 수행하지만, 세포의 종류에 따라 형태와 기능이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신경세포는 신호 전달을 담당하고, 근육세포는 수축과 이완을 통해 운동을 일으키며, 상피세포는 보호 기능을 한다. 이처럼 세포는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세포가 발달하고 분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세포의 증식과 분열은 모든 생물체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이다. 세포는 핵분열(mitosis)과 세포질 분열(cytokinesis)을 거쳐 두 개의 딸세포로 나뉘어 증식한다. 이때 핵분열은 정확하게 유전 물질을 분배하여 유전적으로 동일한 딸세포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세포 분열 과정은 엄격한 조절 하에 있으며, 조절에 실패하면 암과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1.2. 동물세포배양의 역사

동물세포배양의 역사"는 해리슨(Harrison)과 카렐(Carrel)이 동물 조직을 시험관이나 페트리디쉬에서 길러보려는 시도가 조직이나 세포배양의 기초가 되었다. 해리슨은 적출한 올챙이의 척수의 절편을 응고된 개구리 임파액속에서 4일동안 배양한 후 척수신경세포에서 신경섬유가 나오는 것을 관찰한 것이 조직배양의 시초였다. 따라서 오늘날 그를 가리켜 조직배양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그후 해리슨의 제자인 버로우(Brrow)는 해리슨이 사용한 임파액 대신 응고혈장(Plasma clot)을 사용하여 배양의 효율을 증진시켰다. 또한 성장과 분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밝혀지면서 1960년대 중반까지 기본적 신경세포학 연구와 세포이동 및 신경섬유의 성장을 연구하는데 이 방법이 이용되었다."

세포나 조직배양에 있어서 가장 문제점의 하나가 세균에 의한 감염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12년 노벨상을 받은 카렐은 무균조작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세포조직배양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였다. 카렌은 실제로 이 방법을 이용하여 계배의 섬유모세포(chick embryo fibroblast)를 약 30년동안 계속적인 배양에 성공함으로써 세포배양에도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 카렐이후 루이스(Lewis), 멕시모우(Maximow), 레비(Levi), 스트랑지웨이(Strangeway), 얼(Earle)등이 세포조직배양의 방법을 확립하였다. 그후 파커(Paker), 모건(Morgan), 웨이모스(Way mouth) 및 이글(Eagle)등은 아미노산을 비롯하여 비타민, 무기염류 등을 포함한 합성배양액을 만들어 세포조직배양에 큰 공헌을 하였다."


1.3. 세포배양의 원리

세포배양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동물세포배양이란 체외(in vitro)에서 인공적으로 체내(in vivo)와 유사한 조건을 제공하여 세포를 대량 증식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동물세포는 부유(suspension) 상태나 부착 (attachment) 상태로 생장한다. 대부분의 동물세포는 표면에 부착하여 생장하지만, 일부 세포는 현탁액상에 부유하면서 자랄 수 있다. 동물세포 배양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세포는 미생물보다 크고 복잡한 세포로서 생장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배양 도중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 둘째, 배양에 필요한 배지의 조성이 완전하게 알려져 있지 않고, 혈청(serum)과 같은 값비싼 성분을 요구한다. 셋째, 동물세포는 섬세한 플라스마 막 (plasma membrane)으로 둘러 쌓여 있어서 전단력 (shear force)에 약하므로 산소 공급을 목적으로 한 심한 교반을 피해야 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동물세포 배양에는 세포 부착성, 세포 특성, 배지 조성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부착성 세포는 배양용기에 부착하여 생장하며, 현탁성 세포는 배양액 내에서 부유하며 생장한다. 세포주에 따라 배양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 세포주에 적합한 배지 조성과 배양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동물세포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에 매우 취약하므로 무균 조작이 필수적이다.

이처럼 동물세포배양의 원리는 체내 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체외에서 구현하여 세포를 대량으로 증식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세포 특성, 배지 조성, 배양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1.4. 부착성 세포와 현탁성 세포의 배양

동물세포배양에서는 부착성 세포와 현탁성 세포로 구분된다. 부착성 세포는 배양용기 표면에 부착하여 자라는 세포로, 대부분의 동물세포가 이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섬유아세포, 상피세포 등이 있다. 이에 반해 현탁성 세포는 배양액 속에 부유하며 자라는 세포로, 대표적인 예로 임파구와 골수세포 등이 있다.

부착성 세포 배양은 세포가 용기 표면에 고정되어 자라므로 보다 세포간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세포의 특성이 잘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부착이 필요하므로 세포를 분리하고 계대배양하는 과정에서 세포 손상...


참고 자료

실험동물학/ 박병성/ /서울/ 효일/ 2006
세포배양의 기본과 분석법의 모든 것/ 월드사이언스/ 2007/
세포배양/ 김승업/ 자유아카데미/ 2008
배양공학/ 조문구/ 유한문화사/ 2004

Joanne M. Willey 외 2명, 「일반미생물학 제9판」, 2016, P139, P151, 라이프사이언스
세화 편집부, 「화학대사전」, 2001, 세화
이근화, 「세포배양법」, 2015, 대한견주관절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윤종규, 「microwave approach to fast and safe cell culture protocol」, 2015, 경희대학교
Geoffrey M. Cooper 외 1명, 「The Cell 5판」, 2011, P4, P6-7, P21-22, P31, P33-34, 월드사이언스
D. Peter Snustad 외 1명, 「유전학원론 6판」, 2013, P23-24, 월드사이언스
박승택, 「조직세포배양」, 1997, P12-13, P26-28, P30-31, P41, P61, P63, 계축문화사
다인바이오 연구소, 「세포 증식 및 사멸도 변화 평가」, 다인바이오주식회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