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B형간염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의 구조와 기능
1.2. B형 간염의 정의와 병태생리
2. B형 간염의 증상 및 진단
2.1. 급성 B형 간염
2.2. 만성 B형 간염
2.3. 진단검사
3. B형 간염의 치료
3.1. 약물치료
3.2. 합병증 관리
4. B형 간염의 간호중재
4.1. 체액 과다 관리
4.2. 출혈위험 관리
4.3. 사회적 고립 관리
5. 간호과정 적용
5.1. 간 기능 장애와 관련된 체액 과다
5.2. 응고장애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5.3. 격리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의 구조와 기능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 담즙 생산, 탄수화물·지방·단백질 대사, 순환작용, 해독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간은 어둡고 붉은 갈색을 띠며, 표면은 매끈하고 무게는 약 1.2kg이다. 간은 총 4개의 엽으로 오른쪽엽, 왼쪽엽, 네모엽, 꼬리엽으로 구분된다. 간은 두 가지 방법으로 혈액 공급을 받는데, 간동맥으로부터 산소 함량이 높은 동맥혈을 공급받고, 간문맥으로부터 위와 장에서 얻은 영양이 풍부한 정맥혈을 공급받는다. 간은 신체의 대사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과 무기질, 호르몬, 약물과 알코올 등을 대사하여 인체에 필요한 물질을 만들어내거나 유해한 물질을 해독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하루 1L의 담즙을 생성하여 배출하며, 혈액 응고에 필요한 단백질을 생성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한다"."
1.2. B형 간염의 정의와 병태생리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에 의한 감염으로 인해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HBV는 내부 핵과 표면 외피를 가진 DNA 바이러스로, 신체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핵항원(HBcAg)과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에 대한 항체를 형성한다. 감염된 환자의 혈청에서 검출되는 항원은 HBsAg와 HBeAg이며, 항체로는 anti-HBs, anti-HBe, anti-HBc가 있다.
만성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 의한 감염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 만성적으로 간의 염증이 지속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만성 B형 간염의 자연 경과는 면역관용기, HBeAg 양성 면역활동기, 면역비활동기, HBeAg 음성 면역활동기, HBsAg 소실기로 나뉘어진다. 만성 B형 간염의 원인은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화된 감염성 질환이며, 낮은 수준의 자가면역반응과 면역이 억제된 상태에서 거대세포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 또한 바이러스성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B형 간염에 감염된 산모로부터 신생아가 출산되는 과정에서 감염되는 수직감염이 가장 흔하고 중요한 원인이다.
2. B형 간염의 증상 및 진단
2.1. 급성 B형 간염
급성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의 감염으로 인한 급성 염증성 간질환이다. 대부분의 성인들은 발병 후 6개월 이내에 회복되지만, 일부 환자들은 만성 B형 간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급성 B형 간염의 증상은 발병 1주일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환자들은 만성 피로감, 식욕부진, 두통, 상복부 불쾌감 등을 호소하게 된다. 황달은 혈색소와 같이 철분을 포함하고 있는 특수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황색의 담즙색소가 필요이상으로 과다하게 쌓이면서 나타난다. 이로 인해 소변이 짙은 갈색으로 변하고 대변은 회백색을 띠게 된다. 또한 근육통, 관절통, 오심, 미열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6개월 이내에 임상증상 및 생화학적 이상이 회복되지만, 일부 경우에는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되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급성 B형 간염의 진단은 신체검진, 혈액검사 및 소변검사, 간기능검사, 혈청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신체검진에서는 만성 피로감, 식욕부진, 두통, 상복부 불쾌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혈액검사 및 소변검사에서는 소변 내 indirect bilirubin과 혈액 내 direct bilirubin의 증가, PT 연장, PLT 감소, WBC와 RBC 감소, albumin 감소, globulin 증가, total protein 감소, 혈청 내 효소(AST, ALT, ALP, LDH)의 증가, urobilinogen 증가 등이 관찰된다. 간기능검사에서는 total protein 감소, PT 연장 소견을 보인다. 혈청검사에서는 급성 B형 감염 시 HBsAg (+), HBV (+), anti-HBc (+), IgM anti-HBc (+), anti-HBs (-)가 확인된다. 이 외에도 복부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 MRI 검사 등을 통해 간 상태...
참고 자료
성태(2019),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을 위한 CASE STUDY 1권”, 우리의학서적, p113-114, 117-118
국가건강정보포털, “B형 간염”,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2020.05.01.)
신미자 외 공저(2019), “최신 알기쉬운 병리학”, 현문사, p290-291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 493-494, 502, 505, 509
대한간학회 외1인, 간 건강백서, 대한간학회
대한간암학회, “간암의 원인”, http://livercancer.or.kr/info/lib_livercancer.php
세계일보, “간암 발생원인 1위 ‘간염’, 제대로 알고 치료하면 진행 막을 수 있다.”, http://www.segye.com/newsView/*************2?OutUrl=naver
김금순 외 옮김(2019),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P.518
윤은자 외(2021), 성인간호학 1, 수문사, 서울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서울
이영상 외(2013), 만성간염과 간경변 진료 가이드, 대한의학서적
박창환 외(2007), 대한소화기내시경간호학회지, 대한소화기내시경간호학회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www.amc.seoul.kr
가톨릭중앙의료원 건강칼럼, 대전성모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 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
일반응급처치 굿라이프, 2014, 김재호, 이담북스
성인간호학Ⅰ, 2012, 김금순, 김영숙,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2014, 조경숙 외, 현문사
임상간호와 영양, 2013, 번영순 외, 정담미디어